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조·중·동의 전쟁이 시작된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조·중·동의 전쟁이 시작된다"

[판도라의 상자, 열렸다①] 종합편성채널은 '세이렌의 유혹'?

지난 22일 '신문·방송 겸영', 대기업의 방송 소유를 허용하는 한나라당의 언론 관련법이 '날치기' 논란 속에 통과됐다. 민주당 등 야 4당과 시민·사회단체는 '재투표', '대리 투표' 논란을 제기하며 '무효'를 주장하고 있는 상황. 그러나 한나라당의 법안이 국회를 통과한 것으로 인정될 경우 한국의 언론은 조·중·동과 재벌, 이명박 정부가 주도하는 최대의 권력 게임에 휩쓸릴 수밖에 없다. 그 판도라의 상자를 들여다본다. <편집자>

한나라당의 언론 관련 법이 가져올 가장 가시적인 변화는 조·중·동과 재벌이 각각 30%씩 지분을 소유할 수 있는 종합편성채널이 등장하게 된다는 것.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은 언론 관련 법 통과 전부터 "통과 여부와 관계없이 올해 내에 종편편성채널을 승인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방통위는 22일 언론 관련 법 '날치기' 통과 후, 바로 법 시행에 필요한 시행령 개정 사항을 발표하는 등 발빠르게 움직였다.

종합편성채널?

'종합편성채널'이라는 개념이 익숙치 않은 것은 이것이 아직까지 현실에 등장한 적 없는 방송 형태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송출 방식만 '케이블(위성 포함)'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지상파 방송과 다를 뿐 보도, 교양, 오락, 스포츠 등 편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기존의 지상파 방송과 같다. 이 때문에 정연구 교수는 "이른바 '지상파 방송'을 '지상파 종합편성채널'로 불러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종편편성채널은 '케이블방송 사업자는 누구나 종편 채널을 전송해야한다'는 '의무 재전송' 규정의 혜택을 받는다. 현재 전 가구의 85%가 케이블TV로 방송을 시청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기존의 지상파 방송에 못지 않은 접근성을 가진 방송이 등장하는 셈. 게다가 하루 24시간 방송이 가능하고 '중간 광고'도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지상파 방송(하루 19시간 방송, 중간 광고 금지)에 비해 누릴 수 있는 특혜는 더 많다. 시민사회에서 "'신문·방송' 겸영의 핵심은 종합편성채널"이라고 지적해 온 것도 이 때문이다.

"조·중·동은 종편을 좋아해"

이 때문에 '신문·방송 겸영'을 요구해온 대부분의 거대 신문사들은 종합편성채널에 관심이 많다. 최근 케이블방송 'Q채널'을 종합엔터테인먼트 채널인 'QTV'로 확대한 중앙일보가 가장 대표적이다. 중앙일보는 지난해 8월 'Q프로젝트 태스크포스'팀을 꾸린 뒤 종합편성채널 진출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중앙일보의 자회사인 'IS플러스'(옛 일간스포츠)도 지난해 11월 중앙일보그룹의 본격적인 방송 사업 진출을 위해 외국계 미디어 사업자인 터너브로드캐스팅과 방송채널 공동 설립을 위한 파트너십을 추진한다고 공시하기도 했다. 터너브로드캐스팅은 CNN, 워너브라더스 등을 자회사로 둔 타임워너의 자회사다. 외국 자본의 종합편성채널 지분을 20%까지 소유하도록 허용한 이번 개정안과 맞물려 향후 지분 참여가 예상되는 지점.

조선일보는 디지털조선일보를 통해 개국한 케이블TV '비즈니스앤'에 전문 인력을 확충하는 등 제작 역량을 키우고 있고 KNN 등 지역 민방과 공동 제작에 나서는 등 적극적 행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방상훈 조선일보 사장이 지난 6월 워싱턴 특파원과의 간담회에서 "방송을 안 하면 (신문사가) 천천히 죽고, 하면 빨리 죽는다"는 말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방송 사업 진출에 회의적이라는 분석이 나오기도 한다.

