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폐 의혹을 낳고 있는 고 김선일씨 피랍 시점과 관련, 외교부 최영진 차관은 “피랍시점이 5월30일이라는 진술이 가장 정확하다고 파악된다”고 밝혔다. 다만 가나무역 김천호 사장이 김선일씨의 피랍 사실을 알면서도 현지 대사관에 알리지 않았기 때문에 미군과 우리 정부는 21일까지 피랍사실을 인지하지 못했다는 게 최 차관 발표의 요지다.
이는 현지교민이나 대사관직원이 KBS-MBC 방송 등과의 인터뷰에서 “알자지라 보도 전에 (카타르 한국 대사관에) 신고한 것을 확인했다”는 증언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김천호 사장에게 모든 책임을 뒤집어 씌우려는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다.
***외교부 "5월30일 납치설 맞는 것 같다"**
최 차관은 이날 열린우리당 의원총회에 참석해 “납치 일정에 제보받은 것은 가나무역 김천호 사장으로부터인데 처음에는 6월17일 납치된 것 같다고 했다가, 어제(22일)에는 6월15일, 그리고 오늘은 5월30일이라는 진술까지 나왔는데, 최종 진술이 가장 정확하다고 파악된다”고 밝혔다.
최 차관은 “현지 대사관으로부터 김씨가 물자수송을 마치고 되돌아오는 과정에서 본적이 없다고 확인받았다”며 “이에 김 사장은 6월4일까지는 김선일씨가 어디에 있는지 출발점과 도착지점 확인을 통해 파악했고 이후에는 직원을 풀어서 여기저기 탐문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최 차관은 “이 과정에서 김 사장은 미군 서비스업체에도 문의를 했다”고 밝혔다.
최 차관은 또 “김씨는 1주일여간의 개별적인 탐문 끝에 납치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아랍인 변호사를 만나 석방문제에 관한 도움을 청했고, 변호사가 경찰이나 대사관측에 알리지 않는 것이 좋겠다고 해서 일체 밝히지 않고 교섭을 벌여왔다”고 말했다.
최 차관은 이어 “김 사장의 최종진술(5월30일 피랍)을 전제로 하면 미군이 아니라 서비스 업체를 통한 작업만 있었고, 미군은 개입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정확한 사실관계는 확인작업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외교부 진술 '허점투성이'**
하지만 이같은 최 차관은 진술은 여러 측면에서 정부가 사전에 최씨 피랍 사실을 알고도 이라크 추가파병 결정에 장애가 될 것을 우려해 은폐한 게 아니냐는 의혹을 낳고 있다.
우선 정부가 피랍시점이 5월31일임을 시인하게 만든 결정적 계기가 된 KBS 보도와 관련, 현지 교민 김모씨는 22일 KBS와의 인터뷰에서 "<알 자지라> 보도로 한국에 알려졌는데 이전에 (카타르 한국대사관에) 신고된 걸 제가 확인했다"고 말했다.
현재 바그다드에서 취재중인 MBC의 김영미 PD도 23일 "김선일씨는 팔루자에 있는 해병대로 납품한 이후 본 사람이 없다"며 "가나무역 직원이 '5월31일 이후 본 적이 없다'고 증언했다"고 보도했다. 김PD는 또 "이라크 대사관 직원도 '(실종 시점을) 5월31일로 추정하고 있다'고 증언했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증언은 최소한 김씨가 5월31일 피랍된 이후 카타드와 이라크 바그다드의 한국대사관은 최소한 '실종' 신고는 받았을 것이라는 추청을 강력히 뒷받침해주고 있다.
일각에서는 대사관측이 '실종' 신고를 받고도 이를 소홀히 하다가 알 자지라 방영후 뒤늦게 피랍 사실을 알았던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으나, 현재 이라크에 불과 28명의 교민밖에 없으며 김씨가 피랍된 장소가 이라크에서 가장 치안이 불안한 팔루자 근처였다는 점 등을 고려한다면 이 또한 설득력이 없다. '상식적'으로 판단할 때 만에 하나 가나무역측이 '실종' 신고를 했더라도, 3주 동안이나 연락이 두절됐을 경우 '피랍'으로 받아들여야 정상이라는 지적이 지배적이다. 요컨대 정부는 이미 오래 전 김씨 피랍을 알고 있으면서도 쉬쉬해온 게 아니었냐는 의혹을 낳은 대목이다.
또한 정부가 모든 책임을 가나무역 김천호 사장에게 돌리는 대목도 김사장의 진술과 여러모로 어긋나고 있다.
김 사장은 <연합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미군 당국으로 4~5일전(16~17일께) 납치 사실을 통고받았다"며 "납치 사실을 확인한 후 여섯 차례 무장 세력과 접촉해 협상을 진행했다"고 증언했었다. 여기서 주목되는 대목은 '무장세력과의 여섯차례 협상'이라는 대목으로, 과연 일개 영세기업 대표인 김사장이 대사관 등 정부를 배제하고 무장세력과 석방 협상을 벌일 여력이 있었겠냐는 의혹이다.
벌써부터 시민단체와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같은 의혹과 관련, 청문회를 개최해서라도 진상을 명명백백히 밝혀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 시작해 앞으로 이 문제는 정부여권의 뜨거운 감자가 될 전망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