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막판 이슈 중 하나로 꼽히는 ‘행정수도 이전’을 둘러싸고 그동안 방어로 일관하던 민주당의 총반격에 나섰다.
이회창 후보가 지난 97년 대선 당시 충청권에 제2의 행정수도 건설을 거론했던 대목을 반격의 소재로 삼고 나선 것이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은 이 후보의 당시 발언을 수도이전과 같은 개념으로 홍보하는 것은 ‘허위광고’라고 맞받았다.
양당이 이날 행정수도 이전 논란과 관련, 이회창-노무현 TV토론을 15일 저녁 실시키로 잠정합의함에 따라 종반으로 접어든 대선정국에 이 문제는 최대 이슈로 작용할 전망이다.
***민주당“李, 97년 대선때 행정수도 건설 공약했었다”**
민주당은 14일 일간지 광고를 통해 “대전충남지역에 제2의 행정수도를 건설해야 한다”는 이회창 후보의 지난 97년 대전 유세당시 발언을 공개하고 "이 후보가 현재 말바꾸기를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정대철 공동선대위원장은 이와 관련, 이날 선대위 본부장단회의에서 "이 후보는 97년 7월16일 신한국당 대전충남연설회에서 `제2의 행정수도건설 등을 통해 대전충남의 밝은 21세기를 열어가겠다'고 공약했음에도 최근에는 행정수도가 이전하면 서울이 공동화돼 국가경제가 공황이 올 것처럼 이야기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나라당이 행정수도를 이전하면 서울이 살고, 우리당이 행정수도를 이전하면 서울이 파탄나느냐"고 되물으면서 말바꾸기와 흑색선전의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
이낙연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이 후보는 97년 제2의 행정수도 건설 약속에 이어 올해 대선을 겨냥한 공약집에서 `대전을 행정의 중추도시로 만들겠다'고 밝혔으면서도 부산에는 해양수산부, 대전에는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 청주에는 보건복지부를 두겠다는 등 가는 곳마다 행정부처 하나씩을 옮겨오겠다고 다짐했다"며 "이렇게 오락가락하는 이 후보는 대통령되기를 포기하신 것"이라고 공격했다.
김희선 여성위원장은 "한나라당은 97년 이 후보의 공약에 이어 지난 6.13 지방선거 당시에도 충청권 공약으로 제2의 행정수도를 대전에 건설하겠다고 발표했으면서도 지금 행정수도를 이전하면 집값이 폭락한다고 흑색선전을 하고 있다"며 "이것이야말로 낡은 정치의 표본"이라고 비판했다.
국민통합 21 박범진 홍보위원장은 "5년전 자신의 발언과 6개월전 자신의 당 공약도 기억 못하는 것은 자질 문제"라고 꼬집었고, 이재정 유세본부장은 "이 후보는 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유례를 찾아 볼 수 없이 정부부처를 산산조각을 내려고 하고, 특히 1도1부처주의로 지역감정을 자극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민주당 허위광고 법적 대응”**
이같은 민주당의 공세에 대해 한나라당은 민주당의 일간지 광고는 마치 이 후보가 ‘말바꾸기’를 한 것처럼 오도한 ‘허위광고’라며 법적 대응을 검토키로 했다.
남경필 대변인은 “97년에 이회창 후보가 한 말은 노 후보의 천도(遷都)와는 전혀 다른 차원의 얘기”라면서 “마치 이 후보가 말을 바꾼 것처럼 오도하는 것은 수도이전 문제로 민심이 노 후보에게서 완전히 떠났음을 반증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홍준표 제1정조위원장도 “이회창 후보가 지난 97년에 공약한 ‘제2 행정수도 건설’은 이미 대전 둔산타워에 조달청과 철도청 등이 들어가 있기 때문에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를 추가로 옮기겠다는 것으로 노 후보의 천도주장과는 전혀 다르다”고 가세했다.
그는 또 “독일통일후 수도를 본에서 베를린으로 옮기는데 인프라 구축비용을 빼고도 12조원이 들었다”면서 “특히 본의 집값이 폭락하고 금융기관이 망하기 일보직전까지 가자 3분의 1만 옮기고 천도를 중단했다”고 주장했다. 홍 위원장은 “노 후보 주장대로 수도를 옮기면 수도권의 집값이 폭락할 것”이라며 “과천같은 데는 살 필요가 없어지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15일 李ㆍ盧 TV토론 잠정합의**
한편 양당은 이날 이 문제와 관련한 이-노 양자토론을 15일 오후 8시부터 60분간 실시키로 잠정합의했다.
한나라당 양휘부 언론특보와 민주당 홍승태 미디어기획단장은 이날 오전 실무협의를 통해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고 홍 단장이 전했다.
그러나 주제와 관련해 한나라당은 `수도서울 이전 무엇이 문제인가', 민주당은 `행정수도건설 정책토론회'로 하자고 각각 맞섰고 토론방식에 대해서도 한나라당은 소주제별, 민주당은 자유토론 방식을 각각 주장, 완전 합의에는 이르지 못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