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현 CJ그룹 회장 일가의 비자금 조성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소득세 탈루를 확인하기 위해 수사 대상을 세밀하게 확대하고 있다. 이에 따라 CJ그룹 측은 홍보조직을 가동한 언론 대응조차 제대로 하지 못한 채 패닉 상태에 빠져들고 있다.
23일 검찰은 이 회장의 편법증여에 따른 증여세 탈루 등에 대한 혐의를 수사할 가능성도 내비쳤다. 검찰에 따르면, 이 회장이 수천억 원대의 비자금 중 무기명 채권으로 관리하던 수백억원대의 자금을 두 자녀에게 편법증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CJ그룹 측은 이 회장이 500억여 원 규모의 무기명 채권을 장녀 경후 씨와 차남 선호 씨에게 각각 나눠 증여했다는 사실은 시인했다. 다만 CJ그룹 측은 "채권을 넘기는 행위 자체가 증여세 납부와 관련이 없다"면서 증여세 탈루 의혹에 대해 부인했다.
무기명 채권 500억 원, 편법증여 논란
하지만 검찰에서는 의혹을 사고 있는 증여시점을 2006년 쯤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진행 중인 비자금 수사와 연결해 추가 수사 대상이 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고 있다.
또한 검찰은 소득세 탈루과 연결된 흐름을 찾기 위해서는 모든 것을 조사한다는 방침을 세워두고 있어 수사가 어디까지 확대될지 재계가 긴장하고 있다.
특히 박정식 서울중앙지검 3차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소득세 탈세 의혹으로 조사 방향을 잡고 있다"면서 "탈세 혐의를 입증하기 위해 2008~2009년 세무조사 자료와 CJ 측에서 가져온 압수물 분석, 관계자 소환조사 등을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검찰은 이재현 회장이 선대로부터 물려받았다는 수천억원대의 차명재산이 이명박 정부 하에서 1700억 원을 자진 납부하는 방식으로 이 회장 명의로 전환되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들여다보고 있다.
차명재산 전환과정 , 양도세 탈루 등도 추적
국세청이 차명재산의 존재를 확인하고서도 검찰에 고발하지 않고 넘어간 것이 당시 이명박 대통령의 절친인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 등의 세무조사 무마 로비 때문이라는 의혹에 대해 당시 검찰의 수사를 하다가 석연치 않은 이유로 중단됐다는 점에서, 이번에 다시 철저히 조사할지 주목된다.
또한 검찰은 CJ그룹이 임직원 명의의 차명계좌를 이용해 계열사 주식을 매매하면서 시세차익을 챙기고도 수백억원대의 양도소득세를 내지 않은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전해졌다. 주식거래 과정에서 수사 기관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대부분 현금과 무기명 채권만 사용했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검찰은 CJ그룹이 홍콩 특수목적법인을 통해 비자금을 관리한 의혹과 해외 페이퍼컴퍼니를 통해 비자금을 조성한 뒤 국내에서 수익을 거두고 이를 다시 국외로 빼돌려 세금을 포탈한 의혹 등도 중점적으로 파헤치고 있다.
결국 검찰은 탈세 혐의 입증을 위해서는 해외 조세피난처에서부터 과거 국세청의 세무조사 자료 등 모든 것을 동원하겠다는 것이어서 CJ그룹과 이재현 회장은 마땅한 대응방법 찾기에 골몰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