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SBS도 공익성을 추구해야 "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SBS도 공익성을 추구해야 "

<세미나> '노무현 시대의 방송개혁'

방송의 공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민영방송인 SBS의 공익성을 강화하고 상업적인 시스템의 압박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게 방송체제를 변화해야 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됐다.

24일 저녁 한국방송프로듀서연합회 주관으로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노무현 시대 언론개혁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토론회에서는 '방송의 공익성 강화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이라는 주제로 현업 PD들과 학계, 시민단체 간부들이 방송의 공익성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솜방망이 같은 방송위원회의 심의를 방송허가제를 위한 기본 자료로 삼아야**

발제를 맡은 김평호 단국대 방송영상학부 교수는 "현재 우리 방송은 공정보도라는 말에 집착하여 오히려 공익성은 놓치고 있다"며 "방송과 관련한 제도적, 법규범적 환경에서 방송의 공익성을 담보하기 위해 여전히 개선되어야 할 과제, 그리고 더욱 강화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방송의 공익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청률 조사의 대안으로 방송평가방법과 평론의 활성화 ▲엑세스권(시청자 제작프로)의 확대와 방송국내 각종 위원회를 통한 시청자 접근권의 확대 ▲방송심의와 방송허가제의 연계 ▲민영방송인 SBS에 대한 사회적 의무 부과 등을 들었다.

김 교수는 특히 SBS의 선정성과 오락성을 문제로 들며 "민영방송은 공익성에 책임이 없는 것 같은 인식이 있으나 공중파 방송은 희소한 전파를 사용하는 것이고 전파를 소유한 것이 아니라 국가와 국민으로부터 빌린 개념인 만큼 SBS도 공익성을 추구해야 한다"며 "솜방망이 같은 방송위원회의 심의를 방송허가제를 위한 기본 자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

***방송위원회의 제자리 찾기와 위상강화가 필요**

최민희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사무총장은 "민영방송이 등장한 후 방송이 단순한 경제산업이 아니라 문화산업의 일부분임을 잊고 있다"며 "MBC도 보도·교양프로그램이 나아졌다고 하지만 드라마와 오락프로의 문제는 심각한데 마치 SBS가 '그것이 알고 싶다'라는 프로를 공익성의 면죄부로 삼은 것과 흡사하다"고 비판했다.

최 총장은 "지난친 시청률 경쟁, 편파보도 등 족벌적인 방송의 폐해가 드러난 만큼 방송에는 공영적인 소유구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 총장은 또 공익성 제고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으로 "형식적인 각 방송사의 시청자위원회를 좀더 전문적이고 개혁적인 인물로 교체해야 할 것"과 "방송위원회의 제자리 찾기와 위상강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방송협회에서 결정을 하면 공익성에 가시적인 영향이 있을 것**

최진용 MBC 'PD수첩' PD는 "민영방송의 등장으로 공익성을 외면하는 감각적인 프로그램이 양산되면서 그 자극에 시청자가 반응하고 그 효과가 제작비에 다시 영향을 미쳐 공익적인 프로그램의 영역과 영향력이 더욱 줄어드는 악순환이 계속되고 있다"며 "현재 여러분이 좋은 프로그램으로 인식하는 '100분토론'도 시청률로만 따지면 존폐위기에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예를 들었다.

최 PD는 "이제 공중파는 다양한 방송매체의 발전으로 각 사가 10%대의 시청률이 유지되는 정도임을 자각하고 거기에 맞는 컨텐츠를 제시해야 한다"며 "KBS의 공영성강화와 MBC의 공영방송으로의 정체성이 무너지면 방송환경은 급격히 혼탁해질 것"이라고 예견했다.

최 PD는 공익성 확보를 위한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방송위원들이 방송철학과 추진력을 가진 인물들로 구성되고 방송의 나아갈 길을 제시해 줘야 하는데 그렇지 못했다"며 "그 역할을 다 하지 못하고 있는 방송위원회보다는 방송국 사장들의 모임인 방송협회에서 결정을 하면 공익성에 가시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사장들이 회의를 통해 시청률경쟁 자제 등을 '룰'로 약속하고 각 사의 실무진에게 하달한다면 어느 정도는 개선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 PD는 "결국 가장 중요한 것은 제작하는 PD가 시청자가 원하는 것 뿐 아니라 정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알고 시대정신에 입각해 '재미'뿐 아니라 '의미'를 생각하고 만들어야 한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정치적 독립성 못지않게 자본으로부터 공익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 필요**

장해랑 KBS '한국의 미' PD는 공익성을 침해하는 문제를 외부, 내부 요인들로 나눠 설명했다.

장 PD는 외부 요인으로는 '자본의 논리'를 꼽았다. 장 PD에 따르면 "시청률 경쟁으로 외부의 자본논리가 민영방송 뿐 아니라 공영방송도 선정선과 오락성으로 몰아가고 있다"며 "정치적 독립성 못지않게 자본으로부터 공익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장 PD는 "현재 수신료와 광고의 비율이 4대6 정도인데 이를 좀 더 조정하여 6대4로 한다면 프로그램의 공익성 강화가 수월할 것"이라며 "철저한 자본의 논리가 유입이 되면서 제작현장에서 외부기획사가 '돈의 논리'로 공영체제나 공익성을 압박하는 단계까지 왔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장 PD는 내부 요인으로는 열악한 제작구조를 문제로 들며 "현재 KBS2 TV의 '추적60'의 경우 4팀이 한달에 한편을 만드는 열악한 환경이라 PD들 사이에서 '벽돌공장 같이 만든다'는 자조가 나오는 실정"이라고 밝혔다.

장 PD는 덧붙여 "보도·교양프로만 공익성이 있다는 시각도 논의와 변화가 필요하다"며 각 프로그램 자체의 공익성 문제도 따져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SBS로 인해 공익성이 낮아진 것은 70% 정도**

최영묵 성공회대 신문방송학과 교수는 "여러 의견들이 나왔지만 가장 큰 문제는 역시 SBS 등장 후의 지나친 시청률경쟁구조"라고 지적하고 "민영의 등장으로 방송의 질이 높아진 것이 30%라면 SBS로 인해 공익성이 낮아진 것은 70%정도 일 것"이라며 "이런 문제들이 수익위주의 시스템에서 비롯한 만큼 앞으로 민영방송의 수익은 일정부분 이상은 국가에 환원하거나 공공이익을 위해 쓰도록 한다면 이윤추구가 약화되어 방송의 공익성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대안을 제시했다.

최 교수는 또 "공익성을 바라는 시청자의 노력이 개입될 수 있는 방송시스템의 확대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를 지켜 본 SBS 관계자는 "특정 방송국의 프로는 나쁘다는 식의 편견은 문제"라고 지적하고 "실제로 민영방송의 등장으로 프로그램의 질이 전반적으로 높아진 면도 있으며 '박찬호 메이저리그 야구중계'를 독점하기 위해 MBC가 보인 태도는 SBS보다도 더 상업적이었다"고 반박하기도 했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