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공사(KBS)가 21일 <조선일보>의 17일자 사설 "NHK는 구조 조정 수신료 인하, KBS는 수신료 인상 구상중"에 반박 보도 자료를 냈다.
<조선일보>는 이 사설에서 "일본 공영방송 NHK가 수신료를 2012년부터 10% 내리기로 했다 (…) NHK의 개혁안은 최근 몇 년간 연이어 터져나온 비리로 수신료 납부 거부 운동이 벌어지는 등 국민 질타를 받은데 따른 것"이라며 "KBS는 2004~2007년 1172억 원의 누적적자가 발생했다. 그래도 KBS는 태평성대다"라며 KBS를 질타했다.
이에 대해 KBS는 "<조선일보>의 사설은 KBS와 NHK의 수신료 제도와 연혁을 충분한 이해가 전제되지 못한 상태에서 공영방송의 불가피성을 폄훼하고 있는 것"이라며 "KBS의 '방만 경영' 사례로 지적한 내용은 대부분 객관적 사실에 근거하지 않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KBS는 보도 자료의 마지막엔 "사회적 제도로서 기능하는 공영방송의 역할에 대한 건설적이고 전향적인 논의가 절실히 필요하며 객관적인 근거 없이 무조건 KBS의 방만을 문제삼는 것은 공영방송의 발전을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역공도 폈다.
그러나 <조선일보>가 직접 "(이런 문제는) 정연주 전 사장이 KBS에 남겨놓은 유산"이라고 밝힌 것처럼 <조선일보>의 사설은 현 이병순 체제의 KBS를 겨냥한다기보다는 정연주 체제의 KBS를 공격하고 이병순 사장이 취임사에서 내세운 '뼈를 깎는 구조 조정'에 명분을 제공하는 성격이 짙다. 이병순 사장은 연이은 본부장 인사 등으로 구조 조정 채비를 마쳤다는 분석도 적잖다.
<조선일보> 등 보수 신문의 주장을 그대로 딴 취임사를 내걸고 들어온 이병순 사장의 KBS가 뒤늦게 <조선일보>를 반박하고 나선 데는 이 사장의 '수신료 인상'에 대한 조급증을 드러낸 것이 아니냐는 분석이다. 이 사장의 임기는 정연주 전 사장의 잔여 임기인 내년 10월까지로 이 사장은 '연임'을 위해선 임기내 수신료 인상 문제를 어떻게 해서든 해결해야 한다는 압박을 받고 있다.
이 사장은 지난 국정 감사에서도 "KBS에 적자가 발생한 것은 광고 시장의 여건이 악화되고 27년 동안 수신료가 동결되는 등 수익 구조가 악화됐기 때문"이라며 '수신료 인상이 되야 적자 해소가 가능하다'는 문제의식을 드러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