22일 'MBC 인수에 관심 없다'는 사설에서 지상파 방송에 진출한 생각은 없다고 선언한 동아일보사도 종합편성채널 진출을 위한 태스크포스팀을 가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중·동 가운데 방송 진출 준비에 가장 후발 주자로 꼽히는 동아일보는 작년 12월 시작한 인터넷 방송 '동아 뉴스테이션'을 확대·개편해가며 방송 경험을 축적하는데 박차를 가하고 있다.

매일경제는 22일 미디어법이 통과되자 종합편성채널 진출 계획을 공식적으로 선언했다. <매일경제>는 이날 "매일경제는 이미 새로운 미디어 종합편성채널 사업자로서 발전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다"며 "종편 사업에서 성공할 수 있는 충분한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자평했다. MBN의 한 관계자는 "기존 신문사·방송사 가운데 MBN만큼 종편 준비를 열심히 하고 있는 곳은 없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 종합편성채널은 이들에 과연 기회일까? ⓒ프레시안

투자 비용 많이 들고 광고 시장은 이미 레드오션

이들 신문사의 종합편성채널 진출은 장비 등 막대한 초기 자본이 드는 방송 사업의 특성과 신문사들의 경영 상황을 감안했을 때 대부분 대기업과의 컨소시엄 형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한나라당이 신문사와 대기업에 종합편성채널 소유 지분을 30%까지 허용했기 때문에 '삼성-중앙일보'와 같은 대기업-신문사 컨소시엄은 최대 60%까지 절대 다수의 지분을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막상 이들 신문사가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할 대기업을 찾기가 쉽지 않으리라는 지적이 많다. 시장에서는 종합편성채널은 최소 5000억 원, 보도전문채널은 최소 1000억 원 수준의 초기 투자가 있어야 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그에 반면 과포화 상태에 이른 방송 광고 시장의 상황을 봤을 때 단기간에 이익을 얻기가 쉽지 않으리라는 것.

신태섭 동의대 전 교수는 "현재 광고 시장에서 메이저급 매체가 KBS2TV, MBC, SBS 세 개인데 종합편성채널이 늘어나면 그러한 메이저 매체가 하나 더 생기는 것"이라며 "재벌이 참여한 종합편성채널은 해당 기업의 광고 특혜를 받을 것이고 신규 매체 진입에 따라 광고 시장 크기가 커지는 것은 해당 채널이 거의 흡수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신 전 교수는 "GDP 대비 광고 시장 점유율, 성장률 추이 등을 봤을 때 현재 광고 시장에서는 거대 매체 하나 더 생기는 것은 가능할지 모르나 2개 이상은 어렵다고 본다"면서 "KBS2TV를 수신료 중심으로 전환하거나 MBC를 크게 위축시키지 않는 한 2개 이상의 종편이 생존하기는 어렵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조·중·동의 '자중지란'이 기다린다

이러한 시장 상황은 향후 종합편성채널의 선정을 비롯해 컨소시엄 구성, 광고 확보 등을 두고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매일경제 등 보수 매체들이 치열한 다툼을 벌여야 함을 시사한다. 신 전 교수는 "시장 규모에 비해 턱없이 많은 매체가 들어오려고 하기 때문에 치열한 경쟁이 불가피하다"며 "한나라당은 무리해서 조·중·동 방송을 얻어냈지만 '표'를 얻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꼬집었다.

김승수 전북대 교수도 "앞으로 이명박 정부와 방송통신위원회는 종합편성채널을 조·중·동 중 누구에게 줄 것인가 등을 두고 골머리를 앓게될 것"이라며 "조·중·동과 이명박 정부 내부에서 자중지란이 되어 폭발할 수 있는 문제"라고 전망했다.

김 교수는 "'종편 채널'만이 아니라 만약 이명박 정부가 'MBC 민영화'를 추진한다고 해도 그 방송을 누구에게 줄 것이냐도 문제가 될 수밖에 없다"이라며 "지금부터 싸움은 조·중·동 사이에서 벌어질 것이며 극히 일부를 제외하고는 어느 누구도 만족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봤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