농심이 대표 제품 '새우깡'에서 생쥐머리로 추정되는 이물질이 발견된 사실을 이미 2월 중순에 입수하고도 한 달간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또 이물질이 검출된 '노래방새우깡' 제품 중 일부 제품만 수거하면서도 사과문에는 해당 제품을 전량 폐기하겠다고 언급하는 등 사건 축소에만 급급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18일 농심 등에 따르면 지난달 18일 충북의 한 소비자가 소매점에서 구입한 대포장 노래방새우깡에서 16㎜ 크기에 털이 붙어있는 이물질을 발견했다고 농심측에 연락해왔다. 노래방새우깡은 농심 부산공장에서 생산되지만 중국 칭다오의 공장에서 들여온 반제품을 원료로 만들어진다. 안양 공장에서 생산되는 일반 새우깡이나 매운새우깡, 쌀새우깡은 이와 달리 국내에서 제조한 반제품을 사용한다.
농심은 해당 제품과 이물질을 수거한 뒤 성분 분석을 하는 등 자체 조사를 벌였으나 제품 회수 등 조치는 취하지 않았다. 농심은 식품의약품안전청이 제보를 토대로 부산공장을 조사한 뒤 문제의 이물질이 중국산 반제품에 섞여 들어온 생쥐 머리로 추정된다는 사실을 17일 발표하자 이튿날인 18일 황급히 사과문을 발표했다.
노래방새우깡을 수거하겠다는 방침도 함께 밝혔지만 이는 같은 반제품으로 만든 새우깡 제품 전량을 폐기하라는 식약청의 지시에 따른 것일 뿐 자발적인 대책은 전혀 마련하지 않았다. 결국 이물질이 발견된 사실을 알고도 해당 제품과 같은 원료로 만들어진 새우깡이 시중에 버젓이 유통되도록 한 달이나 방치해 둔 셈이다.
농심은 또한 이 기간 자체적으로 이물질에 대해 성분 분석을 실시하고 부산 공장과 중국 현지 공장에 대해 현장 조사를 벌였는데도 이물질의 정체와 유입 경로 등을 명확히 규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노래방새우깡의 폐기 작업도 사과 성명에는 "해당 제품에 대해 전량 폐기를 진행하고 있다"고 언급했으나 확인 결과 실제 수거 대상은 이물질 검출 제품이 생산된 1월 31일께 제조된 2만5719박스로 한정됐다. 지난달 2월 이후 농심 부산공장에서 중국산 반제품을 가공처리해 만들어진 노래방새우깡은 14만 박스에 달한다.
농심은 그러나 이물질이 들어간 경로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어 추가 조치를 취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농심 관계자는 "문제의 이물질이 중국산 반제품에 섞여 들어왔는지, 생쥐 머리가 맞는지 등이 정확하게 가려지지 않은 상황이어서 제품 수거·폐기 범위를 확대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