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 지도부가 '4대법안' 싸움의 후폭풍에 줄줄이 중도하차할 위기에 처했다. 열린우리당은 1일새벽 사퇴한 천정배 원내대표에 이어 지도부 동반사퇴 요구가 제기, 이부영 의장의 거취에 이목이 집중된다. 한나라당도 주요 당직자들이 사의를 표명한 가운데, 김덕룡 원내대표도 강경파 압박에 몰려 조만간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졌다.
정가에서는 자칫 여야 새 지도부를 모두 강성인사가 장악하면서 신년초부터 '강(强)대 강(强)' 국면이 도래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기도 하다.
***이부영, 3일 오전 거취 결정날 듯**
우리당은 3일 오전 영등포 당사에서 상임중앙위원회를 열어 이부영 의장을 비롯한 지도부의 일괄사퇴 여부를 논의할 계획이다. 지난해 31일부터 이 의장은 중진들에게 사퇴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지는 등 당내 정황을 종합하면 이 의장 개인적으로는 사퇴 쪽으로 결심을 굳힌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이 의장의 사퇴가 곧바로 권력 공백과 당권경쟁의 조기가열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농후해 문희상 유인태 의원 등 친노(親盧) 직계그룹과 김덕규 이채정 배기선 의원 등 다수의 중진들은 적극적으로 사퇴를 만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천 대표에 이어 이 의장마저 사퇴할 경우, 우리당은 초유의 리더십 공백에 휩싸여 1월말께 예상되는 원내대표 경선은 물론, 4월 전당대회까지 극심한 내홍이 불가피해진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따라 이 의장이 본인 의사와는 무관하게 의장직을 유지할 가능성이 없지않다.
그러나 4대법안 협상 과정에서 지도부 소환론을 제기해 온 평당원 등 기층과 강경파 의원들은 국보법 폐지대신 대체입법론으로 물밑협상을 벌여온 이 의장쪽에 4대입법이 무산된 책임의 비중을 무겁게 두고 있어 의장직을 유지한다 해도 지도체제 안정에 보탬이 되리라는 전망이 어렵다. 이들은 이 의장의 동반사퇴 후 비상대책위 체제로 당을 운영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 의장의 거취와 우리당 지도체제의 향배는 3일 오전 상임중앙위원회의를 거쳐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김덕룡도 사퇴 유력**
지도체제 붕괴 위기는 한나라당에서도 별반 다르지 않다.
김형오 사무총장, 임태희 대변인, 진영 대표비서실장이 2일 당직 사퇴 의사를 박근혜 대표에게 전달한 가운데, 김덕룡 원내대표도 3일중 사의를 표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영남권을 중심으로 한 보수성향의 중진들이 유연한 대여협상전술을 구사해온 김 대표의 사퇴를 강하게 촉구하고 있고, 수도권 의원 일부가 이를 만류하는 등 김 대표의 거취문제를 둘러싼 노선갈등의 불씨가 이미 표면화된 상태다.
김 대표는 연휴기간 지인들과 함께 한 산행에서 자신의 거취와 관련된 언급을 일절 하지 않았던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임시국회 마지막 날인 지난해 31일저녁부터 김 대표 측에서 "자리에 연연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반응이 나오는 등 그의 사의표명도 초읽기에 돌입한 분위기다.
김 대표의 이같은 반응은 지난해 30일 '2+2' 식의 최종 합의서가 의원총회에서 백지화된 책임론과 그에 따른 지도력 손상에 기인한 것이지만, 밑바탕에는 최근 서로 전화통화조차 하지 않을 정도로 악화된 박 대표와의 앙금이 작용했다는 게 정설이다. 김 대표측은 협상 전 중진회의와 박 대표의 승인이 있었다는 설명이지만, 의총에서 박 대표는 "나는 반대했지만 김 대표가 협상을 이렇게 해왔다"는 취지의 말까지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당 내에선 박 대표와 김 대표 사이의 갈등의 골은 더이상 치유 불능의 상태에 돌입했다는 관측이 대세다. 또한 김 대표의 사의 표명 시 보수중진들의 영향력 확대와 박 대표의 우경 행보 가속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당내에 높다.
여야 공히 신년벽두부터 심각한 리더십 위기 속에 강온파간 내홍이 불가피해졌고, 그 결과 여야 지도부 모두 강성인사들로 교체되면서 '강(强)대 강(强)' 국면이 도래하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낳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