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의 강제 진압 과정에서 철거민 5명과 경찰 1명이 사망한 용산 철거민 참사를 두고 <조선일보>, <동아일보>, <중앙일보> 등 보수 언론은 경찰과 철거민 사이에서 양비론을 폈다. 이번 사태를 양측 간의 '극한 충돌'로 규정하고 화염병, 시너 등 전국철거민연합회의 폭력 대응을 부각하는 기사를 배치한 것.
이들 신문은 각기 1면에 사진과 함께 이번 사태를 다뤘지만 경찰의 강제 진압의 문제점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았다. 이는 "'용산 철거민 진압 참사' 6명 사망"(<조선일보>), "극한 충돌이 대형 참사 불렀다"(<동아일보>), "화염병 시위 중 시너 폭발 농성자 5명 경찰 1명 사망"(<중앙일보>) 등의 제목을 통해 잘 드러난다.
이날 여타 신문이 "'토끼몰이 진압' 철거민 참사 키웠다"(<한겨레>), "철거민 진압 6명 사망…'공안통치' 참사"(<경향신문>), "무모한 진압이 '용산 참사' 불렀다"(<한국일보>) 등 경찰의 강제 진압 논란과 이를 사실상 강제한 이명박 정부의 문제점을 짚은 것과 대조된다.
애매모호한 <조선일보>, 축소 보도 급급
특히 <조선일보>는 다른 신문에 비해 보도량도 적었고 사설도 애매모호한 태도를 취했다.
다른 신문이 1면과 3, 4, 5면을 할애해 이번 사태를 집중 보도한 반면 <조선일보>는 1면과 5면, 10면, 11면에서 간략하게 다뤘다. 5면 기사도 "철거민 참사로 2월 '인사청문회 전쟁' 예고"라는 제목으로 정치권의 공방을 다룬 것으로 이번 사건 보도라고 보기 어렵다.
또 1면에 쓴 사진에는 "20일 새벽 불길에 휩싸인 서울 용산구 한강로의 한 4층짜리 건물 옥상, 경찰 특공대가 기중기를 이용해 컨테이너 박스를 타고 옥상으로 진입하려 하자 철거민들이 컨테이너 박스를 흔들어 막고 있다"는 설명을 달았다. 여타 신문이 비슷한 사진에서 경찰의 강제 진압중 생긴 화재로 빚어진 참사에 초점을 맞춘 것과 다른 시각이다.
또 이 신문은 "정부의 범정부적 사회 안정 대책과 더불어 경찰의 신중하고 지혜로운 대응이 필요하다"고 논평했다. <중앙일보>, <동아일보>마저도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는 수준의 주장을 내놓은 것과 대조되는 대목이다. 이 신문은 김석기 경찰청장 내정자가 이번 특공대 투입을 최종 결정한 사실을 지적하면서도 그에 대한 책임론도 제기하지 않았다.
"정쟁, 제2의 촛불 시위는 안된다"…물타기?
<중앙일보>와 <동아일보>도 이번 사건을 축소 보도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은 마찬가지. 이들 신문은 "사건의 진상을 규명해야 한다"면서도 "정쟁화는 안된다", "제2의 촛불 시위는 안 된다"는 논리를 폈다.
<동아일보>는 '용산 참사, 책임 소재 가리되 정쟁화는 안된다'는 사설에서 "이 사고를 구실로 사회 갈등을 부추기거나 제2의 촛불로 확산시키려는 세력이 있다면 의도가 불순하다"며 "법과 질서가 송두리째 무너지면 결국은 절대 다수의 국민이 피해자가 된다"고 했다.
<중앙일보>도 '수도 한복판에서 벌어진 부끄러운 참극'이라는 사설에서 "경찰이 시위대 해산에만 급급히 무리수를 둔 것은 아닌지 규명돼야 한다. 전국철거민연합회에 대해서도 철저한 조사가 있어야 한다"면서도 "그러나 이번 참사가 정치 공세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고인들에 대한 예의도 아니라고 본다"고 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