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영남 전통마을 순례에 초대합니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영남 전통마을 순례에 초대합니다"

[알림] 국토학교(교장 박태순) 5월 답사 안내

우리 땅의 소울(soul)과 스피릿(spirit)을 찾아 떠나는 국토학교(교장 박태순. 소설가). 지난 4월 개교 답사 <남한강 뱃길 따라, 영남대로 옛길 따라 (관련기사 ☞고구려 정복길 따라, 조선 선비 유학길 따라)> 를 감동적으로 마치고 5월 답사 <영남 전통마을 순례>를 다음과 같이 마련합니다. 5월 넷째 주말인 23-24일의 1박2일, 교장 선생님의 <길 위의 명강의>로 열리는 국토학교에 여러분의 참여를 기대합니다.

5월 23일(토요일)

08:00 서울에서 출발(서울 강남 압구정 현대백화점 옆 주차장, 유진여행사 경기76아 9111)

<배경설명 : 양백지간 인문환경과 씨족마을들>


태백산과 소백산의 양백(兩白)에서 산줄기와 물줄기를 받아내는 경북 북부 산악지역을 양백지간이라 한다. 영주, 봉화, 영양, 청송, 안동, 의성, 예천 일대를 가리킨다. 그런데 양백지간이란 표현에는 교통 불편한 경제적 낙후지역이라는 의미는 전혀 포함되지 않는다. 낙토(樂土)와 길지(吉地)의 인문환경 속에서 서원과 서당과 사당과 재실 중심의 유교 향촌사회를 이루어 대물림의 전통을 지켜오고 있다는 자부를 나타내 보이고 있었다.

안동대학교의 조사에 따르면 안동시에는 종택(宗宅) 곧 '종갓집'을 유지하고 있는 마을이 3백여 군데나 된다. 이 중 문화재로 지정된 유물을 가진 종택들이 30여 집안이다. 안동향교의 조사로는 서원이 26개소이고 서당 2개소, 사우(祠宇)가 7개소이다.

▲ 태백산과 소백산 사이의 양백(兩白)지간은 낙토(樂土)와 길지(吉地)의 인문환경 속에서 서원과 서당, 사당과 재실 중심의 유교 향촌사회를 이루어왔다는 자부가 강하다. 사진은 양백지간의 입구인 죽령.ⓒ황헌만

정약용은 <택리지>의 발문에서 이렇게 말했다.

"우리나라에서 장원과 농장이 아름답기로는 오직 영남(嶺南)이 최고이다. 가문마다 각각 조상을 추대하여 한 터전을 점유하여 일가들이 모여 살아 흩어지지 않는다. 가령 진성 이씨는 퇴계(이황)를 추대하여 도산을 점유하였고, 풍산 유씨는 서애(유성룡)를 추대하여 하회를 점유하였고, 의성 김씨는 학봉(김성일)을 추대하여 내앞[川前]을 점유하였고, 안동 권씨는 충재(권벌, 權橃)를 추대하여 닭실[酉谷]을 점유하였다."

영남 향촌사회는 성리학에 바탕을 둔 조선 사대부문화의 온상지를 이루게 되는데 서울 중심의 중앙집권문화에 무조건 포섭되지는 않았다. 16세기에 이르러 사화들이 거듭되고 있었음에도 재야의 유림-사림-산림들은 지치주의(至治主義)의 사대부정치를 표방하여 마침내 훈구파들을 역사로부터 완전히 퇴장시키는 과업을 달성한다. 이황을 필두로 하는 영남사림(동인-남인 당색)과 이를 이어받는 기호사림(서인-노론 당색)이 어떻게 이런 역할을 해낼 수 있었는지, 특히 죽령 이남의 양백지간 문화지리학이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10:00-10:30 단양군 단성면 하방리(구단양)
퇴계 친필 석비 답사 : 복도별업(復道別業), 탁오대(濯吾臺)


이황은 1548년 정월에 단양군수로 부임하였다가 같은 해 10월에는 풍기군수로 옮기게 되는데 그의 친형 이해가 충청도 관찰사로 임명을 받았기 때문이었다. 당시의 단양은 워낙 척박하고 낙후된 지역이어서 이황은 관개 수리 사업을 일으키는데 이를 '복도별업'이라 했다. 수로를 제대로 복원하여 농업 진흥을 이루게 한다는 뜻이다. 하지만 훈구파들의 문란한 정치를 혁파시켜 올바른 도를 회복시키는 별도의 사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뜻으로 새겨볼 수도 있다.

