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종결기'로 접어든 '이해찬 파문'…與 '역학관계' 변하나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종결기'로 접어든 '이해찬 파문'…與 '역학관계' 변하나

한시름 던 정동영, 당청관계-당내역관계 해법 주목

노무현 대통령이 귀국 7시간 만에 전격적으로 이 총리의 사의 표명을 수용한 배경에는 악화된 여론이 일차적으로 작용했음은 물론이다. '제2의 옷로비 사건'으로 번지는 게 아니냐는 식의 흉흉한 전망까지 나온 터라, 노 대통령은 귀국 전부터 이 총리 거취 문제에 대한 가닥을 잡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귀국 직후 이 총리의 완곡한 사의 표명과 청와대가 자체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등도 노 대통령의 판단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사퇴 불가피론'으로 정리된 열린우리당의 입장도 노 대통령이 고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런 요인들이 두루 감안된 결정이지만, 노 대통령과의 독대 형식을 취해 신속한 결단을 이끌어낸 정동영 의장의 역할이 당 안팎에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사태를 매듭짓는 과정에서 정 의장의 역할이 대외적으로 돋보이게 되면서 당청 관계에서 '당 중심성의 강화'로의 변화로 보는 시각까지 등장했다. 여러 모로 이번 사태를 겪으며 여권 내부의 역학관계 변화가 뒤따를 것으로 보는 시각이다.

***악재 걷어낸 정동영에 힘 실리나**

이 총리의 골프 파문은 정 의장의 표현대로 열린우리당에게는 "최대 악재"였다. 하지만 14일 노 대통령 귀국과 동시에 '독대' 형식을 통해 이를 조기에 매듭지으면서 정 의장은 '당내 리더십 강화'라는 성과를 챙긴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정 의장은 사태 초기 대응 때부터 당 소속 의원들의 '입단속'을 통해 내부 갈등으로 번질 수 있는 요소를 최소화했고, 수 차례에 걸친 지도부의 비공개 회동을 이끌며 당의 단일한 입장을 모아내는 데에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점에 당내에선 이견이 없다.

노 대통령이 이 총리의 사의를 수용하는 방식으로 일을 정리한 것이 '예정된 수순'이기는 했으나, 이런 정 의장의 내부 단속과 빠른 의사결정이 노 대통령의 전격적인 결정을 이끌어내는 밑바탕이 됐다는 것이다.

또한 노 대통령의 해외 순방 중이던 지난 7일부터 청와대 참모들이 '이해찬 유임론'을 주도할 당시 정 의장은 김한길 원내대표와 함께 이를 곧바로 반전시키는 저력을 보여 여론 주도력을 통한 당청 관계에서의 우위를 점하기도 했다.

이로써 정 의장은 '이해찬 악재'를 털고 본격적인 지방선거 체제로 당을 정비해 나갈 수 있는 활로를 찾았다. 강금실 전 법무부장관 영입 등을 통해 본격적인 국면 전환 행보가 예정된 수순.

또한 '지방선거 심판론'을 내세운 구도 싸움과 함께 한나라당의 최대 악재인 '최연희 성추행 사건'에 대한 집요한 공격도 예상되는 공격 메뉴다.

다만 후임 총리 인선 및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이번 논란이 재등장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야당이 이 총리의 사표 수리와는 무관하게 국정조사 등을 통해 각종 의혹에 대한 진실 규명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 정 의장과 열린우리당이 '이해찬 후폭풍'의 권역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보기에는 아직 이르다.

***향후 당내 세력관계 주목**

또한 정 의장으로서는 '불명예 퇴진'의 멍에를 안고 당에 복귀하게 된 이해찬 총리와의 향후 관계를 어떻게 풀어가느냐도 숙제다.

지난 10일 총리 공관에서 가진 여권 수뇌부 회동에서 당과 이 총리의 입장이 일정부분 조율되기는 했지만, 당 내에서 '사퇴 불가피론'을 이끈 세력이 정동영계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이 총리가 이에 대해 곧바로 반격을 가할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 하지만 당 내에선 김근태 최고위원을 정점으로 하는 재야파, 참정연계 친노세력을 대표하는 유시민 보건복지부 장관 등이 이 총리와 밀접한 관계를 형성해왔다는 점에서 '반(反) 정동영' 세력의 결속 강화를 점치는 시각도 있다.

비록 김 최고위원이 이번 사태의 막판에 '사퇴 불가피론'에 손을 들어줬을지라도, 이 총리에 대한 '인간적 배려'에 신경을 쓰는 모습을 보였고, 유시민 장관도 "이 총리가 좀 더 해줬으면 한다"고 지원사격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이번 사태를 거치며 당내 리더십, 나아가 청와대에 대한 '당의 주도권'을 과시한 정 의장과 재야파-친노세력-이 총리로 이어지는 연합파 간의 세력 다툼은 당분간 잠복기를 거쳐 본격적인 대권 경쟁기에 발화될 가능성이 없지 않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