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 시가 살아남은 이유는?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이 시가 살아남은 이유는?

[한만수의 '백 년 동안의 검열'] 책, 왜 인쇄일과 발행일이 다른가

한국에서 출판되는 모든 책에는 인쇄일과 발행일이 따로 기재되어 있다. 대개 1주일쯤의 간격을 둔다. 다른 어느 나라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간기(刊記) 형식이다. 도대체 인쇄일과 발행일은 왜 다른가. 바로 검열 제도 때문이다. 인쇄한 뒤에 검열을 통과해야 판매할 수 있으니 발행일은 1주일쯤 뒤로 찍히는 것이다. 물론 현재는 사전 검열 제도(또 그 유습이었던 납본 제도)가 폐지되었지만, 오랜 압제의 시기에 만들어진 간기 형식이 오늘날까지도 흔적 기관처럼 남아있는 것이다.

이런 간기 방식은 일제 식민지 시기에 생겨났다. 그 때 검열은 사전 검열과 사후 검열로 나뉘어졌다. 잡지의 대부분과 모든 단행본은 원고로 검열 받은 뒤에 인쇄해야 했고, 신문은 아무래도 속보성 때문에 원고 검열이 어려우니 '인쇄와 동시에' 검열 받도록 했다. 사전 검열이라고는 하지만 원고 검열로만 끝나는 게 아니라 인쇄 후에는 다시 검열을 받아야 했다. 검열 지시가 이행되었는지도 확인하고 또 그 사이에 시국이 바뀌었으면 추가로 검열해야 할 필요도 있었으니까. 그뿐 아니라 단행본의 재판이나 삼판을 찍을 때도 다시 검열했다.

이렇게 철저하게 검열하고자 했지만, 아이러니컬하게도 그 이중 삼중의 검열 때문에 우리는 검열 당국이 어떤 것을 삭제하고자 했는지를 확인할 수도 있다. 초판에 있다가 재판에서는 사라진 내용도 확인할 수 있고, 드물게는 원고 검열의 흔적을 확인할 수도 있다. 일간 신문의 경우는 지방판(초판)과 서울판이 다른 경우도 자주 있으니 더욱 그렇다.

▲ <일제시대 식민지 압수 기사 모음>(정진석 엮음, LG상남언론재단 펴냄). ⓒLG상남언론재단
특히 일간 신문의 검열 과정과 그 흔적을 보면 검열 권력과 신문 기자들 사이의 숨바꼭질이 생생하다. 초판이 나오면 곧바로 총독부 경무국 도서과로 보내 검열 받는다. 검열관은 각 신문사에 전화를 걸어 지시한다. "윤전기 멈추시오. 몇 면 몇 단의 무슨 기사는 어디부터 어디까지 삭제하시오." 편집국에서는 예, 예, 대답은 시원스레 하면서도 윤전기는 되도록 늦게 멈춘다. 물론 검열 결과가 반영된 지면을 나중에 총독부에 제출해야 하지만, 극단적으로 말하자면 맨 마지막 인쇄본 2부만을 삭제하여 보고해도 된다는 것이다. 제작 시간도 빠듯한데다가, 검열 지시를 이행하지 않은 기사들이 많을수록 독자들의 호응이 좋았으니 그리하였다. 이렇게 해서 총독부의 문서에는 삭제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면서도, 각 신문사에 보관된 신문에는 버젓이 살아있는 기사들이 적지 않다. 정진석 교수는 주로 이런 기사들을 모아 자료집(<일제시대 민족지 압수 기사 모음> 1,2권)을 냈는데, 모두 1226건의 기사가 복원되었다.

일제 후기로 가면서 신문들은 친일적 지면으로 바뀌지만 적어도 1920년대 중반까지는 이런 식의 反(반) 검열 의지가 충만했다. <조선일보>, <동아일보>에도 이런 시절이 있었던가 싶겠지만 사실이 그렇다. 물론 두 언론의 사주들의 의지 덕분은 아니고, 일장기 말소 사건이 그랬듯이, 몸담았던 기자들의 저항 의지에 힘입은 것이었다. 편집권 독립이 얼마나 소중한 가치인지는 여기서도 확인된다.

