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춘은 그런 면에서 주류적 흐름에서 벗어나 있다. 그가 선택한 박사 학위 논문은 노동 문제였고, 주로 관심을 기울인 분야는 한국전쟁이나 과거사였다. 노동은 인류가 문명적 삶을 살 수 있도록 이끌어준 인간의 본질적 활동이지만, 적어도 한국에서 노동은 천시받고 있고, 심지어 불온시 되고 있다. 노동 문제를 공부하는 건 전문 연구자로서 프로젝트 등을 통한 돈벌이 포기 선언이기도 하다. 한국전쟁 등 과거사에 천착하는 것도 마찬가지다. 돈이 안 되는 것은 물론, 연구 성과를 제대로 평가받기도 어렵다. 김동춘이 공부만 했던 것도 아니다.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에서 4년 동안 상임위원으로도 일했다.
모두들 미래로 나가자고 할 때, 왜 김동춘은 끊임없이 과거를 살피고 있었을까. 김동춘은 그렇다 치고, 우리는 왜 이미 지나 버린 과거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걸까. 김동춘의 책 <대한민국 잔혹사>(한겨레출판 펴냄)가 이런 질문에 대한 답을 주고 있다.
이 책은 한겨레가 펴내는 주간지 <한겨레21>에 2011년 5월 23일부터 2012년 12월 17일까지 연재했던 '김동춘의 폭력의 세기 vs 정의의 미래'를 엮은 것이다. 대개 교수들이 쓴 책은 거친 문장이나 너무 전문적인 내용 때문에 읽기 불편한 경우가 많았는데, 김동춘의 책은 청소년들도 어렵지 않게 읽을 수 있다. 큰 장점이다.
▲ <대한민국 잔혹사>(김동춘 지음, 한겨레출판 펴냄). ⓒ한겨레출판 |
"사실 이런 일들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지난 65년간 유사한 형태로 지속되어 왔다."(15쪽)
"과거 공권력의 잘못을 제대로 단죄하지 못했기에 오늘날 이 잘못이 되풀이되고 있으며 미래에도 그렇게 될 위험성이 크다."(15쪽)
틀림없는 지적이다. 과거에 대한 공부는 그래서 필요하다. 김동춘의 작업은 그래서 '망각과의 투쟁'이기도 하다. <대한민국 잔혹사>에 나오는 이야기들은 소수의 전문가 등 선수들을 제외하면, 그 시대를 살았던 사람들에게도 낯선 이야기인지도 모른다. 역사를 특정 소수만 알고 일반 시민이 모른다면 그건 죽은 역사고, 거기서는 어떤 역사적 교훈도 찾을 수 없다. 그러니 폭력의 악순환을 끊어낸다는 것은 언감생심이다. 해서 김동춘은 친절하게 역사와 현실의 접목을 시도한다. 중요한 사건은 별도의 칸을 만들어 사건 개요를 알기 쉽게 요약해주고 있다. 글씨도 크고 편집도 시원하니 가독성도 좋다. 한번 손에 잡으면 금세 읽을 수 있다.
이미 60년도 더 지난 옛 일, 남의 일을 왜 지금 와서 되새겨야 하는지에 대한 김동춘의 생각이다.
"옳은 자를 강하게 하는 일은, 정치의 무대에 누가 서는가, 어떻게 정치를 하는가의 문제다. 그러자면 우선 옳지 않으면서도 힘을 갖게 된 사람들의 이력과 연유를 만천하에 알려야 한다. 그러나 옳은 일을 하다가 탄핵당한 사람을 기억하고 위로하며, 그들의 아픔에 공감해주는 일도 그만큼이나 중요하다."(33쪽)
여기까지는 평이한 권선징악적 주장이다. 하지만 이 뻔해 보이는 주장도 곧바로 이어지는 네 개의 단어 '관심, 앎, 연대, 공감'과 만나 떨림과 울림을 일으킨다.
"관심, 앎, 연대, 공감은 옳음에 힘을 부여하는 무기다. 그래서 우리는 오늘의 정치를 힘이 정의로 군림하게 된 한국 사회의 메커니즘 속에서 다시 읽어야 하고, 힘이 정의가 된 역사를 반추하면서 정의가 힘이 될 수 있는 세상을 열망해야 한다."(33쪽)
<대한민국 잔혹사>에는 많은 사람들의 이름이 나온다. 가해자 또는 피해자의 실명들이다. 역사는 이렇게도 기록되고 또 기억되는가 보다. 하긴 유엔이 인권의 진전을 위해 일하는 방식도 이렇다. '거명해서 창피주기(Naming and Shaming)'는 유엔이 인권문제를 두고 취하는 가장 일반적인 조치다. 무기력해보일 때도 있지만, 이건 어쩌면 가장 정확한 심판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래서일까. 박근혜를 비롯한 친일파 후손들은 민족문제연구소가 펴낸 <친일인명사전>(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엮음)을 두고 격렬한 반응을 보였나보다.
보완했으면 좋겠다 싶은 몇 가지 아쉬운 대목도 있다. 시점이 맞지 않거나 사실관계가 틀린 것들도 있고, 김동춘의 주관적 판단이 도드라져 지나치게 단정적인 표현을 쓰는 경우도 많다. 근거 없는 주장처럼 여겨지는 대목도 좀 있는데, 주석을 달아 근거를 알려줬으면 좋았을 것이다. 다만 몇 권이라도 참고 문헌이나 더 읽을거리를 알려줬어도 좋았겠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