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대선에서 여성유권자수는 1천7백80만명에 달한다. 남성보다 48만명이 많은 숫자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제까지 선거에서 ‘여성표’는 의미있는 변수로 여겨지지 않았다. 여성들의 표심은 남편 등 가족을 따라갈 것이라는 인식 때문에서다.
여성의전화연합, 여성민우회, 여성노동자협의회 등 한국여성단체연합 소속 103개 여성단체가 ‘2002 대선 여성연대’(공동대표 이오경숙외 5인)을 발족, 이번 대선에서 ‘여성표’의 위력을 보여주겠다고 나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대선후보 검증을 위해 여성계가 연대를 구성, 활동에 들어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들 단체는 25일 오전 서울 안국동 느티나무 카페에서 여성연대 발족식을 갖고 ▲호주제 폐지 ▲여성인력의 고용안정 및 고용창출 ▲보육의 공공성 확보 등 3대 핵심과제를 대선 후보들에게 공약으로 채택하도록 요구하겠다고 밝혔다.
***“호주제 폐지 등 3대 핵심과제 공약화”**
여성연대는 여성이 바라는 3대 핵심과제 및 10대 주요과제의 대통령 공약화 요구 외에 낡은 정치청산, 유권자 투표 참여 운동도 활발히 벌일 계획이다.
여성연대는 오는 11월 5일께 각 후보를 직접 방문, ‘3대 핵심과제 전달식’을 갖고 이에 대한 공약화를 촉구할 예정이다.
내달 12일께에는 각 후보들의 3대 핵심과제 및 그 외 과제에 대한 공약을 비교해 언론에 발표한다.
또 11월 12일부터 19일까지 일반 시민과 전문가를 대상으로 어떤 후보의 공약이 가장 성평등한 공약인지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 조사결과를 발표하기로 했다. 이런 여론조사 결과를 토대로 11월 19일부터 25일까지 3대 핵심과제를 수용하지 않은 후보에 항의 메일을 보내는 사이버 캠페인도 전개할 예정이다.
여성연대는 또 3대 핵심과제에 동의하는 시민들 중에서 '서포터즈'를 모집, 온라인 상에서 '평등대통령 알려나가기 캠페인'과 '선거참여 캠페인' 등을 벌이기로 했다.
여성연대측은 “여성계의 요구를 공약에 반영시키는 데 주력할 것이지만 특정 후보 지지는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여성연대 관계자들은 이날 기자회견이 끝난뒤 인사동 입구에서 ‘평등대통령 만들기 서포터즈’ 모집 캠페인을 벌였다.
***후보들도 女心 잡기에 고심**
한편 대선주자들은 여성계 움직임에 관심을 기울이면서 여심(女心)을 잡을 비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는 지난 23일 한국여성단체협의회 주최 토론회에서 "국무위원 등 정부 고위 임명직의 30%에 여성기용을 목표로 하겠다"며 "정부 전 부처에 여성정책 담당관제를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지자체의 여성정책 담당부서를 정비하겠다"고 밝혔다. 이 후보는 특히 “대통령이 되면 여성총리를 지명하겠다”고 공언한 바 있다.
그러나 이 후보는 호주제 폐지에 대해선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취했다. 이 후보는 "호주제 폐지에 관해서는 아직도 유림과 같은 전통적인 집단들이 반대하고 있으므로 우선 친양자제도를 도입하고 호주승계 순위를 조정하는 일부터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무현 민주당 후보는 호주제 폐지에 찬성한다는 입장이다. 또 노 후보 선대위는 지난 23일 ▲평균 보육료 50% 지원 ▲여성 일자리 50만개 창출 ▲공직선거의 지역구 30%, 비례대표 50% 할당제 도입 ▲성매매방지법 제정 ▲여성노인 복지증진 등 여성정책 5대 핵심공약을 발표했다.
‘국민통합21’ 정몽준 의원은 여성의 정치참여 확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정 의원은 지난 8일 “지방의회와 국회에서 여성의 공천비율을 50% 할당하는 법과 제도를 만들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정 의원은 또 "적임자만 있다면 여성 국무총리도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며 "현 정부보다 많은 여성각료를 기용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호주제와 관련해서는 "폐지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이다.
다음은 여성연대가 3대 핵심과제 외에 요구하는 10대 주요과제다.
①성매매, 가정폭력, 성폭력 등 여성폭력 근절 및 피해자 지원 강화
②의회 및 공직, 정책결정 과정에서의 여성 할당 30% 이상 보장
③한부모 가족을 위한 경제적.정서적 지원책 수립
④모성보호비용 사회분담 전 여성으로 확대 및 생애주기별 여성건강정책 수립
⑤평화.통일 정책에서의 여성 50% 참여 확대 및 반전.평화정책 수립
⑥여성 장애인 관련 부처 내 전담 인력 배치 및 자립생활 지원체계 마련
⑦여성 농민의 모성보호, 건강, 육아를 위한 지원 시스템 확충
⑧성평등 의식 정착을 위한 교육.미디어.문화정책 실행
⑨재가노인복지 서비스 대상층 확대 및 치매노인을 위한 의료 서비스 확대
⑩성평등적 관점이 통합된 예산 및 국가정책 수립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