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회창 총재가 총재직 사퇴와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공식 발표했다.
이 총재는 26일 비주류 세력과 소장파 의원들이 지속적으로 요구해 온 '12월 대통령 선거 전 집단지도체제 도입'을 전격 수용하고 자신은 당권을 포기, 대선에만 전념할 뜻을 밝혔다.
비주류와 소장파 의원들은 이 총재의 추가 수습안에 일단 환영의 뜻을 밝혀 한나라당 내분사태는 일단락된 듯 보인다. '박근혜 탈당' 이전부터 당 내분의 핵심 요인이었던 비주류의 '대선 전 집단지도체제 도입' 요구에 대해 이 총재가 완전 굴복, 1백% 수용됐기 때문이다.
이제 한나라당은 '포스트 이회창'을 노리는 치열한 당권 경쟁구도에 접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이른바 '측근 3인방'으로 지목돼 온 인사들의 최고위원 경선 참여 여부는 여전히 논란의 불씨가 될 전망이다.
또한 당권·대권 분리체제로 양대 선거를 치루기 위한 당 내부의 새로운 전열정비가 과제로 떠올랐다.
***"당권 포기하고 대선에만 전념"**
이 총재는 이날 오후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5월 전대에서 정치혁신과 정권교체에 대한 국민 여망에 부응하기 위해 총재제도를 폐지하고 집단지도체제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이어 "저는 최고위원 경선에 출마하지 않음으로써 당의 단합을 위한 밀알이 되겠다"며 당권을 포기하고 대선에만 전념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 총재는 또 "빠른 시일내 총재권한대행 체제를 갖추어 총재직을 사퇴할 것이며 최근 부총재단 사퇴에 따라 새로 구성될 당운영특별기구(중진협의체)에서 성공적인 전대를 치르기 위한 만반의 준비를 하게 될 것"이라며 "그간의 갈등을 봉합하고 화합과 단합의 길로 나아가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 총재의 추가 수습안이 발표됨으로써 앞으로 한나라당은 5.10 전당대회 이전까지는 '당운영특별기구'를 중심으로 운영되고 전대 이후에는 최고위원들이 실질적 의결권을 갖는 최고위원제로 운영된다. 이 총재의 수습안 발표 직후 한나라당은 총재단 사퇴에 따른 과도지도체제로 '당화합 발전을 위한 특별위원회(당특위)'를 구성하기로 하고 위원장에 박관용 의원을 내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금주 중 당무회의를 열어 당헌, 당규 개정안을 의결한 뒤 내달 초 중앙위 운영위를 소집, 이를 최종 확정할 예정이다.
***26일 고비로 '민주당 삐걱, 한나라당 단합' 상황 역전**
이 총재가 발표한 추가 수습안은 당 안팎에 '노풍'의 파고가 높아지면서 후보 및 정당 지지도 추락에 따른 심각한 위기의식의 표출로 풀이된다. 특히 당내 갈등을 조속히 매듭짓고 양대 선거를 대비, 전열 재정비의 필요성이 제기되면서 비주류측 요구사항이 상당부분 수렴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인제 후보의 사퇴 고심 등 민주당 경선 상황의 급변도 중요한 배경이다. 그간 민주당은 국민경선으로 '인기몰이'에 성공했고, 상대적으로 한나라당은 내분 악화로 국민 눈밖에 났다. 하지만 26일을 계기로 민주당 경선은 삐걱거리고, 반대로 한나라당은 이 총재가 '모든 것을 던져 당을 구하는' 모양새를 갖춤으로써 상황의 극적 반전을 꾀한 것이다.
이에 따라 탈당설이 돌던 김덕룡, 홍사덕 의원의 당 잔류 가능성도 높아졌다. 김 의원측은 "이 총재가 새로운 안을 던진 만큼 일단 추이를 지켜볼 것"이라며 당분간 직접적인 행동을 유보할 뜻을 비쳤다.
***당권경쟁 점화, 대선가도 전열재정비 과제로**
이제 한나라당은 새로운 상황변화를 맞게 됐다.
우선 치열한 당권 경쟁이 예상된다. 협의제 형식으로 운영돼 온 과거 총재단회의와는 달리 최고위원들이 권한을 분장하는 실질적 합의제로 전환하게 됨으로써 '포스트 이회창'을 노린 중진 의원들은 물론 일부 소장파 의원들도 앞다퉈 경선에 뛰어들어 당권 선점을 노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 과정에서 이 총재 '측근 3인방'의 최고위원 경선 도전 여부는 '이 총재 수렴청정론'과 맞물리면서 계속 쟁점으로 남아 있게 될 것이다.
또한 당권.대권 분리를 전제로 한 당의 선거체제 전환도 과제다.
전당대회 후 당이 대표최고위원 중심으로 운영될 경우 대선후보로서 대표의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안전장치'가 담보되지 않아 이 총재의 향후 대선 구도에 적잖은 마찰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97년 대선 당시 당권, 대권이 분리됨으로써 단일한 대선전열을 구축하는데 실패했던 경험이 다시 재현될 수 있다는 우려다.
이러한 우려를 극복하고 양대선거를 치루기 위해서는 대선후보와 당의 협조체제 구축 등 각종 체제정비가 뒤따라야 할 것이다.
결국 이 총재의 추가 수습안 발표로 한나라당 내분사태는 일단 수습국면으로 접어들 것으로 보이지만 이 총재의 대선 가도에 적잖은 궤도수정이 불가피해졌다는 게 중론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