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는 지난 17일 서울 여의도 KBS 본관 3층에 있던 기자실을 홍보실과 함께 자료동 4층으로 옮기고 기자들이 본관과 신관을 출입할 때 반드시 홍보팀을 경유하도록 출입을 제한했다. 당초 기자들은 발급받은 출입증으로 본관과 신관을 출입할 수 있었으나 이 출입증으로는 자료동만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본관과 신관 출입에 제한을 가한 것.
KBS가 이런 결정을 내리기까지 기자들의 의견을 묻거나 미리 출입 지침 변경을 알리는 어떠한 절차도 없었다. KBS 홍보팀은 "KBS는 주요 방송 시설이 많기 때문에 이같은 조치를 취했다"며 "앞으로 KBS에 대한 모든 취재는 홍보실 협조를 얻어서 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기자들은 강하게 반발했다. KBS 출입기자 중 28개사 30명의 기자들은 21일 밤 '국민의 방송이 국민의 알 권리를 가로막는가'라는 성명을 내 "최근 들어 벌어진 KBS의 공정성 논란과 사원 파면 사태 등에 비등하고 있는 KBS 내 비판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것을 봉쇄하겠다는 의도가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들은 "KBS는 최대한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한 취재를 보장할 의무가 있는 국민의 방송"이라며 "KBS에서는 취재의 자유가 그 어느 곳보다 존중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은 △종전대로 신관·본관 출입을 허용하고 취재의 자유를 보장하라 △이번 조치의 책임자는 공개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라고 요구하면서 "이러한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단호하게 행동에 나설 것"이라고 경고했다.
다음은 KBS 출입기자들이 낸 성명 전문. <성명서> 국민의 방송이 국민의 알권리를 가로 막는가 -KBS는 출입기자들에 대한 '취재 통제'를 즉각 철회하라 대한민국 언론의 모범이어야 할 공영방송 KBS에서 믿기 힘든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 바로 출입기자들에 대한 '취재 통제' 조치다. KBS 측은 갑자기 본관 3층에 있던 기자실을 자료동으로 이전하고 앞으로 신관·본관의 모든 취재는 홍보팀을 반드시 경유하라고 일방 통보했다. 사전에 어떠한 의견 수렴 절차도 없었다. "KBS는 중요 방송시설이 많기 때문"이라는 답변뿐이다. KBS의 이번 조처는 참여정부 시절 전 언론계의 저항을 불렀던 '취재 접근권 제한'과 쏙 빼 닮았다. 당시 정부는 정부기관에 출입하는 기자들이 '무단침입'을 하고 있다며 공보담당관을 통한 취재원 접촉만을 허용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명백히 국민의 알권리 침해이자 언론자유에 대한 도전이라고 비판하던 목소리에 KBS도 함께 했던 기억이 생생하다. 이율배반적이다. 만약 그렇게 정당하다면 KBS는 앞으로 소속 기자들에게 출입처에서 무조건 홍보담당부서를 통해서만 취재를 하라고 지침을 내려야 마땅하다. 더욱이 다른 지상파 방송사들도 출입기자들의 사옥 출입을 회사 자의적으로 제약하지 않는다. MBC와 SBS는 출입기자들의 자유로운 취재 활동을 대부분 보장하고 있다. MBC와 SBS는 중요방송시설이 없어서 취재의 자유를 존중하는가. 중요방송시설이 많기 때문이라는 이유도 납득하기 어렵다. 사장실, 임원실, 정책기획센터 등 KBS의 핵심 부서가 있는 본관 주요 층은 현재도 접근이 불가능하다. 주조종실 등 중요 시설에 출입기자가 무단으로 들어가 취재한 적이 있었는가? KBS 구성원들의 업무에 지장을 준 적이 있었는가? 있다면 구체적 사례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또한 출입기자들은 KBS가 요청하는 신원 정보를 제출해 정당하게 검증을 받은 사람들이다. 이 같은 조처들은 출입기자들이 중요 시설에 훼손을 가할 것이라는 가능성을 둠으로써 사실상 우리들의 명예를 훼손하는 것이다. 이미 KBS의 이 같은 방침은 진정성이 없음이 증명됐다. 홍보팀 관계자는 16일 "신관? 본관 출입 통제는 검토하고 있는 안 가운데 하나일 뿐, 19일이 돼야 결정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출입 통제 조처는 KBS PD들의 사원행동 직원 중징계 반대 집회가 열린 18일부터 시행됐다. "홍보팀을 경유하더라도 취재에 불편함이 없도록 하겠다"는 약속은 19일부터 지켜지지 않았다. 신관에서 열린 PD협회 총회 취재 협조 요청을 위해 홍보팀을 찾아간 기자를 기다리고 있던 것은 "오늘은 어디도 들어갈 수 없다"는 대답이었다. 결국 이는 최근 들어 벌어진 KBS의 공정성 논란과 사원 파면 사태 등에 비등하고 있는 KBS 내 비판의 목소리를 전달하는 것을 봉쇄하겠다는 의도가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KBS는 국민의 방송이다. 국정원 같은 비밀조직이 아니다. 최대한의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국민의 알권리를 충족시키기 위한 취재를 보장할 의무가 있다. 취재의 자유가 그 어느 곳보다 존중받아야 하는 이유다. 우리는 양식있는 KBS 내 구성원들을 믿는다. 이 같은 조처는 대다수 KBS인들의 의지와는 무관한 것이라고 확신한다. 우리는 앞으로 상식을 존중하는 KBS 언론인들과 함께 회사 측의 부당한 취재 통제 철회를 촉구할 것이다. 아울러 23일까지 다음과 같은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단호하게 행동에 나설 것이다. -종전대로 신관·본관 출입을 허용하고 취재의 자유를 보장하라. -이번 조치의 책임자는 공개 사과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라. 2009년 1월21일 경향신문 김정섭 문주영, 국민일보 전병선, 서울신문 이은주, 세계일보 김수미, 한겨레 김동훈 권귀순 이문영, 한국일보 라제기, 스포츠월드 한준호, 스포츠칸 하경헌, 스포츠한국 강은영, 뉴시스 유상우, 머니투데이 스타뉴스 김수진, 아시아경제 강승훈, 헤럴드경제 서병기 조민선, 노컷뉴스 이지현, 뉴스엔 김형우, 마이데일리 최나영, OSEN 김국화, 이데일리 박미애, 메트로 전수미, 아시아투데이 문연배, 조이뉴스24 이승호, 기자협회보 장우성, 피디저널 원성윤, 미디어스 안현우, 미디어오늘 조현호, 프레시안 채은하, 오마이뉴스 전관석 (27개사 31명)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