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키스탄 무샤라프 대통령이 선포한 국가비상사태와 그에 따른 정정 불안이 장기화 조짐을 보이면서 파키스탄 핵무기에 관한 미국의 신경증이 날로 높아가고 있다.
<워싱턴포스트>는 11일 미국이 파키스탄의 핵무기들이 부정한 세력에 넘어가는 것을 막기 위한 대비책을 수립해 놓고 있지만 핵무기 소재 등에 대해 제한적인 정보만을 갖고 있는 만큼 문제가 될 가능성은 남아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익명의 미국 행정부 관리들의 말을 인용해 9개의 핵보유국 중 파키스탄의 핵무기들만큼 걱정이 되는 것은 없다며 이같이 전했다.
미 행정부의 한 관리는 "그것들(핵무기들)이 모두 어디에 있는 지 우리가 알고 있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며 "핵무기가 없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소재 파악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쉽지만은 않다"고 말했다.
이 신문은 특히 파키스탄 내 정세가 더욱 악화될 경우 파키스탄 군부나 정보관계 고위 관리들의 지원도 기대할 수 없는 사태가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파키스탄은 핵무기 약 50기의 부품들이 보관된 장소들 중 절반에 대해서는 미국에 직접적인 접근조차 허용치 않고 있다.
이에 앞서 <로이터> 통신도 지난 8일 "우리(미국)가 파키스탄 핵무기에 대한 확고한 통제력을 쥐고 있지 못하다는 걸 알게 됐다"는 미 하원 군사위원회의 엘런 토셔 의원을 전하면서 파키스탄 핵무기에 대한 미국의 우려를 전했었다. 그는 "누가 풋볼(핵무기)을 갖고 있고, 다음에 누가 차지할 것인지" 불확실하다고 주장했다.
조지프 바이든 상원 외교위원장도 "파키스탄이 실패한 국가가 될 수 있다는 우려는 아주 현실적"이라며 핵무기 유출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국가비상사태 선포라는 무샤라프 대통령의 초법적인 조치에 대해 미국이 별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는 것은 무샤라프만큼 친미적이면서 군대를 장악하고 있는 인물이 파키스탄에는 없기 때문이다. 군대를 장악한다는 것은 곧 핵무기의 안정적인 통제를 뜻하기도 한다.
그러나 미 당국자들이 핵무기에 관한 우려를 이처럼 흘리는 것은 무샤라프의 비민주적인 조치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는 미국의 태도를 합리화하기 위한 의도가 숨어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