단양천은 도락산에서 발원하여 상선암-중선암-하선암 및 사인암을 거쳐 남한강 본류에 합류되고 죽령천은 소백산 죽령 지경에서 발원하여 남한강 본류로 흘러드는데 이황은 수리 사업을 완수한 다음 '탁오대'라는 친필의 석비를 세우기도 했다. 단양 수몰민회관에 이 석비들이 남아 있다.

단양 적성산성은 서기 540년대 무렵 죽령을 넘어온 신라군이 고구려군을 패퇴시키고 쌓은 성이었고, 단양 신라 적성비는 1979년에 발굴되어 국보 198호로 지정을 받았다. 원단양(구단양)은 충주댐 건설로 수몰지역이 되어 아래가 물에 잠기고 여기에 중앙고속도로 건설로 적성산성을 동강내어 위가 길바닥이 되는 흉측한 모양새가 되고 말았지만 단양천과 죽령천에 어린 문화지리학마저 소멸시키지는 못한다. 사인암과 삼선암 그리고 저수령 고갯길의 생태환경이 되살아나고 있는 중이다.

▲ 단양 적성산성은 서기 540년대 무렵 죽령을 넘어온 신라군이 고구려군을 패퇴시키고 쌓은 성이다. ⓒ황헌만

11:00-12:00 죽령 옛길 트래킹 2.5km (편도, 내리막길)

중앙고속도로 완공으로 죽령터널이 개통되면서 1시간 이상 걸리던 죽령 고갯길(5번국도)을 넘는 차량들이 드물게 되었다. 여기에 영주시는 해발 696m의 고갯마루에서 희방사 입구가 되는 옛 쇠다리(수철교) 주막거리까지 죽령 옛길 자연관찰로를 복원해 놓았다.

죽령 옛길의 잔운대-촉영대 쪽에는 퇴계 이황과 그의 형 온계 이해의 전별 시비가 세워져 있기도 하다.

(** 영주시 문화관광- 테마여행- 죽령옛길 개념도 활용
http://tour.yeongju.go.kr/pages/sub.jsp?menuIdx=73)


죽령옛길 자연관찰로


12:30-13:30 점심식사 (풍기 인삼시장 삼계탕)

14:00-14:30 영주 무섬마을 (영주시 문수면 수도리)


무섬마을은 물 위에 떠 있는 섬 마을이라는 뜻인데 행정지명으로는 '수도리(水島里)'라 표기한다.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乃城川)이 3면을 휘돌아 흐르고, 동쪽 모래톱 위에 마을이 똬리를 틀어 들어앉았다. 풍수지리상으로는 매화꽃 모양이 되는 매화낙지, 또는 연꽃이 물 위에 떠 있는 연화부수(蓮花浮水) 형국이라 하여 길지(吉地) 중의 길지로 꼽힌다.

17세기 중반에 반남 박씨(潘南朴氏)인 박수가 처음으로 들어와 입향조가 되고, 그의 증손녀 사위인 선성 김씨(宣城金氏) 가문이 영조 때 다시 무섬에 들어왔다. 이로부터 반남 박씨와 선성 김씨가 함께 세거(世居)해 오늘날까지 두 집안의 집성촌으로 남아 있다. 마을 전체가 고택과 정자로 이루어져 있고, 안동 하회마을과 지형적으로도 비슷해 천혜의 자연조건을 자랑한다. 문화재도 많아 해우당 고택(海遇堂古宅), 김규진 가옥(金圭鎭家屋), 김위진 가옥(金渭鎭家屋), 만죽재 고택(晩竹齋古宅) 등 9점이 경상북도 문화재자료와 민속자료로 지정되어 있다.

