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총장 선거에 나선 후보들이 저마다 추락한 서울대의 위상의 제고 방안과 관련, '대학자율권 확보'를 처방으로 제시하고 나서 앞으로 교육인적자원부와 마찰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17일 서울대 농업생명과학대 건물 소강당에서 1백여명의 수원캠퍼스 교수 및 학교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첫번째 후보소견 발표회가 열렸다.
정운찬, 장호완, 송상현, 김유성, 이장무 등 5명의 총장 후보들은 최근 '안티SNU(反서울대)' 분위기의 사회적 확산과 관련해 "서울대의 위상이 과거와 같지 않다"는 데 입을 모았다. '서울대 위기론'을 현실로 인정하는 분위기다.
***분출한 '서울대 위기' 원인 진단**
'서울대 위기'의 원인 분석은 다양하게 제기됐다.
각 후보들은 우선 이기준 전임 총장을 직접 거론하지는 않았으나 '총장의 도덕성' 문제를 서울대 위상 하락의 한 원인으로 제기해 주목을 끌었다.
정운찬(사회대 학장) 후보는 "그동안 새로운 지식창출에 매진하기보다는 총장을 출세의 발판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서울대 위상 하락의 근본 원인이었다"고 지적했다.
송상현(법학과 교수) 후보도 "총장의 도덕성 문제 등으로 서울대의 사회기여도가 예전 같지 않다"면서 "초단기적으로는 저하된 서울대의 사기를 고양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유성(법학과 교수) 후보는 "서울대가 학문의 발전 변화에 적응하지 못했다"면서 "내부갈등을 수습하고 화합할 수 있는 총장의 리더십 확보가 선결요건" 이라고 주장했다.
이장무(공대 학장) 후보는 "서울대가 교육부의 일방적인 지침을 슬기롭게 소화하지 못해 리더십을 상실했다"고 지적하고 "국민과 사회에 감동을 주지 못한 것은 총장과 구성원의 책임"이라고 주장했다.
장호완(지구환경과학부 교수) 후보도 "학문적으로 필요한 지도자를 키워야 한다"면서 "이를 위한 재정확보, 총장의 리더십 확보가 관건" 이라고 주장했다.
***학부제·모집단위 광역화 등 "정부의 일방적 지침에 모두 반대"**
이날 후보들은 학부제 및 모집단위 광역화 문제 등에 대해서도 "정부의 일방적인 지침에 의한 정책"이라며 전원 반대 목소리를 냈다. 후보들은 또 "정부정책으로부터 자율성 확보가 우선"이라며 "학부제와 모집단위 광역화는 부작용이 적지 않다"는 데 너나없이 입을 모았다.
이와 관련 장호완 후보는 "매년 바뀌는 학사제도는 교육부에 의해 강요된 변화"라면서 "이것을 벗어나지 않는 한 서울대의 자율성도 요원하다"며 독립적 의사결정권 확보를 주장했다.
송상현, 정운찬, 이장무, 김유성 후보 등도 광역화 정책에 대해 학문의 발전을 획일화한다는 점과 교육부의 일방적 정책에 따라 획일적으로 만들어졌다는 점에서 학부제와 모집단위 광역화 정책에 대한 반대를 표명했다.
서울대는 18일 관악, 연건 캠퍼스에서도 후보자 소견발표회를 연이어 갖고 20일 23대 총장 선거를 실시할 방침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