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27일 신탁통치 관련 <동아일보> 허위기사로 온 나라가 발칵 뒤집히고 한 달이 지났다. 이 허위기사에 연루된 하지가 곤욕을 치른 일은 그저께 적었다. 그런데 이 한 달 동안 하지보다도 더 큰 타격을 받은 쪽이 있었다. 임정과 김구였다. 커밍스는 이 시점의 상황을 이렇게 정리했다.
민주의회란 어떤 것이었는가? 프레스턴 굿펠로우와 이승만, 그리고 하지가 민주의회의 설계자들이었다. 굿펠로우는 11월 말 서울에 도착한 이래 임정과 한민당, 그리고 그밖의 비 좌파 정치조직들이 이승만의 영도 아래 모이도록 노력해 왔다. 1월 28일까지 그는 임정 해산과 이승만 주도의 통합 운동에 대한 김구의 지지를 확보해 놓았다. 물론 임정은 이미 해체되어 있었고(또는 자폭 상태였고), 김구는 너무나 체면이 구겨져 이승만의 뒷전에서 놀 수밖에 없게 되어 있었다.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232쪽)
해방 전 OSS 부사령관이던 굿펠로우에 관해서는 12월 21일자에 적은 일이 있다. 1946년 설치된 CIA의 전신인 OSS는 1942년 만들어진 것인데, 대령이 부사령관이었던 것을 보면 아직 초라한 위상이었던 것 같다. 굿펠로우는 OSS가 만들어지기 전부터 이승만과 친분을 가지고 있었고 이승만의 미국 내 활동, 그리고 귀국까지 도와주었다. 진나라 장양왕이 왕자 때 조나라에 인질로 있는 것을 보고 여불위가 "기화가거(奇貨可居)!"를 외친 것과 같은 안목이 굿펠로우에게 있었던 것인지.
여불위가 장양왕을 따라 진나라에 들어간 것처럼 굿펠로우가 이승만을 따라 한국에 들어온 것은 1945년 11월 하순의 일이었다. 그 상황을 커밍스는 이렇게 그렸다.
이승만의 미국인 후원자 프레스턴 굿펠로우는 다소 수상쩍은 경로를 통해 점령군 고문인가 뭔가 하는 직책으로 그 무렵까지 한국에 들어와 있었다. ([주] 굿펠로우의 임명 경위가 흥미롭다. 11월 5일 이승만의 오랜 친구 제이 윌리엄스가 트루먼 대통령에게 보낸 편지에서 굿펠로우를 "한국에 파견할 것"을 권했다. 그러자 트루먼은 11월 7일 번즈 국무장관에게 "굿펠로우 대령에게 이런 임무를 맡겨 보내는 것도 괜찮을 것 같다."는 쪽지를 보냈다. 11월 13일 존 빈센트는 굿펠로우와 윌리엄스가 이승만과 함께 "국무성을 제멋대로 비판해 온" 사람들이라고 말했다. 11월 13일 번즈는 트루먼에게 편지로 굿펠로우의 임명에 "반대는 없지만" 그를 "대통령 특사"로 보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뜻을 전했다. 굿펠로우가 한국에 온 길은 이렇게 이승만이 온 길과 비슷한 길이었다. 국무성 국제주의자들의 반대를 회피하는 우회로였다. 이쪽에서 이승만이 맥아더와 하지에게 굿펠로우 선전을 해주는 자기 몫을 한 것은 물론이다.)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207, 518쪽)
커밍스의 책에는 미국의 정책 혼선 상황이 세밀하게 살펴져 있다. 번즈 국무장관이 대표하는 국무성의 국제주의 노선이 공식적인 위치를 지키고 있었지만 국가주의 노선이 이미 강력히 대두하고 있어서 맥아더와 하지의 일탈 행위도 현실적 근거를 상당히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커밍스는 본다.
