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6월항쟁 20년,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길찾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6월항쟁 20년,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길찾기

[알림]4~5일, '6월항쟁 20년 기념 학술대토론회' 열려

"대학생 10명 중 6명, '6·10항쟁 잘 모릅니다.'"

지난달 발표된 한 여론조사 결과다. 이 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故) 박종철, 이한열 씨의 이름을 모두 아는 대학생은 10%에 불과하다.

1987년 뜨거웠던 6월의 거리를 어제 일처럼 기억하는 이들에게는 충격적인 결과다. 그러나 6월 민주항쟁 당시 태어난 이들이 지금 대학생이 됐다는 점, 그리고 이 기간 동안 절차적 민주주의가 상당히 진행됐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해 못 할 일도 아니다.

그렇다면 "독재 정권의 폭력에 의해 희생된 이들을 기억하지 못 하는 세대가 채워갈 한국 민주주의의 내용은 어떤 것인가"라는 질문에 부딪힌다. 요컨대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에 관한 물음이다.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자리가 마련됐다. 6월 민주항쟁 20주년을 맞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는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학술단체협의회와 함께 오는 4일부터 이틀 간 '6월민주항쟁 20년 기념 학술 대토론회'를 개최한다.

서울 프레스센터 20층 국제회의장과 19층 기자회견장에서 열리는 이 토론회에서 오는 4일에는 '한국 민주주의운동의 의미, 평가, 전망'이라는 주제가, 5일에는 '한국 민주주의의 현실과 도전 - 1987년, 1997년 그리고 2007년'이라는 주제가 다뤄진다.

이 토론회는 학자뿐 아니라 사회단체 활동가와 정치인 등이 폭넓게 참가하는 자리다. 이론만이 아닌 현실의 쟁점을 놓고 토론하기 위해서다. 따라서 금융 세계화와 사회 양극화, 그리고 인권, 생태, 여성 등 새로운 가치의 부각이라는 변화 앞에서 한국 민주주의의 진로를 고민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이날 토론회에 참가할 수 있다.

다음은 토론회 세부 일정이다.

1. 6월 4일 (월요일)

< 제1주제 : 한국 민주주의운동의 의미, 평가, 전망 >

등록(09:30~10:00)

개회식(10:00~11:00)
- 개회사 : 함세웅(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김세균(민교협 상임공동의장), 박경(학단협 상임대표)
- 내빈 인사 : 박형규(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리영희(한양대 명예 교수), 한명숙(전 국무총리)

기조발표(11:00~12:00) : 한국 민주주의 운동의 평가와 반성
에드워드 베이커(하바드대 옌칭연구소 자문위원)
와다 하루끼(동경대 명예교수)

제1세션(13:00~14:30) : 한국 민주화운동 및 6월민주항쟁의 의미와 평가
사회 : 정해구(성공회대)
발표 : 이광일(성공회대), 정상호(한양대)
토론 : 박명림(연세대), 정근식(서울대)

제2세션(13:00~14:30) : 민주화세계화 이후 한국 시민운동의 전개와 평가
사회 : 김호기(연세대)
발표 : 김정훈(성공회대), 배성인(한신대)
토론 : 김기식(참여연대), 박병옥(경실련)

제3세션(14:50~16:20) : 민주화세계화 이후 한국 민중운동의 전개와 평가
사회 : 김세균(서울대)
발표 : 홍석만(진보전략회의(준) 운영위원장), 홍성태(상지대)
토론 : 배규식(한국노동연구원), 이수호(전 민주노총 위원장)

제4세션(14:50~16:20) : 민주화세계화 이후 한국의 국제연대운동의 전개와 평가
사회 : 김혜경(지구촌나눔운동)
발표 : 원영수(전 <노동자의 힘> 편집위원장), 이대훈(아레나)
토론 : 임지애(환경운동연합), 정경란(평화를만드는여성회)

제5세션(16:30~18:00) : 종합토론(한국 민주주의 운동의 방향과 대안)
사회 : 조희연(성공회대)
토론 : 고진화(한나라당), 남윤인순(여성단체연합), 심상정(민주노동당),
유기홍(열린우리당), 최갑수(서울대), 최열(환경재단)

2. 6월 5일(화)

< 제2주제 : 한국 민주주의의 현실과 도전-1987년, 1997년 그리고 2007년 >

기조발표(10:30~11:00)홀거 하이데(독일 브레멘대 명예교수)

제1세션(11:00~13:00) 정치와 제도
사회 : 강명세(세종연구소)
1) 민주화 이후 헌법체제와 헌법정치
발표 : 서경석(인하대)
토론 : 오동석(아주대)
2) 민주화 '이후' 한국 정당체제의 변화와 대안적 정책정당체제의 가능성
발표 : 조현연(성공회대)
토론 : 김대영(동북아역사재단)
3) 민주화의 진전과 진보정당의 전망
발표 : 정병기(서울대)
토론 : 김보현(성공회대)

제2세션(11:00~13:00) 인간의 권리 - 평화, 인권, 생존
사회 :김종서(배재대)
1) 한반도 평화의 도전과 전진
발표 : 정태욱(아주대)
토론 : 서보혁(경남대)
2) 민주화 이후 인권문제의 전개양상
발표 : 이재승(전남대)
토론 : 이계수(건국대)
3) 시장권력과 경제민주화
발표 : 유철규(성공회대)
토론 : 박승호(경상대)

제3세션(14:00~16:40) 민주화의 주체와 민주주의의 길
사회 : 박경(목원대)
1) 사회 진보와 민주주의 사상, 그리고 주체
발표 : 홍영두(한국철학사상연구회)
토론 : 이순웅(숭실대)
2) 노동의 위기와 민주주의
발표 : 노중기(한신대)
토론 : 장석준(진보정치연구소)
3) 신자유주의화와 공간환경 정책의 변화
발표 : 최병두(대구대)
토론 : 박배균(서울대)
4) 한국 민주주의 20년, 개혁주의 젠더 정치학의 성과와 한계
발표 : 허성우(성공회대)
토론 : 황정미(한국여성개발원)

제4세션(14:00~16:40) 소통과 미래 - 미디어와 사상
사회 : 서이종(서울대)
1) 미디어 지형의 변화와 민주적 소통
발표 : 이진로(영산대)
토론 : 김서중(성공회대)
2)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 문화변동과 민주주의에 대한 소고
발표 : 이영주 (한국예술종합학교)
토론 : 김예림(성공회대 )
3) 87년 이후 학문사상 지형의 변화-지식과 권력의 문제를 중심으로-
발표 : 김원(서강대)
토론 : 박상훈(고려대)
4) 뉴라이트의 등장과 역사인식 논쟁
발표 : 박태균(서울대)
토론 : 한정숙(서울대)

제5세션(16:50~18:00) 종합토론
사회 : 박진도(충남대)
발제 : 손호철(서강대)
토론 : 송호근(서울대), 안병욱(가톨릭대), 이정우(경북대), 장훈(중앙대)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