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아홉에 지방 관리를 뽑는 시험에 합격한
사람이 있었습니다.
주위 사람들은
그 사람의 재능으로 보아 조금 늦기는 했지만
이제 중앙의 관리가 되어
크게 이름을 떨칠 것으로 여겼습니다.
그런데 바로 그 다음 해에
중앙의 고위 관리를 뽑는 시험에서 그는
같은 마을 출신의 응시생이 비리를 저질렀다는 이유로
시험에 응시할 기회마저 빼앗기고 말았습니다.
이에 낙담한 그 사람은
관리로 성공하겠다는 꿈을 접고 고향으로 내려가
시를 쓰고 그림을 팔아 생활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타고난 재능이 빛을 발해서
훌륭한 시와 그림을 남겼습니다.
그가 남긴 시 한 편에
세상사가 얼마나 불공평한지에 대한 풍자가 실려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습니다.
"준마는 늘 어리석은 자를 태우고 달리며,(駿馬每馱痴漢走)
현명한 아내는 항상 졸장부와 함께 잔다네.(巧妻常伴拙夫眠)
세상에 많고 적은 불공평한 일들이,(世間多少不平事)
억지로 되는 일 없으니 억지로 할 것 없다네.(不會作天莫作天)"
명(明)나라 때의 시인이자 화가였던
당인(唐寅)이 남긴 시입니다.
재능이 있으면서도
그것을 크게 펼치지 못하는 자신의 심정을
이런 풍자와 탄식으로 나타낸 것이지요.
'준마는 늘 어리석은 자를 태우고 달린다.'는
당인의 시 첫 구절에서
세상일이 불공평하다는 의미의
'준마치한((駿馬痴漢)'이라는 말이 나왔습니다.
준마가 바보를 태우고 다니는 것으로 말하자면
우리 동네도 빠지지 않지요.
뭔가 크게 잘못된 동네라고 생각하고 싶지만
역사를 돌아보면
그렇지 않았던 동네도 별로 없었습니다.
![]()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