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대선이다. 연말 대선의 전초전 격인 4.25 재보선 결과는 정치권 전반에 작지 않은 영향을 미치며 갖가지 소용돌이를 일으킬 것으로 전망된다.
무엇보다도 재보선 불패 신화가 깨진 한나라당은 선거 참패에 따른 후폭풍을 피해가기 어렵게 됐다. 강재섭 대표 등 지도부는 물론이고 박근혜 전 대표, 이명박 전 서울시장도 예외가 아니다. 정계개편을 앞둔 구(舊)여권도 득실에 따라 제 정파의 표정이 엇갈린 가운데 대선후보 진영마다 발걸음을 재촉할 것으로 보인다.
한나라, 대선전망 '視界제로'
공천과정부터 잡음이 끊이지 않았던 한나라당은 선거전 막판까지 과태료 대납 사건, 후보매수 사건이 연이어 불거지며 패배를 자초했다. 상대방의 선전이 아닌 자책골이 패인이었다는 점에서 한나라당이 입은 충격은 더욱 크다. 특히 자신의 지역구에서 과태료 대납사건이 벌어진 강재섭 대표의 리더십이 기로에 섰다.
한나라당은 25일 재보선 참패의 책임을 지고 주요당직자가 일괄 사퇴키로 했다. 조만간 임기가 끝나는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은 제외됐다. 그러나 어수선한 당 분위기에선 '강재섭 사퇴론'이 불거질 가능성이 없지 않다. 무엇보다 강 대표가 박근혜 전 대표와 가까운 인사로 분류돼 있어 이명박계 의원들을 중심으로 이같은 문책론이 고개를 들 개연성이 다분하다. 이에 대한 박근혜계 의원들의 반발이 이어질 경우 '지도부 총사퇴' 요구로까지 발전할 수도 있다.
박근혜 전 대표와 이명박 전 시장도 적지 않은 상처를 입었다. 박 전 대표로서는 대전 선거의 패배가 무엇보다 뼈아프다. 우선 지난해 5.31 지방선거에서 "대전은요?" 한마디로 판세를 뒤집었던 박풍(朴風)은 이번 선거에선 전혀 위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특히 그동안 서부벨트에 공을 들여 온 박 전 대표로서는 전략적 요충지인 대전에서 유리한 고지를 장악하지 못해 대선 레이스 내내 고전이 예상된다.
이명박 전 시장도 선거 패배 후폭풍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박 전 대표 못지않게 대전에 공을 들였음에도 이렇다 할 성과를 내지 못하면서 '이명박 거품론'이 고개를 들었다. 또한 서울 양천 등 수도권 기초단체장 선거에서의 패배는 이 전 시장의 근거지가 휘청거린 경고음이라는 분석이 적지 않다.
이처럼 탄탄대로를 걷는 듯싶던 한나라당과 대선후보들의 대세론을 한풀 꺾은 이번 선거는 조만간 재개될 양측의 검증 공방, 경선 룰 논란으로 이어지면 분열의 기폭제로 작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물론 일각에선 이번 선거가 흐트러진 당 기율을 바로잡는 계기가 될 것이라는 긍정적 전망도 없지 않으나 선거 패배의 양상이 예상보다 심각하고 본격화된 대권경쟁의 논리 상 이를 기대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구여권, 'DJ 그늘'에서 동상이몽
표면적으로 반(反)한나라당 전선의 가능성을 보았으나 구(舊)여권 제정파의 셈법은 더욱 복잡해졌다. 승리의 당사자인 민주당은 '민주당 중심의 정계개편론'을 더욱 채찍질 할 것이 확실시 된다. 타세력들도 호남의 지분이 확인된 민주당의 몸값을 외면할 수만은 없는 상황이 됐다.
열린우리당은 경기 화성의 패배에도 불구하고 통합세력의 승리로 자위하고 있으나 재보선 패배에 따른 일정한 충격파를 피해가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당 해체론'이 거세질 것이 뻔하고 이 과정에서 탈당시기를 저울질 해 온 일부 의원들이 추가탈당을 감행할 경우 정세균 의장이 제시한 대통합의 시한인 6월에 이르기 전에 당이 공중분해 될 수도 있다.
이처럼 정상적인 경로를 통한 대통합이 더욱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 가운데, 김대중 전 대통령의 현실정치 개입력이 확대됐다는 점이 주목된다. 우여곡절을 거치긴 했으나 김 전 대통령의 '정치권 창구'인 김홍업 씨의 당선이 구여권 제 정파가 'DJ 그늘'로 모여들 여지를 넓힌 것만은 분명하다.
그러나 이는 구여권의 새판짜기가 '지역중심'으로 회귀하는 것을 뜻하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대선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할지는 미지수다. 특히 대전에서 깃발을 꽂은 국민중심당을 견인해 '서부벨트'의 복원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이 과정에선 국중당의 지분을 인정해줘야 하는 난제도 남아 있다. 국민중심당과 심대평 당선자가 선거전 내내 구여권과의 통합에 난색을 표해 왔다는 점도 이와 무관치 않다.
또한 DJ의 정치노선과 궤를 같이하는 '중도통합론'이 구여권 노선경쟁에서 우위를 점할 것으로 전망돼 일부 개혁진영의 설자리가 좁아진 점도 눈여겨 볼 대목이다. 또한 조만간 발족할 '참여정부 평가포럼' 등 영남권 개혁신당 움직임이 태동하고 있는 가운데 노무현 대통령과 김대중 전 대통령 간의 대선 주도권 경쟁도 달아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정운찬-정동영-손학규 '탄력' 받고, 구여권엔 '마지막 기회'
구여권 대선주자들의 이해득실도 이 같은 정세판단을 근거로 엇갈린다. 중도성향의 정동영 전 의장,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에게는 득으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대체적이다. 특히 최근 김대중 전 대통령과 거리 좁히기가 눈에 띄는 손학규 전 지사와 한나라당이 대전에서 붕괴한 뒤의 정운찬 전 총장의 입지는 적지 않게 넓어진 것으로 평가된다.
게다가 이명박 전 시장의 지지율이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을 중심으로 하락세로 반전되면서 손 전 지사와 정 전 총장, 정동영 전 의장이 이를 일차적으로 흡수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독자세력화에 시동을 건 이들의 발걸음이 가팔라질 것으로 예상되며 '후보중심의 제3지대 깃발론'도 더욱 탄력을 얻을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일부 중진들이 물밑에서 추진하는 '대선후보 연석회의'의 성공적인 성사 여부는 구여권이 한나라당의 재보선 참패를 계기로 기사회생의 국면을 창출할 수 있느냐를 가늠할 변수로 꼽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