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 성향의 미디어단체가 잇따라 출범하고 있다. 29일 한국인터넷미디어협회, 바른시민옴부즈만, 시민과 함께하는 변호사들 등 28개 우파 시민단체가 참여하는 '미디어발전국민연합'이 출범한 데 이어 30일엔 공영방송 모니터링을 내세운 '공정언론시민연대'가 출범했다.
이들 단체는 신문·방송 겸영 허용, 방송법 시행령 개정, 지상파 방송 '1공영·다민영 체제'로의 전환,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 해체, 포털 규제 확대 등 이명박 정부가 추진하는 미디어 정책을 외곽 지원하는 역할을 맡게 될 것으로 보인다.
그간 시민사회에서는 방송장악·네티즌탄압 저지범국민행동, 언론사유화 저지 및 미디어공공성을 위한 사회행동 등이 출범하며 이명박 정부의 미디어 정책에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았으나 이들 보수단체 출범에 따라 미디어 진영 내부의 보수-진보간의 갈등이 한층 치열해 질 것으로 보인다.
"KBS, MBC, YTN 등 바로잡겠다"
'미디어발전국민연합'은 출범부터 39개 현업 언론·시민단체가 참여한 언론개혁시민연대에 대항한다는 목적을 분명히 했다. 이들은 "그간 보수중도 진영은 언론 정책에 구체적인 대응을 제때 하지 못했다. 그러는 사이 좌파언론단체가 모든 언론정책 이슈를 선점했다"며 "언론시장 자체를 활성화시키는 대안을 마련하고 KBS, MBC, YTN 등의 그릇된 가치관을 바로잡겠다"고 밝혔다. 이들은 언론연대에 '끝장 토론'을 제안하는 공문을 보내기도 했다.
또 이들은 MBC, KBS, YTN 등 이명박 정부의 언론 장악 정책에 반대 운동을 벌이고 있는 방송사들을 중심 타깃으로 잡았다. 이들은 "KBS, MBC 등 국민이 주인인 공적 언론기관 내부에 특정 정치세력이 침투하여 이를 정파적으로 사유화하고 있다"며 "이들에 대해서는 공적 비판은 물론 소송과 제소 등을 통해 그릇된 가치관을 바로잡을 것이며, 그래도 안 된다면, 입법 등의 수단으로 구조 및 경영 개혁에 나설 것"이라고 했다.
이들은 정책 과제에서도 △KBS <미디어포커스>, MBC <PD수첩>, <100분토론> 집중 감시 △KBS의 100% 공영화를 위한 개혁 추진 △주인 없는 회사, 정치꾼 노조의 천국 MBC 정상화 등을 내놨다. 특히 변희재 실크로드CEO포럼 회장은 KBS <미디어 포커스>를 놓고 "KBS <미디어포커스>는 기본적인 기자 윤리도 안 되는 이들이 프로그램 제작을 맡고 있다"며 "KBS 편성본부에 폐지를 요청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이들은 <미디어오늘> 광고주 불매 운동을 펼치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변 회장은 <미디어오늘>을 두고 "폭력적 광고주 불매 운동을 부추기며 예찬하는 좌파 언론의 브레인 역할을 해왔다"며 "포털 비판자들에 음해 보도를 해온 이런 매체에 대해선 '언론계 정화'라는 명분으로 얼마든지 광고주 불매 운동을 해도 타당하다"고 했다.
변 회장은 "향후 광고주 불매 운동을 계속 획책한다면 적극적 운동에 나서고, <오마이뉴스>, <한겨레>, <경향신문>으로까지 확대하겠다"고 했다. 이외에도 이들은 △무료신문 규제 △포털사이트의 언론 권력 남용 제한 △방송 광고 시장 자유화 △좌파 언론 단체와의 대화 등을 핵심 정책 과제로 제시했다.
"공영방송, 좌파적 미디어 시각 교정하겠다"
한편, 방송 모니터링과 언론 공정성 강화 등을 내세운 '공정언론시민연대'(공언련)은 김우룡 한국외대 명예교수와 성병욱 세종대 석좌교수, 이재교 변호사가 공동 대표를 맡았다. 이들은 창립선언문에서 "공영 언론들의 위선, 편파 행위는 언론 스스로에 대한 자해 행위이자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이며 국가 공동체에 대한 파괴적 선동"이라며 "우리는 편파 방송을 바로잡는 일을 출발점이자 중심으로 설정하고 공정언론 실현 운동을 전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김우룡 공동대표는 "잘못된 언론관을 바로잡고 좌파적 미디어 시각을 교정하는데 힘쓸 것"이라며 △방송정책 '난개발' 재점검 △KBS 및 MBC 위상 재정립 △미디어의 폭력 및 외설 감시 △방송심의제 완전자율화 △방송편성 규제 철폐 △방송발전기금 폐지 등을 정책 제안으로 내놨다.
공언련은 지난 4월 중순부터 6월 말까지 KBS와 MBC 9시 뉴스를 분석한 '광우병 관련 보도를 통해 본 공영방송의 편파 보도 사례 분석' 보고서를 내놓기도 했다. 이들은 "이들 뉴스의 절반 이상이 촛불 시위를 옹호하는 내용이었다"며 "뉴스의 양이나 보도 주제, 뉴스의 제목, 인터뷰 선택, 앵커 멘트 등을 분석한 결과 이들 방송 뉴스에서 공정성을 찾아보기 힘들었다"고 주장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