그러나 국무성의 점령군 비판에는 다른 문제들도 있었다. 1943년 이래 국무성 자체의 한국 관련 계획에는 하지의 관점과 꽤 맞아떨어지는 요소들이 들어가고 있었던 것이다. 한국, 또는 그 남반부가 소련의 영향이나 통제를 받지 않는다는 보장은 남한 현지에서 어떤 원료를 얻을 수 있느냐에 달려 있었다. 그런데 소련에 반대할 것이 확실한 현지 세력은 이승만, 한민당과 경찰뿐이었다. (…) 뿐만 아니라 하지의 국가주의-봉쇄주의 관점은 존 맥클로이, 딘 러스크, 조지 케넌, 애버럴 해리먼 등 전후(戰後) 미국 외교정책에서 극히 중요한 인물들이 공유했던 것으로 보인다. 아마 해리 트루먼 자신도 공유했을 것이다. 그렇다면 문제는 국가주의 논리에 있었던 것인가? 그렇지 않으면 국제주의 노선과 전후 세계 현실 사이의 간극에 있었던 것인가?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229-230쪽)
주 소련 미국대사 해리먼이 2월 2일 하지를 만나러 한국에 올 때 하지에게 따지러 온 것이 아닐까 하는 상상을 그저께 적었는데, 커밍스의 설명을 보면 잘못 짚은 것 같다. 해리먼의 회고에서 "1월에 한국에 갔을 때 하지 장군에게 매우 좋은 인상을 받았다."는 말까지 인용되어 있다. 주 소련 대사관에 근무하고 있던 조지 케넌이 유명한 '긴 전보'를 작성한 것이 1946년 2월 22일의 일이었는데, 이 무렵의 외교 현장에서는 국제주의가 완전히 한물 간 상황이었던 모양이다.
루즈벨트 시대를 통해 미국 외교정책을 관통해 온 국제주의 노선이 루즈벨트가 죽은 지 1년이 안 되어 뒤집히고 있었던 것이다. 원자탄의 등장이 이 변화를 촉진한 것이라고 나는 본다. 제1차 세계대전을 통해 미국은 유럽 선진국과 맞먹을 수 없는 2류 국가에서 1류 국가로 발돋움했다. 국제주의 외교노선은 그 상황에 맞춰 세워진 것이었다. 그런데 제2차 세계대전을 통해 슈퍼파워가 된 미국은 나눠 먹기 식 국제주의에 만족하지 못하게 되었다.
하지가 1947년 10월 한국을 방문한 미국 하원의원들에게 미국이 "모스크바 합의 대신 영구히 분단된 남한을 향해 노력하는 편이 좋았겠다."고 한 말을 들어 커밍스는 하지가 이승만과 똑같이 분단을 지향했다고 본다. (같은 책 229쪽) 나는 여기에 동의하지 않는다. 하지의 말은 후회를 뜻한 것으로 보인다. 1946년 초 당시 분단을 확고한 목표로 떠올리지 못하고 있었던 사실을 후회하는 말로 이해되는 것이다.
분단이 하지에게 확고한 목표는 아니었더라도 분단 회피 역시 그에게 확고한 목표는 아니었을 것이다. 1945년 11~12월에 임정과 김구를 극진히 대접한 것은 임정을 내세울 경우 남한만이 아니라 한국 전체를 미국의 영향력 안에 확보할 수 있으리라는 희망 때문이었다. 12월 30일의 '국자 사태'로 김구에 대한 신뢰가 깨지면서 한국 전체에 대한 하지의 야심이 무너지고 분단 쪽으로 생각이 기울기 시작했을 것이다.
분단 건국 방침을 이승만이 처음 공언한 것은 1946년 6월 3일의 일이었다. 그러나 그 방침을 마음속에 품은 것은 물론 더 오래된 일이다. 공언하지 않은 상태에서 정확하게 언제부터인지 가릴 수는 없는 일이지만, 하지보다는 빨랐을 것이다. 1945년 12월 들어 반공 발언을 강화할 때는 이미 분단 건국의 목표가 굳어져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김구가 분단을 바라지 않은 것은 천하가 아는 사실이다. 그런데 그가 앞장선 극한적 반탁운동이 한국을 분단의 길로 몰아넣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사실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반탁의 깃발을 쳐들기만 하면 민중은 말할 것 없고 경찰, 군정청 직원, 친일파, 자본가들까지 모두 그 깃발 아래 모을 수 있으리라고 그가 정말로 믿었던 것일까?
임정의 권위마저 크게 훼손되었다. 26년간 존재한 임정이지만, 귀국 시의 그 모습은 1942년 10월의 좌파 포용 이후의 것이었다. 좌우합작의 모델 노릇에 임정의 큰 가치가 있었다. 극한적 반탁운동 속에 좌우합작의 정신이 외면당하면서 임정의 깃발이 찢어졌다. 돈과 폭력의 위협에서 한민족을 지켜줄 가장 큰 도덕적 권위의 주체가 사라지고 있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