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 참패 이후 노무현 민주당 대통령후보의 지지율이 급락하고 있다.
동아일보와 중앙일보가 17일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6.13 이후 이회창 한나라당 대통령후보와 노무현 민주당 대통령후보간의 지지율 격차가 12~14%포인트대로 크게 벌어졌다.
동아일보와 코리아리서치센터(KRC)는 지난 15일 전국 성인남녀 1천5백92명을 상대로 전화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후보와 노 후보의 양자대결구도에서 각각 40.4%와 26.8%의 지지도를 보여 이 후보가 14.6% 포인트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중앙일보 여론조사팀이 지난 15∼16일 전국 성인남녀 1천7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전화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이 후보 48.9%, 노 후보 36.3%로 이 후보가 12.6%포인트 앞섰다.
두 신문의 여론조사에서 이 후보가 노 후보를 오차범위를 넘어서 앞선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에 앞서 6.13선거 실시직전인 지난 13일 SBS와 MBC는 이 후보가 노 후보를 각각 2.0%, 5.9% 차이로 앞서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보도했었다. 6.13선거 참패후 노무현 후보의 지지세력이 급속히 이탈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증거다.
***노무현 30대 지지층 이탈 심각**
동아ㆍ중앙일보 여론조사에서 특히 주목되는 대목은 노무현 후보의 확실한 지지층이었던 20~30대의 대거 이탈 움직임이다.
중앙일보 조사결과에 따르면, 지난 5월 조사때 노무현 후보가 앞섰던 30대 지지율이 이번 조사에서는 노무현 42.8%, 이회창 44.7%로 근소한 차이나마 노무현 후보가 뒤쳐졌다.
동아일보 조사는 노무현 35.9%, 이회창 32.5%로 아직 노무현 후보가 3.4%포인트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 또한 지난 5월의 격차 23.7%포인트 차이와 비교하면 무려 20%포인트 이상 격차가 좁혀진 수치다.
30대에서 노무현 지지층의 이탈이 가속화하고, 이것이 지지율 역전의 결정적 요인이 됐음을 알 수 있는 증거다.
노무현 후보의 또다른 지지축인 20대의 지지율 급락도 주목된다.
동아일보 조사결과 지난달 조사때 55.5% 대 28.4%(노무현 대 이회창)로 27.1%포인트나 벌어졌던 20대 지지율 격차가 이번 조사에서는 40.2% 대 34.5%(노무현 대 이회창)로 5.5%포인트 차이로 격감했다.
노무현 지지기반의 대거 몰락 위기다.
***3자, 4자 대결구도에서도 이회창 독주**
3자 및 4자 대결 구도에서도 이회창 후보가 노무현 후보를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아-KRC 여론조사에 의하면 이회창 39.6% 노무현 25.6% 박근혜 8.7%의 지지도를 보였다. 정몽준 의원이 포함된 3자 대결구도에서는 이회창 36.0%, 노무현 22.9%, 정몽준 15.3%의 지지도를 보였다.
중앙일보 여론조사에서는 3자 대결구도에서 각각 이회창 42.9% 노무현 32.0% 박근혜 12.0%와, 이회창 40.1% 노무현 28.6% 정몽준 18.7%로 조사됐다.
민주당 선거 패배에 대한 책임론과 관련해선 "노무현 후보나 당 지도부에 책임을 물을 필요는 없다"는 응답이 28.2%로 가장 높게 나왔으나, "노무현 후보와 당 지도부가 모두 책임을 져야 한다"가 23.6%, "당 지도부의 책임이 크므로 인책이 있어야 한다"가 19.6%로 뒤를 이어, 민주당의 근원적 쇄신책이 필요함을 시사했다.
중앙일보 조사에서는 노 후보의 재신임 여부에 대해서는 55.6%가 "그대로 대통령 후보가 되는 것이 좋다", 28.7%가 "다른 후보로 대체되는 것이 좋다"고 답했다.
***향후 민주당 수습책 논란 장기화 예상**
이같은 여론 조사 결과는 노 후보 재신임 문제 등 6.13 지방선거 참패에 대한 수습책을 논의할 것으로 알려진 17일 '당무위원ㆍ국회의원 연석회의'를 위시한 향후 민주당 쇄신작업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노 후보의 지지율 급락은 송석찬 김기재 의원 등 경선과정에서 이인제 후보를 지지했던 의원들을 중심으로 제기하고 있는 '후보교체론'이나 '제3후보론' 등에 힘을 실어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특히 노무현 후보의 지지율 급락은 6.13 선거 책임 논쟁에서 노 후보의 입지를 급속히 축소시키는 작용을 할 것으로 알려져 앞으로 민주당 재편 논란이 장기화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