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X 여승무원 사태의 핵심은 구조적 문제다. 노동부 기자들이 '상시 근로'가 보장되는 시대는 지나갔다며 이 문제에 대해 '할 거 다했다'고 한다더라. 그렇다면 왜 여성이 노동 유연화의 첫번째 희생자가 돼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따져볼 필요 없나? 불법파견, 외주화 문제가 얽힌 KTX 여승무원 문제를 장차 모든 여성, 남성 당할 수 있는 문제라고 봤을 때 우리는 절대 손놓고 볼 수 없다."
'KTX 여성승무원 사태와 언론보도' 토론회에 참석한 가톨릭대학교 이영자 교수(사회학과)는 "언론이 왜 이 심각한 문제를 이처럼 소홀히 다루는지 이유가 궁금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언론개혁시민연대와 'KTX 여승무원 직접 고용을 촉구하는 교수모임'가 공동 개최한 이 토론회는 1일 서울 프레스센터 외신기자클럽에서 열렸다.
1년 5개월 간 방송3사 24건 보도…공영방송 '무색'
이날 발제를 맡은 언론연대 윤익한 팀장은 "2004년 1월 철도청의 KTX 승무원 모집 경쟁률이 13.3 대 1을 기록했을 당시 언론들은 '응시자 중 석·박사 학위자도 43명이나 된다', '우수인재가 너무 많아 선발하기가 오히려 힘들다'는 홍익회의 즐거운 비명도 기사화했다"며 여승무원 선발 당시 대다수 언론의 관심이 집중됐던 사실을 언급했다.
윤 팀장은 "그러던 언론들은 2년 뒤 KTX 여승무원들이 저임금과 열악한 노동조건을 참다 못해 처우 개선을 요구하며 파업을 벌이자 비난을 퍼부었고 파업과 농성이라는 극단적 선택의 순간에 이르러서야 '무슨 일 있느냐'며 고개를 들이밀었다"고 비난했다.
실제로 언론 매체들의 무관심은 모니터 결과에서 극명하게 드러났다. KTX 여승무원 문제가 불거진 2005년 9월부터 2007년 1월 20일까지 언론보도를 분석한 결과 방송3사의 저녁종합뉴스에서 KBS 14건, SBS 6건, MBC 4건을 보도했다. 방송 3사의 보도는 총 24건으로 같은 기간 27건을 보도한 <한겨레>보다도 적었다.
그는 "KTX 여승무원 사태가 직접고용과 간접고용, 정규직과 비정규직의 문제, 그리고 비정규직 법안의 통과 이후 공기업의 불법파견 논란 등과 맞물려 사회적 파장이 컸던 점에 비춰, 방송3사의 보도는 '무관심' 수준이었다고 할 수 있다"며 "MBC와 SBS가 한 자릿수 보도를 한 점과 함께 특히 MBC가 단 4건만을 다뤘다는 점은 공영방송이란 이름이 무색케 했다"고 주장했다.
또 <조선일보>는 3건, <중앙일보>는 4건, <동아일보>는 8건을 보도했으며, <경향신문> 19건, <프레시안>은 61건을 보도했다고 윤 팀장은 밝혔다.
윤 팀장은 "영향력을 감안할 때 조중동의 보도를 분석해야 하지만 보도 건수가 너무 적어 분석 필요성을 느낄 수 없었다"면서 "특히 <중앙일보>는 첫 보도를 KTX 사태가 발생한 지 300일 가량이 지난 2006년 12월 19일 이상수 노동부장관의 기고글로 시작했고, 다른 두 신문도 KTX 여승무원들의 파업과 농성, 연행 관련 소식을 단신 위주로 보도했고 일관되게 비판적 태도를 유지했다"고 말했다.
"전문기자의 부재는 보도의 심층성 부재로 귀결되고 있다"
또 윤 팀장은 방송3사와 <경향신문> 등에서 담당기자 없이 파편화된 보도 양상을 보였다는 점도 지적했다. KBS는 10명의 기자가 14건을 보도했고 MBC는 4건 모두 다른 기자가, SBS는 6건을 5명의 기자가 나눠 보도했다. <경향신문>은 19건을 13명의 기자가 작성했다.
그는 "특히 방송3사의 경우, 편집국 내부의 유기적인 소통구조가 부재한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한다"며 "강금실 서울시장 후보 사무실에서 농성을 벌인 리포트는 정치부에서 다루고, 집회를 하면 사회부에서, 비정규직 문제를 포괄하는 보도는 경제부 소속 기자가 작성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물론 분석기간이 1년 5개월에 달한다는 점도 언론사 내부의 인사이동 가능성이 제기되지만 전문기자의 부재는 보도의 심층성 부재로 귀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방송3사의 보도는 대부분 스트레이트 위주였으며, 배경과 원인에 대한 설명보다 파업과 농성 사실 자체에 대한 보도 비중이 높았다. 그는 "무료 서비스로서 지상파 방송뉴스가 갖는 장점을 고려하면 뉴스 소비 행태가 방송에 국한돼 있는 계층은 사안의 본질을 파악할 기회조차 박탈되는 셈"이라며 "방송의 영향력이 갈수록 증대되는 시점에서 우려할만한 대목"이라고 분석했다.
"언론, '공론의 장'으로 기능하고 있나"
윤 팀장은 "언론이 노동 관련 이슈에 큰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것은 어제 오늘의 일은 아니다"라며 "그러나 사회의 갈등적 이슈에 대해 사안의 본질을 심층적으로 다룸으로써 갈등해소를 위한 '공론의 장'으로 기능했는지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는 "언론은 이 문제를 개별 노동자의 문제가 아닌 구조적 차원에서 다루지 않고 있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철도노조 KTX 승무지부 민세원 지부장은 "국민들에게 이같은 정보를 제공할 책임을 갖고 있는 언론은 더 이상 그 책임을 방치하거나 무시하지 말아달라"며 "국민들이 철도공사의 방만한 운영 사실을 안다면 이를 내버려둘 사람은 한 사람도 없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