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 트렌드'가 불고 있다 일제시대의 경성은 잔혹한 일본군의 통치하에 어둡고 숨막히는 억압의 도시, 혹은 비장한 독립운동가의 결연한 의지와 천박한 친일파의 탐욕이 극명하게 선악의 대립을 이루는 도시로만 존재했던 곳이다. 조금 단순화시켜서 말하자면, 우리영화에 있어 경성을 그리는 방식은 그저 <장군의 아들>의 방식만이 유일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언제나 일제시대는 우리에게 수탈과 저항이라는 이항대립으로만 존재하는 시대였다. 그랬던 경성이 이제 영화계에서 중요한 화두를 차지하고 있다. 작년에 개봉했던 <기담>을 비롯해 현재 상영중인 <원스 어폰 어 타임>, <라듸오 데이즈>은 본격적으로 일제시대의 경성을 배경으로 한 영화들이며, <모던 보이>는 올 4월 개봉을 앞두고 있다. 이밖에 김지운 감독의 신작 <좋은 놈, 나쁜 놈, 이상한 놈>(이하 '놈놈놈'으로 표기)은 경성은 아니지만 일제시대 치열한 무장독립투쟁의 장이었던 만주를 배경으로 한다. 도대체 영화계에 무슨 일이 일어난 걸까? 왜 이제껏 그토록 기피하던 일제시대, 그것도 경성이 갑자기 이토록 각광받는 영화의 배경으로 떠오른 것일까?
|
|
원스 어폰 어 타임 |
이미 공중파에서 드라마 <경성 스캔들>이 방영되어 화제를 모았고 이 드라마가 경성을 배경으로 한 로맨스 소설 [경성애사]를 원작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을 생각해 보면, 영화계에서 경성을 주목하는 건 오히려 매우 뒤늦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물론 평균 제작기간이 2년 이상 걸리는 영화라는 매체 특유의 특성 때문이기는 하지만, 대규모 자본이 집약되는 가장 대중적인 예술장르로서 그만큼 일제시대 경성을 배경으로 한 이야기를 제작하기가 쉽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출판계에서는 이미 앞서 말한 [경성애사]나 [경성 트로이카], [경성기담], [모던보이 경성을 거닐다]처럼 소설 혹은 교양인문서적의 형태로 경성을 그리는 책들이 스테디셀러에 오른 지 오래이며, 이런 책들에 일종의 선구자격 노릇을 했던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가 이미 1999년에 출간되었다는 사실은, 이미 10년 가까이 경성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조금씩 축적되어 왔다고 해석할 수 있다.
. 왜 경성인가? 분명 일제시대는 피식민지의 시대로 우리 역사의 크나큰 상처로 자리잡고 있는 역사이지만, 서양문물이 봇물처럼 밀려들어오면서 국적을 불문한 다양한 문화들이 적극 수용되어 혼재하며 영향을 끼치고 있던 시대라는 사실도 간과할 수 없는 사실이다. 소위 '신문물'이 본격적으로 유입되던 이 당시는 소위 신여성, 모던보이로 칭해지는 '근대인'의 등장을 알린 중요한 시기이기도 한 것이다. 이 시기는 그렇기에,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 현대인의 연원과도 같은 시기이다. 이러한 '근대성의 시발점'으로서의 일제시대에서도 가장 중심이 되는 곳이 바로 경성이었다고 할 수 있다. 경성은 3, 40년대의 상하이와 같은 곳이었으며, 상류층을 중심으로 퇴폐적 낭만주의가 극단까지 퍼져있었던 곳인 것이다. 파리의 물랑루즈가 우리 식으로 존재했던 도시인 셈이다.
|
|
라듸오 데이즈 |
이제껏 지독한 '상처'였기에 섣불리 건드릴 수 없는 시대였던 일제시대는, 광복 50여 년이 지난 지금은 나름 비판적으로 직시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시간이 지났고, 민주화 이후 우리의 뿌리를 재확인해야 할 필요성에서 비로소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고 풀이할 수 있을 것이다. 학계에서도 동아시아학술원의 윤해동 교수를 비롯한 일군의 소장학자들이 과거의 '식민지 수탈론'(수탈-저항)과 '식민지 근대화론'(수탈-개발)의 오래된 대결구도에서 한발 더 나아가 '식민지 근대론'의 형태로 일제시대를 재구성하는 노력을 하고 있다. 윤해동 교수에 따르면, 식민지 수탈론과 식민지 근대화론은 둘 다 민족주의와 근대화론 공동으로 기반으로 삼고 있는 이론이다. 전세계 모든 근대국가가 식민지를 경영했거나 식민지였던 만큼 "모든 근대는 식민지 근대"이며, 피식민지 역시 다른 식민지에게는 제국의 일환으로 파악될 수 있다는 것. 단적으로 싱가포르나 태국에게 조선은 '같은 피해국'이라기보다는 '제국의 연장선상'에 있는 국가로 받아들여졌으며, 따라서 전후 전범재판에서 처형된 이들 중 조선인이 껴 있다는 사실 역시 부정하거나 외면할 수 없는 명확한 '역사적 사실'인 것이다. 그만큼 민족주의에 기반한 '반일감정'으로만 사고할 수 있었던 일제시대를 보다 다양한 시선으로 볼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다.
