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 예비후보 등록 개시일이 23일로 다가왔다. 17대 대선을 240일 남겨놓고 본격적인 '대선 레이스'의 신호탄이 오르는 것이지만 민주노동당을 제외한 한나라당, 열린우리당 등의 대선주자들은 등록을 미루고 있다.
이명박 전 서울시장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등 한나라당 주자들은 대선 출마선언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시점을 기다리고 있고 범여권의 정치권 안팎 주자들은 일단 '판 만들기'에 여념이 없는 상황이다.
이명박 "적극 활용", 박근혜 "실익 없다"
한나라당의 경우 이명박 전 서울시장 측이 예비후보 등록에 보다 적극적이다. 여전히 지지율 1위를 지키고 있지만 최근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34.1%까지 떨어지는 등 꾸준한 하락세를 반전 시킬 기회로 삼겠다는 것.
이 전 시장 측은 이달 말께 견지동에 있는 안국포럼 사무실을 여의도로 이전해 당내 경선의 본격 채비를 갖춘 후 5월 초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대선 예비후보로 등록하겠다는 계획이다.
이 전 시장 측은 "우리가 대선예비후보 등록과 출마선언을 하지 않는다고 해서 대선에 출마하지 않으리라고 보는 국민들은 없겠지만 일종의 '격식'을 갖추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전 시장 측은 출마선언 때 이벤트보다는 국정운영 비전 등 대국민 메시지 전달에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반면 박근혜 전 대표 측은 중앙선관위 예비후보 등록에는 별다른 비중을 두고 있지 않다. 박 전 대표 측은 "예비후보로 등록한다고 해도 별다른 실익이 없다"며 "당내 경선후보 등록이 실질적인 경선 운동의 시작이 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박 전 대표의 예비후보 등록은 5월 초 당 경선준비위원회가 경선 룰을 확정한 이후에야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박근혜 캠프, 이명박 캠프를 막론하고 한나라당은 4.25재보선에 대한 부담도 큰 상황이다. 아예 기대가 낮은 다른 정당에 비해 '재보선 불패의 신화'가 오히려 부담으로 작동하고 있다는 말이다.
구여권 "지금 예비후보 등록이 급한 게 아냐"
반면 구(舊)여권의 대선주자들은 모두 예비후보 등록 시기를 정해놓지 않았다. 구여권의 정계개편이 지지부진한 판에 후보 등록이 급한 일이 아니란 말이다.
무엇보다 '오픈 프라이머리' 등 당내 경선의 흥행을 담보할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손학규 전 경기도지사,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 등 제3의 후보의 활동이 본격화 되지 않았다는 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정동영 전 의장 측은 "정운찬 전 총장 등이 나오지 않은 데다 통합의 틀이 만들어진 뒤 (등록)해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고 김근태 전 의장 측도 "지금은 예비후보로 등록해도 얻을 게 많지 않은 만큼 천천히 생각해볼 예정"이라고 밝혔다.
게다가 지금 예비후보로 등록하려면 '열린우리당' 후보로 등록해야 한다는 문제도 있다.
이런 까닭에 구 여권 안팎에선 외곽 주자들을 '대선주자 연석회의' 등으로 끌어들이려는 작업이 한창이다. 정대철 우리당 상임고문은 김근태, 정동영, 한명숙, 천정배 등 정치권 내 주자는 물론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과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 등 제3의 후보까지 한데 모으는 대선주자 연석회의를 추진하고 있다.
이목희 의원을 비롯한 10여 명의 초선의원은 '선(先) 대선주자 결집-후(後) 창당' 방식의 대통합을 구상하며 평화개혁미래 진영 대선 예비후보들의 연석회의를 제안하고 나섰고 정치권 외곽의 '미래구상'-'통합과 번영을 위한 국민운동' 통합 조직도 5월 중순 경 범여권 대권주자가 참여하는 합동토론회를 연다는 목표다.
물론 이들의 구상이 제대로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정운찬 전 총장, 손학규 전 지사 측은 연석회의 등의 틀보다는 '선 독자세력 결집'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회찬, 심상정은 첫날 예비후보 등록
대선예비후보등록에 가장 적극적인 쪽은 민주노동당이다. 이미 경선 출마를 선언한 노회찬, 심상정 의원은 23일 곧바로 중앙선관위에 대선 예비후보 등록을 마친 후 발빠르게 바람몰이에 나설 태세다.
뒤늦게 경선 합류 의사를 밝혔던 권영길 의원도 오는 26일 프레스센터에서 대선 출마 기자회견을 갖고 이들 대열에 합류할 예정이다. 이들 '민노당 빅3'는 당장은 반FTA 활동에 역점을 둔다는 계획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