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당국자는 4일 저녁 기자들과 만나 북한이 정부가 처음에 제안했던 판문점 통일각에서 회담을 열자고 통보해왔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오후 8시 25분 경 판문점 연락 채널을 통해 통일각에서 회담을 개최하자고 전달 받았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당초 회담 장소로 판문점 통일각 또는 평화의집을 제의해 놓은 상태였다.
오는 6일 회담의 대표로 남한에서는 서호 남북협력지구지원단장 등 3명의 대표단이, 북한에서는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박철수 부총국장 등 3명의 대표단이 참석할 예정이다. 양측은 5일 회담 대표단 명단 교환을 비롯한 실무적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이다.
▲ 판문점 북측 통일각 ⓒ뉴시스 |
남북이 이번 회담 개최를 합의하는 데는 총 10시간 30분이 소요됐다. 문제는 회담 장소였다. 북한은 이날 오후 5시 경 우리 측 회담제의에 동의한다면서, 회담 장소를 개성공단 내 종합지원센터에서 하자고 역 제의했다. 북한은 종합지원센터가 지난 석 달간 사용하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5일 우리 측 인원들이 미리 들어와 필요한 준비를 하라고 통보했다.
이에 정부는 오후 7시 15분 경 종합지원센터를 사용한지 오래됐으니 우리 측이 이미 제시했던 판문점으로 하거나 아니면 파주 도라산 출입사무소에서 하자고 다시 제안했다. 북한은 이후 오후 8시 25분 경 판문점 통일각에서 합의를 하자고 최종 통보했다.
회담 장소 문제가 이처럼 쟁점이 된 것을 두고 개성공단 정상화에 대한 양측의 입장이 다른데서 기인한 것이라는 지적이 나왔다. 북한은 개성공단에서 회담을 열자고 제의하면서 남한의 입주 기업인들도 함께 방북할 것을 제안했다. 북한의 이러한 제의는 기업인들과 직접 만나는 과정을 통해 현 상황에서 개성공단을 재가동시키겠다는 의지로 풀이된다.
그러나 남한은 당장 개성공단의 재가동보다 발전적인 정상화를 염두에 두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인들이 개성공단에 들어가 북한 인사들과 접촉하는 것이 향후 재발방지 약속 등과 같은 정상화 조건 문제를 협의하는 데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당국 간 협의를 하고 난 뒤에야 기업인들도 방북할 수 있고 발전적 정상화도 추진할 수 있다는 판단이다. 또 원래 제안했던 판문점에서 회담을 진행함으로써 회담의 주도권을 뺏기지 않으려는 의도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