. 영화에서 경성이 특히 매력적인 이유 그렇다면 유독 영화에서 이토록 경성에 관심을 집중하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그 전에, 우리는 이미 개봉한 영화들이나 앞으로 만들어질 '경성을 배경으로 한' 영화들이 철저하게 '장르영화'를 지향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미 개봉한 <기담>, <원스 어폰 어 타임>, 그리고 <라듸오 데이즈>와 경성의 관계를 잠깐 짚어보기로 하자. 영화 <기담>은 경성에 세워진 당시 최첨단 서양식 병원을 배경으로 기이한 이야기 세 편을 풀어내는 호러다. 우리는 이 영화에서 양복을 한껏 차려입은 신사 옆에 기모노를 입은 여성, 그리고 그 옆에 한복 저고리를 입은 소녀가 나란히 서 있어도 전혀 낯설지 않다는 사실, 혹은 우리의 전통적인 처녀귀신이 기모노를 입고 등장해도 그리 어색하지 않다는 사실을 눈으로 확인한 바 있다. 온갖 국적의 문화들이 혼재하고 있던 일제시대의 경성은, 이렇게 신문화의 폭발을 경험하던 이른바 '문화의 무국적화'가 실현됐던 공간이다. 그런가 하면 이렇게 새로이 밀려드는 문물 앞에서 한껏 호기심을 느끼며 그것에 우리 식대로 적응하는 시기이기도 했는데, 경성 최초의 라디오 방송국을 배경으로 하는 <라듸오 데이즈>가 묘사하는 것은 이러한 문화 충돌을 다루는 영화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
기담 |
<원스 어폰 어 타임>의 경우는 좀더 흥미로운 케이스이다. 헐리웃 고전영화들의 각 장르의 문법들을 멋대로 가져와 섞어놓고 있는 이 영화는 기본적으로 <스팅>과 같은 사기영화와 서부영화, 버스터 키튼 혹은 성룡 식의 '주변 지형지물을 이용한' 액션 코미디, 거기에 심지어 2인 만담과 홍콩 누아르의 장르문법까지 끌어들여 '영화적 판타지'의 모든 것을 실험한다. 이러한 실험을 가능케 하는 공간으로서 호출되는 공간이 바로 '경성'이다. 정치적으로는 일본의 식민지 상황이었지만 문화적으로는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문화들이 밀려들어오고 있던 바로 그 '경성'이야말로, 영화적 판타지를 그대로 현실화시켜주는 공간이 되는 것이다.
. 영화 속 경성이 갖는 의미 기존의 시선에서 벗어나 보다 다양한 시선으로 경성을 바라보려는 노력이 대중예술인 '영화'에서 시도되고 있다는 것은 여러 모로 고무적인 일이 아닐 수 없다. 예컨대 <판의 미로 : 오필리어와 세 개의 열쇠>가 스페인에서 실패한 혁명의 역사를 판타지라는 장르를 통해 오히려 민중의 승리의 역사로 바꿔놓았던 사실에서 볼 수 있듯, 철저히 장르영화의 문법과 서사를 통해 상처의 역사를 재구성하려는 시도는 국가 혹은 민족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구성원들의 고통을 직시하고 치유할 수 있는 유효적절한 기회를 마련해 주기 때문이다. 경성에 대한 탐구는 우리의 근대성의 연원을 찾기 위한 시도의 일환이고, 이러한 연원 탐구는 앞으로 우리가 가야할 길을 모색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다. 과거와 단절된 채 뿌리 없이 부유하는 현대인의 방황만을 피상적으로 그리곤 했던 한국영화는, 이제야 비로소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잇는 통시성을 획득하고 그 의미를 탐구하는 첫발을 내딛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