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제작가협회(이하 '제협')와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이하 '영화노조')은 지난 19일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한국영화의 위기, 비상구는 없는가?"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열고 현재 위기 상태의 한국영화를 현장 영화인들이 직접 진단하고 전망을 살펴보는 자리를 가졌다. 이 토론회에는 제협과 영화노조뿐 아니라 한국영상위원회협의회, 한국영화조명감독협회(이하 '조명감독협회'), 영화진흥위원회 노동조합, 스크린쿼터문화연대 등은 물론, 전국연극영화과학생회연합(이하 '연영과 연합'), 그리고 한나라당 정병국 의원실과 민주당 손봉숙 의원실, 민주노동당 천영세 의원실에서 함께 주최자로 참여했다. 문화침략 저지 및 스크린쿼터 사수 영화인대책위원회(이하 '영화인대책위')의 한석호 대외협력위원장이 사회를 보고 동국대학교 대중문화연구소의 김현정 연구원이 '스크린쿼터 축소에 따른 한국영화산업의 영향과 대응방안'이라는 주제로 기조발제를 한 뒤, 제협의 차승재 회장, 연영과연합의 송상훈 대표, 조명감독협회의 이주생 이사장, 서울영상위원회의 홍성원 사무국장, 그리고 영화노조의 최진욱 위원장이 차례로 발제를 통해 현재 한국영화의 위기상황에 대한 나름의 분석과 대안을 제시했다.
| |
|
민주노동당 천영세 의원의 의뢰로 연구조사를 진행한 동국대학교의 대중문화연구소의 연구결과를 김현정 연구원이 발표한 바에 의하면, 스크린쿼터의 축소가 한국영화에 투자심리를 불안하게 했고, 이것이 곧 제작편수 급감을 부채질했다고 분석하고 있다. 실제로 2007년 상반기 투자가 결정된 한국영화의 작품 수는 불과 6편으로, 이는 2006년 상반기 대비 25%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영화의 전국 관객 점유율 역시 2007년 상반기 동안 46.8%를 기록해 2001년 50.1%를 기록한 이래 6년만에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작년 전국 관객 점유율이 63.6%였던 것을 감안하면 매우 급락한 수치이다. 헐리웃 영화들의 스크린 독점 상황에서 개봉 주에 1위를 하지 못하면 스크린 수가 급감하거나 교차상영 횟수가 많아지는 점, 그에 따라 첫 주 1위를 위해 마케팅비가 급증한 것 역시 스크린쿼터 축소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한국영화의 수출 역시 감소한 상황에서 한미 FTA의 영향이 더해지면 앞으로 한국영화는 극심한 양극화 현상을 겪을 것이며 이것이 결국 한국영화 쇠퇴 현상으로까지 이어질 것이라 전망하고 있어 스크린쿼터가 앞으로 한국영화에 끼칠 여파는 대단히 비관적인 것으로 드러났다. 제협의 차승재 대표는 한국에서 '영화산업'이라 불릴 만한 산업 구조가 <결혼이야기> 이후 이제 고작 10년임을 지적하면서, 영진위의 중장기적 비전과 전망이 부족함을 혹독하게 비판했다. 조명감독협회의 이주생 이사장의 경우 제작비 절감을 위해 경험없고 전문성 없는 초짜 스탭이 현장에 넘쳐나는 현상과 영진위의 정책 부재 현상을 강하게 비난했으며, 연영과 연합의 송상훈 대표는 영화교육의 중장기적 비전을 비롯, 학교와 현장이 연계될 수 있는 방안을 주문했다. 다소 특이한 관점을 제시한 것은 서울영상위의 홍성원 사무국장. 홍 사무국장의 비판 대상 역시 영진위에 집중되었는데, '산업마케팅' 개념이 부재함에 따라 해외합작 영화 및 로케이션 유치 등을 통해 한국영화의 인프라와 인력들을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영화산업이 활발하게 활기를 띄고 있지만 자국 영화가 고작 연간 15편 가량에 해당하는 호주의 예는 결코 바람직한 방향이 아님을 강조하기도 했다. 영화노조의 최진욱 위원장은 영화는 결국 '사람'이 만드는 것이며, 현재 제작편수 감소와 함께 생계가 불안한 영화노동자들이 대거 업계를 이탈하고 있음을 지적하며, 예술노동자들에 대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매우 절실한 상황임을 강조했다. 한편, 최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작년 11월 처음 발의됐으나 그간 국회에서 표류하고 있던 '스크린 독과점 방지 법안'에 대해 영화노조과 제협이 공식적으로 지지하기로 했음을 밝혔으며, 영진위 역시 반대의 입장에서 중립으로 선회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현장 영화인들의 주장을 종합해보면, 결국 현재 문제는 중장기적 비전이 전무한 상태에서 정부가 단행한 스크린쿼터의 축소가 한국영화의 전망에 심각한 위험을 몰고 올 것으로 예상된다. 중요한 산업 인프라라 할 수 있는 영화인력의 관리와 제작 시스템의 합리화 역시 중요한 과제로 지목됐다. 또한 현재 영진위의 활동은 각 분야 현장 영화인들에게 그닥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스크린쿼터가 독과점을 금지하는 보호망이었던 만큼 이의 축소가 불러오는 여파뿐만 아니라, 멀티플렉스에서 소수 영화의 스크린 독과점 역시 향후 영화계의 가장 뜨거운 이슈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스크린쿼터 축소의 대가로 조성된 것이라 주장되는 영진위의 영화발전기금 4천억의 운용 역시 영화계 안팎의 중요한 논란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