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최고의 다큐멘터리들이 안방을 찾아온다. 오는 7월 10일부터 16일까지 일주일간 EBS 전파를 타는 제3회국제다큐멘터리페스티벌(EIDF 2006)은 42개국 총 83편의 다큐멘터리들을 브라운관 위에 소개한다. 오전과 오후의 유아 및 어린이 시간대를 제외하고 하루 15시간, 모두 104시간 동안 꼬박 걸작 다큐멘터리들을 방송할 예정이다. 브라운관 밖에서도 페스티벌을 즐길 수 있다. 서울 도곡동 EBS본사에 위치한 'EBS 스페이스'에서는 개막작 <반 누엔의 여정>(연출 두키 드로르)을 시작으로 23편의 작품을 상영하고, 경쟁부문에 오른 작품들을 대상으로 감독과의 대화 시간도 진행된다. 또한 올해 처음 마련된 특별상영이 12일부터 14일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 아트홀에서 열린다(선착순 무료 입장). 이곳에서 상영되는 비디오 저널리스트의 거장 존 알퍼트의 <파파>와 가자 지구 정착민들의 투쟁을 담은 요아브 샤미르의 <5일간>도 관객과의 대화를 준비해두고 있다.
 | |
|
제3회 EBS국제다큐멘터리페스티벌 포스터 ⓒ프레시안무비 |
|
EIDF 경쟁부문인 'EIDF 페스티벌 초이스' 이외에 'EIDF 다큐멘터리 최전선' '서구가 본 북한' '아시안 디아스포라' '나이듦에 관하여' '다큐로 음악듣기' '다큐로 스포츠 즐기기' 등 총 14개 섹션으로 나눠 진행되는 이번 행사의 주제는 '화해와 공존, 번영의 아시아'. 이에 따라 페스티벌은 아시아 5개국 특별전을 따로 준비해 아시아 다큐멘터리를 집중 조명한다. 파키스탄 카슈미르 지진 피해지역의 생생한 소리를 담은, 인도 P.N. 케이라 감독의 <카슈미르 구조작전>, 필리핀 네그로스 섬 사탕수수 농장의 어려움을 그린 보롓 림반 감독의 <네그로스 섬의 농부들> 등 아시아인들의 생생한 삶의 현장을 특별전을 통해 들여다 볼 수 있다. 또한 방글라데시 현대 건축술의 창시자 '마즈하를 이슬람'의 삶을 조명하며 삶과 예술을 이야기하는 에나물 카림 너르자르 감독의 <불굴의 건축가, 마즈하를 이슬람>과 같은 작품들도 아시아 5개국 특별전을 통해 만날 수 있다. 제3회 EIDF가 새로 선보이는 섹션인 'EIDF 감독 회고전'에서는 비디오 저널리스트 존 알퍼트의 예술 세계를 선보인다. <필리핀: 삶과 죽음, 그리고 혁명>(1985), <미국의 노숙자>(1987) 등으로 에미상을 열두 차례나 수상한 존 알퍼트는 사담 후세인을 단독 인터뷰한 것은 물론 쿠바의 카스트로, 리비아의 카다피 등 세계 속의 '문제적 인물'들을 취재한 인물. 분쟁지역에 종군해 격전의 현장을 포착하는 등 세계의 생생하고 격렬한 '현장음'을 전하는 데 고심해온 존 알퍼트의 작품은 모두 4편이 상영될 예정이다. 뉴욕의 환자들을 만나 의료보험제도의 문제점을 파헤친 <의료보장제도: 돈과 생명의 거래>(1977), 지속적인 코발트 흡입으로 폐가 망가진 노동자들의 이야기 <하드 메탈 증후군>(1988), 퇴행성 신경질환을 가진 자신의 아버지의 삶을 10년간 기록한 <파파>(2001), 서부극이 속이 아닌 현실 속 카우보이들의 이야기 <라스트 카우보이>(2005)가 그들이다. 또한 EIDF 기간 동안 존 알퍼트는 한국을 실제 방문해 관객과 만난다. 미디어 민주주의를 표방한 DCTV의 설립자이자 책임운영자인 존 알퍼트는 '마스터클래스'에 참여해 'DCTV의 35년 역사: 민중적 다큐멘터리의 제작론'을 강의할 예정이다.
 |
제3회EBS국제다큐멘터리페스티벌의 상영작과 상영 시간표 등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www.eidf.org)를 참조하면 된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