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子不器 (爲政)
器(기) : 그릇과 같음. 그릇은 특정한 형태 특정한 용도로만 쓰임.
따라서 군자는 그릇과 같아서는 안 된다는 의미.
이 구절의 의미는 널리 알려진 것과 같이 매우 분명합니다. 여러 주(注)에서 부연 설명되고 있듯이 ‘그릇’(器)의 의미는 분명합니다.
그릇이란 각기 그 용도가 정해져서 서로 통용될 수 없는 것(器者 各適其用 而不能相通)입니다. 어떤 그릇은 밥그릇으로도 쓰고 국그릇으로도 쓴다고 우길 수도 있습니다만 그릇(器)의 의미는 특정한 기능의 소유자란 의미입니다.
군자는 그래서는 안 된다는 것이 이 구절의 의미입니다. 군자(君子)의 품성에 관한 것이며 유가사상이 제기하는 인간상(人間像)이기도 합니다.
이 구절은 막스 베버가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를 논하면서 바로 이 논어구를 부정적으로 규정함으로써 널리 알려진 구절이기도 합니다.
베버의 경우 기(器)는 한마디로 전문성(專門性)입니다. 베버가 강조하는 직업윤리이기도 합니다. 바로 이 전문성에 대한 거부가 동양사회의 비합리성으로 통한다는 것이 베버의 논리입니다.
군자불기(君子不器)를 전문성과 직업적 윤리 즉 프로페셔날리즘(professionalism)의 거부로 이해하였습니다. 분업을 거부하였고 뷰로크라시(官僚性)를 거부하였고 전문성을 위한 훈련을 거부하였고 이윤추구를 위한 경제학적 훈련(training in economics for the pursuit of profit)을 거부하였다고 이해하였습니다.
그것이 바로 동양사회가 비합리적이며 근대사회 형성에서 낙후될 수밖에 없는 원인이라는 결론을 이끌어내고 있습니다.
우리는 막스 베버의 논리가 자본주의를 최고의 가치로 전제하고 그것을 합리화시키는 논리임을 모르지 않습니다. 그리고 자본주의의 역사를 조금이라도 읽은 사람이면 자본주의 경제체제가 베버의 프로테스탄티즘을 동력으로 하고 있는 것이 아님을 잘 알고 있습니다.
이러한 논의를 구태여 이 대목에서 재론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논의는 자본주의 경제체제를 뛰어넘고 그것의 대안적 모색에 초점이 모아져야 한다고 생각하지요.
바로 그 점과 관련하여 이 구절을 재조명하고 싶은 것이지요. 오늘날도 전문성을 강조하기는 막스 베버와 다르지 않습니다. 전문성은 경쟁논리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한 편으로 생각해보면 자본가는 전문성을 띠지 않습니다.
브로델은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자유주의자들과 대부분의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자본가들이 경제적 전문화의 위대한 실천가였다고 주장해 왔다. 그러나 전문화를 거부하는 것이야말로 성공한 자본가들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자본가는 언제나 전문화를 거부했으며 어느 한 분야에 스스로 옥죄이는 것을 회피하였다. 전문화는 존재했지만 그것은 언제나 아래층에서 하는 일이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