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05년 강원도 양양 낙산사에서 화재가 나 보물로 지정됐던 낙산사 동종이 소실된 데 이어 또 다시 중요 문화재인 숭례문이 전소되자 전문가와 시민들은 입을 모아 "관리와 화재 진압을 제대로 못해 발생한 인재(人災)"라며 안타까워하고 있다.
이 가운데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목조 문화재가 많은 일본의 방재 시스템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이런 일본의 방재 시스템은 이미 2005년 낙산사 화재 사고 이후 문화재 전문가, 언론을 통해 집중 조명됐으나 국내에는 거의 반영되지 못했다.
일본 스프링클러·열 감지기 통해 초기 방재 시스템 마련
국내에 널리 알려진 일본 방재 시스템의 예를 살펴보자. 2004년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와카야마현 고야산 일대에는 국보 등 문화재가 밀집해 있다. 이곳에 있는 사찰 등 건축 문화재 대부분은 지붕을 삼나무 껍질로 입혀 놓아 화재에 취약하다. 일본 정부는 이런 점을 감안해 총길이가 8㎞에 달하는 소방 파이프를 설치했다. 인근에 설치된 물탱크가 수용하는 물의 양은 900톤(t)에 이른다.
이중 1899년에 국보로 지정된 고건축물인 부동당에는 지붕에 직접 물을 분사하는 시설을 장착했다. 또 인근에 있는 또 다른 건축 문화재인 어영당에는 건물 주변에 수 대의 스프링클러가 설치돼 있다.
또 1000년이 넘은 역사를 자랑하는 일본 중요문화재 고카와사 본당에는 비상시 법당 전체를 덮은 수막이 형성되는 6대의 스프링클러가 열 감지기와 함께 설치돼 있다. 열 감지기는 빛 센서를 이용해 옥내와 옥외를 막론하고 약 0.3㎡의 불꽃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해 소방차가 도착해 본격 화재 진압이 시작되기 전까지인 화재 발생 초기 약 5분 동안 초기 방재가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처럼 국가가 지정하는 문화재들인 국보나 중요문화재에 방재시설을 설치할 때 일본 정부는 국고보조금을 지원해주고 있다. 전체 사업비 중 보조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적게는 50%, 많게는 80%에 이른다.
그러나 이처럼 강력한 대비책을 마련하고 있는 일본이지만 문화재 화재가 끊이지 않고 있다고 한다. 주요 원인은 '방화'다. 이로 인해 프랑스 퐁피두센터의 경우처럼 목조 건축물이 많은 사찰이나 고궁 등을 관람할 때 라이터나 성냥 등을 휴대할 수 없게 하는 조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도 제시되고 있다.
방재청 "일본은 직접 문화재 화재정보를 소방서에 통보하는데…"
한편, 소방방재청 역시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이번 화재의 책임이 문화재청과 서울 중구청에 있다며 일본의 사례를 언급하기도 했다.
방재청은 "일본은 1989년 문화재 화재정보를 직접 소방서에 통보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며 화재자동 통보 시스템이 없어 화재발생 사실을 조기에 인지하기에 곤란했다고 밝혔다. 또 "화재시 문화재 반출 등 관련 매뉴얼에 대해 소방서가 갖고 있는 정보가 없다"며 "일본은 2000년 문화재 반출을 위한 '문화재 시민 레스큐 체제'를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에 앞서 문화재청은 2005년 낙산사 화재 이후 중요 목조 문화재가 산불 등으로 소실되는 것을 막기 위해 중요 목조 문화재 방재 시스템 구축 사업을 추진했었다. 지난해에는 1차로 해인사, 봉정사, 무위사, 낙산사 등 4곳에 수막설비, 경보시설 등을 설치했다.
숭례문도 우선 구축 대상인 중요 목조 문화재 124개에 포함돼 있으나 우선순위에 밀려 아직까지 방재 시스템이 구축되지 않은 상태였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