<주변의 참고할 곳> 안동 풍천 가일마을 (안동시 풍천면 가곡리)

풍산읍에서 하회마을로 들어가는 초입의 풍광 좋은 곡창지대에 가일 마을이 자리 잡고 있다. 안동 권씨 복야공파의 600 여년 세거지(世居地)를 이루어 오는데 입향조(入鄕祖)는 권항(權恒)이라는 인물이었다(1403-1461). 그의 손자 권주(權柱)는 중앙 정계에 화려하게 진출하였으나 1504년에 갑자사화의 피해를 입는다. 권주의 네 아들도 박해를 받는데 장남인 권질은 후일 자신의 딸을 이황의 재취부인이 되게 했다. 이 마을에 있는 병곡종택은 권주의 생가를 후일 개축한 것이었고, 시습재를 비롯하여 다수의 전통문화유산들을 갈무리해온다. 한말에는 의병활동이 일어나고 8.15 해방 직후에는 '안동의 모스크바'라 불리기도 했던 사연도 있었다. 하회마을보다는 덜 알려져 있지만 집성촌의 특성을 잘 지켜오고 있는 대표적인 양백지간의 동족마을이다.

15:00-16:20 도산서원, 퇴계종택

안동시 예안면과 도산면 일대는 1976년의 안동댐 건설로 수몰지역이 되면서 주변 환경이 훼손되었지만 그와는 대조적으로 도산서원의 복원사업은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왔다. 하지만 문화역사 순례지여야 하는 도산서원보다는 국민관광단지가 되어 있는 주변 환경의 어지러움이 있다. '정신문화의 수도'를 내세우는 안동시이기는 하지만 전통문화와 산업문명 사이에 필연적으로 수반되는 갈등 해소의 대책이라든가 문화관광정책의 눈높이에 대한 반성을 아까워하고 있다.

▲ 도산서원 일대의 문화경관은 서원 자체의 건축구조보다는 낙동강-도산-청량산의 자연환경-인문환경-역사환경을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황헌만

도산서원 일대의 문화경관 조성은 전통과 근대의 계승 관계보다는 단절 관계를 표현해주고 있는 듯하지만 서원 자체의 건축구조보다는 낙동강-도산-청량산의 자연환경-인문환경-역사환경을 함께 살펴보아야 한다.

고인(古人)도 날 못 보고 나도 고인 못 뵈.
고인을 못 뵈도 예던 길 앞에 있네
예던 길 앞에 있거든 아니 예고 어찌할꼬.


(현대어 표기)

퇴계의 시조에 나오는 표현 그대로이다. 퇴계 예던 길 앞에 있거늘 아니 예고 어찌할꼬. 도산9곡의 한시와 도산12곡의 한글 시조들을 통해 이황은 자신이 어떻게 이상적인 '유교산수'를 완성시켰는지 노래하여 읊어주고 있는데 이를 통해 도산의 풍광을 음미할 수 있다. 이웃에 이육사문학관이 있다.

17:00-19:00 '퇴계 예던 길' 산책
19:00-21:00 강변 회식 및 나눔모임

안동시는 도산면 토계리에서 가송리를 거쳐 청량산에 이르기까지 '퇴계 예던 길'을 조성 중이지만 자동차가 다니지 않는 강변 산책로의 경관 보존 대책이 요청된다.

도산면 분천리에 있던 농암 이현보의 종택은 수몰지역이 되어 직계 후손이 가송리로 이건하여 분강촌을 조성하였는데 낙동강 전망의 풍광이 좋은 산언덕에 세워져 있다. 이건시킨 종택에는 후손들이 주거하고 있지만 안채를 제외한 사랑채라든가 분강서원 등은 홈스테이로서 관광객들에게 개방하고 있다.

농암종택에서 단천리 전망대까지 낙동강변 퇴계 예던 길을 산책하고 강변 회식도 갖는다.

21:00 가송사랑방(다인실) 취침

5월 24일(일요일)

06:00 기상
07:00 아침식사
08:00 청량산으로 출발

08:30-11:30 청량산 오산당 및 청량사 트레킹


"청량산 육육봉(六六峰)을 아는 이 나와 백구(白鷗).
백구야 날 속이랴. 못 믿을 손 도화(桃花)로다.
도화야 물 따라 가지 마라 어주자(漁舟子·어부) 알까 하노라."

