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정부가 북한 미사일 발사가 임박했다는 징후를 확인한 것은 발사 이틀 전인 3일 저녁이며, 북한 움직임에 대한 그같은 조기 포착에도 불구하고 5일 새벽 첫 미사일 발사 이후 1시간 반이 지나서야 국가안전보장회의 소집 움직임이 시작된 것은 관련 매뉴얼의 절차에 따른 조치였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정보 당국이 함경북도 화대군 대포동 지역에서 '발사 임박' 움직임을 확인한 게 3일 저녁이며, 이를 근거로 구체적인 판단이 나온 게 다음 날인 4일 오전이다. 노무현 대통령에게 상황이 처음 보고된 것도 바로 이 시점이라는 것. 대통령 보고 후 관련 정보를 청와대 고위관계자와 관련 부처 장관들도 공유했다.
그러나 미사일 시험 발사는 보통 여러 가지 조건이 제일 좋을 때 하는 것이므로, 기상 상황 등을 고려할 때 정부는 발사 시점이 좀 더 뒤로 미뤄지지 않을까 예상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런 예상을 깨고 5일 새벽에 미사일 발사가 감행됐다. 이날 북한은 강원도 안변군 깃대령에서 새벽 3시 32분 중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했고, 정보기관에서 바로 이 사실을 입수하고 청와대 안보정책수석실에 통보된 게 4시께라는 것.
소식통에 따르면, 이어 새벽 5시 1분 대포동 2호 미사일이 발사됐고, 정보기관을 통해 청와대에 이 사실이 통보된 것은 5시 10분. 북한 미사일 발사 사실이 대통령에게 처음 보고된 게 바로 대포동 2호가 발사된 직후인 5시 12분이라는 얘기다.
이종석 통일부 장관 주재의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개최하기로 한 것도 바로 이 대포동 2호의 발사를 확인한 직후였다. 이 소식통은 대포동 미사일 발사 직후에야 NSC 소집 결정이 내려진 것은 '정부의 관련 매뉴얼'이 규정한 절차에 따른 것이라고 전했다.
이에 따라 국방부, 통일부, 외교부 등 관계 부처가 긴급 회의를 갖고 부처 입장을 정리한 뒤 이날 오전 7시 30분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가 개최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NSC 상임위가 개최된 것은 노 대통령이 미사일 발사 사실을 보고 받은 뒤 '장관급 회의' 수준(NSC 상임위)에서 정리하는 게 맞겠다고 판단한 데에 따른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방침에 따라 먼저 이종석 장관 주재의 NSC 회의에서 정부 방침을 결정한 뒤 이날 오전 10시 10분 서주석 청와대 안보실장이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 성명을 발표한 뒤, 오전 11시 노 대통령 주재로 안보관계장관회의가 열렸다는 것이다.
한편 우리 정부는 현재 북한의 추가 미사일 발사 가능성에 대해 예의 주시하고 있지만 대포동 미사일의 추가 발사 가능성은 비교적 낮게 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포동 지역에 지난 5일 발사한 것과 동일한 미사일이 1개가 더 이동해 있다는 국정원의 판단이 있기는 하지만 이미 실패한 것와 똑같은 복제품을 다시 발사하는 모험을 감행하겠느냐는 관측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또 당국자들 가운데에은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한 직후 바로 발사 채비를 갖춰 동일한 미사일을 다시 발사할 만큼의 기술 수준을 갖고 있는지도 의심스럽다는 시각도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