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한화갑 대표가 25일 당 개혁을 위한 전당대회가 개최될 경우 당권에 도전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혀 민주당 신주류와 구주류간 파워게임이 새 국면을 맞고 있다.
정가에서는 구주류의 상징격인 한 대표가 일선 후퇴 의사를 밝힘에 따라 구주류에서 신주류로의 '권력이동'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화갑, 23일 노무현 당선자와의 회동에서 이미 퇴진 의사 전달**
한화갑 대표의 측근인 동시에 신주류 멤버중 하나인 문희상 의원은 25일 저녁 한 대표를 만난 뒤 "한 대표가 김대중 대통령의 명예로운 임기말 관리와 정권 재창출이란 소임을 다한 만큼 차기 전당대회의 지도부 경선에 출마하지 않겠다며 이미 지난 6·13 지방선거와 8·8 재·보선 후 여러번 '마음을 비웠다'는 의사를 피력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한 대표는 이와 함께 당 개혁방안 마련을 위한 개혁특위 인선도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 측에 사실상 전권을 위임하겠다는 뜻을 김원기 고문을 비롯해 노 당선자 측 핵심인사들에게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민주당 관계자에 따르면, 한 대표는 이미 23일 오전 노무현 당선자와의 회동때 이같은 퇴진 의사를 전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처럼 한 대표가 내년초 전당대회를 계기로 대표직에서 물러날 뜻을 밝힘에 따라 당 개혁 문제를 둘러싼 민주당내 갈등은 새로운 국면에 접어들어 친노그룹의 당권장악이 급류를 탈 전망이다.
***親盧그룹 당권장악 급물살 탈 듯**
한 대표의 퇴진 결심은 '민주당의 발전적 해체' 및 한 대표 등 당권파의 즉각적인 퇴진을 요구했던 개혁파 의원들의 압박에 따른 것으로 받아들인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 22일 개혁파 의원들의 발전적 해체 선언으로 불거진 민주당내 갈등은 신기남 추미애 의원 등이 최고위원직을 사퇴하면서 지도부의 전면 사퇴요구로 이어졌다. 또 당 개혁특위 구성에 있어서도 현 지도부 참여와 한 대표 선 사퇴 여부를 놓고 구주류와 신주류간 의견대립이 이어졌다.
이같은 상황에서 한 대표가 사실상 '당권 포기' 의사를 밝힘에 따라 신·구주류간 갈등 양상으로 치닫던 민주당의 개혁 일정과 방법이 신주류의 그림대로 추진될 가능성이 커졌다.
그동안 신주류측이 한 대표 등 현 지도부의 조기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던 것은 현 지도부가 전당대회 시기를 내년 6월로 상정하고 그때까지 당권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노 당선자측에 전했던 게 가장 큰 배경이었다고 신주류측의 한 핵심의원은 전했다.
그러나 한 대표가 이날 당권 불출마 입장을 밝히는 외에 개혁특위 인선권을 노 당선자측에 위임하겠다는 의사를 밝힘으로써 사실상 2월 25일 새 정부 출범전 전당대회 개최를 통한 당 개혁 완료안을 수용한 셈이라는 게 신주류측의 판단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홍일 의원 정계은퇴 등 DJ입장 표명 필요**
이와 관련, 김원기 고문과 정대철 선대위원장, 김경재 이상수 이호웅 이재정 의원 등 선대위 본부장단은 이날 저녁 시내 한 음식점에서 회동, 당 개혁특위 구성 및 한 대표의 명예로운 퇴진 방법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 개혁특위에서 중앙당 축소 및 원내정당화, 지구당 조직 폐지 등을 논의한 뒤 노 당선자의 취임 전인 1월말이나 2월 초순경 '조기 전당대회'를 열어 이를 통과시키고 새로운 '당의 얼굴'을 선출하자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노 당선자는 당내 문제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나 이들과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들은 또 '지도부 즉각 사퇴'를 주장했던 신기남 추미애 의원 등도 설득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들 선대위 본부장급 인사 20여명은 26일 오전 다시 회동, 한 대표 측의 제안을 논의한 뒤 최종 입장을 밝힐 것으로 알려져 회동 결과가 주목된다.
양측간 조율이 마무리되면 민주당은 갈등 양상을 매듭짓고 금주중 개혁특위 인선에 착수, 이르면 내주부터 전당대회 개최 시기 및 당 개혁방안 마련 작업에 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한 대표는 새정부 출범 이전 전당대회까지 대표로서 관리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정균환 원내총무 등 동교동계 및 탈당했다가 복당한 후단협 의원들은 여전히 신주류로의 권력이동에 강력반발하며 집단대처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신주류로의 권력이동이 완전 매듭지어지기까지에는 한차례 진통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같은 갈등을 단기간에 최소화하기 위해선 김대중 대통령 장남인 김홍일 의원의 정계은퇴 등 김 대통령이 어떤 형태로든 자신의 입장을 밝히는 것이 필요해 보인다는 게 정가의 지배적 관측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