청량산 육육봉은 66봉 아니라 12봉을 가리킨다. 10대의 소년시절에 이황은 이 산에서 글공부를 하던 집을 '오산당(吾山堂)'이라 부르기도 하였다. 청량산은 퇴계에게 '나의 산'이었다. 원효, 의상, 김생, 최치원의 사적들이 청량산의 청량사 일대에 간직되어 있지만 이황의 제자들은 줄기찬 청량산 유산록을 통해 이 산을 이황의 명산으로 만들어놓는다.

▲ 청량산은 퇴계에게 '나의 산'이었다. 이황의 제자들은 줄기찬 청량산 유산록을 통해 이 산을 이황의 명산으로 만들어놓았다. ⓒ황헌만

12:00-13:00 점심식사

13:30-14:20 닭실마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충재 권벌의 고택이 있는 마을로 금계포란 형의 명당자리라 하여 닭실마을이라 한다. 한국 촌락 공간구조가 어떻게 형성되는지 연구 대상이 되며 청암정의 조경이 찬탄을 자아내게 한다. 충재기념관에는 권벌의 유품들과 서적들이 보관되고 있으며 이 마을에서 생산되는 한과는 더욱 명성을 얻고 있다.

▲ 닭실마을의 청암정 전경. ⓒ황헌만

15:00-15:40 소수서원, 선비촌

소백산 북쪽 영월 청령포에 유배된 단종과 소백산 남쪽 순흥에 유배된 삼촌 금성대군이 모의하여 세조에 반항하려 한다는 밀고로 특히 순흥 고을이 없어지면서 순흥 안씨들은 몰살당하고 영남 유림들은 핍박을 받는다. 고려시대의 인물 안향을 내세워 주세붕이 백운동서원을 세우고 이황이 풍기군수로 부임하면서 소수서원이라 이름을 바꾸어 최초의 사액서원으로 되게 한 것은 영남 사림들의 일대 문예부흥운동이었다. 훈구파들의 세습 세도정치를 몰아내려는 근거지를 이로부터 마련해 나갈 수 있게 하였다.

▲ 최초의 사액서원인 소수서원은 영남 사림들의 일대 문예부흥운동이었다. ⓒ황헌만

<주변의 참고할 곳> 죽계구곡, 초암사, 달밭골

풍기군수로 부임한 이황은 1549년 3월에 소백산 유람에 나서서 '유소백산록'을 쓰는데 죽계천을 따라 국망봉으로 오르면서 경치 좋은 아홉 군데의 명칭을 스스로 붙여주기도 한다.

15:40 서울로 출발

<5월 답사의 키워드 : 산은 책이다>

퇴계 이황 : '책 읽기는 산 유람과 같다(讀書如遊山)'

讀書人說遊山似 사람들이 말하기를 책 읽기가 산 유람과 흡사하다 했는데
今見遊山似讀書 나이 들수록 산의 유람이 책 읽기와 같다는 걸 일깨우네
工力盡時元自下 공력을 다하여 봉우리에 오르면 스스로 내려오는 법
淺深得處摠由渠 얕고 깊음의 경치를 살피는 것 모두가 자기에게 달려있네
坐看雲起因知妙 조용히 앉아 구름이 어찌 일어나는지 오묘함을 터득하고
行到源頭始覺初 산행의 행보가 정상에 이르매 비로소 원초를 깨닫네


한편 목판화가이며 최근 <목판화로 보는 국토백경> 전시회(헤이리 북하우스 아트스페이스 등. 2009.3.28-5.3.)를 연 김억 선생이 5월 답사에 실감을 더할 소중한 작품들을 제공하셨습니다.

▲ 도산구곡 중 도산서원
▲ 도산구곡 중 농암종택과 고산정
▲ 청량산

이번 5월 답사 참가 규모는 30명이며 자세한 안내와 문의는 http://www.huschool.com 또는 전화 050-5609-5609 이메일 master@huschool.com으로 해주세요.

▲ 서울~단양군 단성면 하방리(구단양),복도별업,탁오대~죽령 옛길~풍기(점심식사)~영주 무섬마을(영주시 문수면 수도리)~도산서원,퇴계종택~퇴계 예던 길,농암종택(가송리)<1박>~청량산 오산당 및 청량사~닭실마을(봉화군 봉화읍 유곡리)~소수서원,선비촌~서울 *죽령 옛길과 청량사는 트레킹 코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