잡지에서도 비슷한 노력이 적지 않았다. 천도교 잡지였던 <개벽>은 그 대표적인 사례이다. 널리 알려진 이상화의 저항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는 <개벽>에 실렸다가 통째로 압수된 작품이다. 그런데 어떻게 해서 오늘날까지 남아있는가? 잡지를 검열 받지 않은 채로 미리 우송한 덕분이다. 물론 위험을 무릅써야 하는 일이니까, 천도교 간부 등 믿을 만한 독자들에게만 보냈다. <개벽> 편집진은 '인쇄일'을 곧 '발행일'로 만들어버린 셈이다.

해방 이후라고 사정이 바뀐 것은 물론 아니다. 2판 이후 신문 지면이 바뀌는 일은 흔했다. 예컨대 윤영옥 화백의 만화 <까투리>(1972년 6월 19일)는 1판에서 문제가 되자 2판 이후 다른 것으로 교체되었다. 애당초 "(망하지 않으려면) 농림부에서 권장한 사업만 안 하면 되요"라고 되어있던 대사를, 내부 검열을 거치면서 농림부 눈치를 보느라 '관계 당국'으로 바꾸었는데, 그게 오히려 화를 불렀다. '관계 당국'이라니 새마을운동에 트집을 잡는 것 아냐? 이렇게 되어 윤화백은 해직되고 말았다.

갑자기 무슨 원고가 있어서 대체하느냐고? 그런 걱정은 할 필요 없다. 유사시에 대비해서 만평을 미리 준비해놓는 것은 만화가들의 생존 전략이었다. 예비 만화는 풍자 대신에 누구도 비판하지 않는 유머 만화, 또는 만만한 사람만 비판하는 것이었다. 이날 2판에서 대체된 만화는 버스 안내양의 불친절을 풍자하는 것이었다. 버스 안내양은 '관계 당국' 대신에 한밤중에 불려 나와서 엉덩이를 걷어차인 셈이다.

정부 기관 뿐만 아니라 각 기업에서도 1판에 주목하는 건 마찬가지이다. 회사나 사주의 이미지에 악영향을 끼치는 것은 없나 검토하는 것은 홍보부 직원들의 주된 업무 중 하나였다 (오죽하면 1판을 없애자는 논의가 제기되었을 정도이다). 문제가 될 기사를 발견하면 백방으로 그것을 수정하고자 노력했다. 물론 광고와 연계한 압력이 주종을 이루었다. 광고를 주지 않겠다는 협박, 내일 당장 얼마어치 광고를 주겠다는 회유 등 다양했다. 특정 기업에 불리한 기사가 1판에 실렸다가 2판에서 누락된 자료들과 그 후에 해당 기업의 광고가 실린 상황을 조사하면 이런 영향 관계를 실증할 수 있을 터이니 신문학도의 좋은 연구 과제가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관계 당국'이나 기업의 요구와 절충하려는 중간 간부들(또한 광고국)과 자신의 기사를 살리려는 일선 기자 사이의 갈등은 고조될 수밖에 없었다. 때로는 고성이 오가는 일까지 없지 않았다. 2판에서 사라지거나 바뀐 것은 잘 찾아보면 눈에 보이지만, 바뀌지 않고 남아있는 것은 이런 투쟁 끝에 살아남은 것임에도 불구하고 보이지 않는다. 사정이 이러하니, 보이지 않는 것을 보는 노력이 필요하고, 그것들을 소중한 것으로 기억해야 마땅하다.

이렇게 우리의 선배들은 자신의 '혀'를 지키기 위해 교묘한 방식의 반(反) 검열 행동을 지속했으며 그 흔적은 아직도 생생히 남아있다. 물론 발각되면 상당한 위험을 감수해야 했음에도 그리했다. 승진 등에서 각종 불이익을 받을 것이 눈에 뻔히 보임에도 그 길을 선택했다. 곳곳에서 언론과 표현의 자유가 압박당하고 있는 오늘, 그분들이 왜 그렇게 했던가 새삼 되새기지 않을 수 없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