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중국 '문혁 40주년' 맞아 총결산 요구 제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중국 '문혁 40주년' 맞아 총결산 요구 제기

개혁파지식인 "민주화ㆍ부정부패 근절 위해 재검토 필요"

중국이 문화대혁명(약칭 문혁) 40주년을 맞아 전직 고위관리를 중심으로 문혁을 역사적 교훈으로 기념하려는 움직임이 일고 있다.

홍콩 명보(明報)는 최근 개혁파 지식인을 중심으로 문혁과 같은 쓰라린 전철을 밟지 않도록 문혁에 대한 총결산을 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면서 공산당 내에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7일 전했다.

마오쩌둥의 비서를 지낸 개혁파 리루이(李銳) 전 공산당 중앙조직부 부부장은 "문혁 40주년 기념일이 다가옴에 따라 당은 당시 재난에 대한 전면 총결산을 진행, 당이 직면한 이론ㆍ실천상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민주제도 측면에서 여전히 미흡하고 부정부패가 끊이지 않는 등 현재 중국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문혁 재검토를 통해 해법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혁은 지난 1966년 5월 마오쩌둥이 대약진운동에 따른 노선갈등 이후 `5.16 통지'로 당권을 장악한 후 그해 8월8일 공산당 중앙위에서 `프롤레타리아 문화대혁명에 관한 결정안 16개조'를 발표하면서 시작됐다. 그 후 공산당과 정부에 대한 홍위병들의 '조반(造反)'에서 노선을 달리하는 홍위병들 사이의 '무투(武鬪)'에 이르기까지 중국은 사실상 내전의 상태에 빠져들었다. 봉건구습을 철폐한다는 구호 아래 문화적 유산들이 파괴되어 갔고, 계급투쟁을 앞세운 분파들 사이의 무장충돌이 격화되면서 인명피해도 계속 증가했다.

그 파괴성에 문혁을 일으킨 마오저둥마저 위기의식을 갖게 되었고 1969년 '근로대중에게 배우라'는 구호를 내세워 홍위병 운동의 주력이던 수백만 명의 도시청년들을 농촌으로 내려보내고 정치적으로는 군을 통해 혼란된 상황을 수습했다. 이로써 급진적인 대중운동은 중단되었지만 "계급투쟁을 중심으로"라는 문혁의 사상노선은 계속 유지됐다. 1976년 마오저둥이 사망하고 급진파를 대표하던 쟝칭 등 4인방이 체포되고서야 문혁은 사실상 종결됐다.

저우루이진(周瑞金) 전 인민일보 부편집장은 중국공산당이 1981년 `건국 후 당의 약간의 역사문제에 대한 결의'를 통과시켰으나 상당수 당 간부는 당시 문혁 총결산에 대해 만족하지 않았다고 전했다.

저우 전 부편집장은 그러나 올해 문혁 종결 30주년을 맞아 과학발전관과 조화사회 건설을 위해서도 문혁 평가는 필요한 일이라며 중국식 사회주의 건설에 대한 현실적 의미 외에도 역사적 의미를 갖는다고 주장했다. 문혁 평가를 정치개혁 추진과 과학발전관 및 조화사회 이념을 실현하는 동력으로 삼아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덩샤오핑(鄧小平)도 81년 결의 당시 문혁이 끝난 지 얼마되지 않았기 때문에 총결산 여건이 성숙된 상황은 아니라며 향후 20∼30년 후에 다시 결산과정을 거치는 것은 실제 평가결과에 부합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명보에 따르면 이런 논의는 중국 공산당 고위층의 관심을 끌며 당내에서 큰 반향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문혁에 대한 공식논의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게 현실이다. 중국공산당은 1981년 채택한 '역사문제에 관한 결의'에서 문혁에 대한'전면부정'을 선언했는데 이에 따라 중국에서는 지금까지 문혁에 대한 논의는 사실상 금기시돼 왔다. 문혁 발동 30주년이었던 1996년에도 일정한 의미를 지닌 공식행사는 없었으며 그 사정은 올해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문혁 시기 중국을 휩쓸었던 정치적 광기와 중국인들이 겪었던 고통 때문에 가급적 이 문제를 거론하지 않으려는 분위기가 강한 것이다. 따라서 현재 중국의 집권세력이 이러한 재야 지식인의 문혁 총결산 요구에 얼마나 호응할지는 현재로서는 미지수다.

이와 관련, 국내의 한 중국 전문가는 최근 한 칼럼에서 "현재 중국에서는 마오저둥이 문혁을 일으킨 주된 명분이라 할 수 있는 계급·계층의 분화와 관료주의라는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 이르렀다"면서 "앞으로 중국사회가 성숙해지기 위해서는 문혁은 외면의 대상이 아니라 극복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성공회대학교의 이남주 교수(중국학)는 다산연구소의 1월 26일자 '다산칼럼'('문화대혁명 40년을 맞이하는 중국의 고민')을 통해 오늘날 중국이 처한 정치ㆍ사회적 상황은 40년전 문혁 당시의 상황과 매우 유사하다면서 이같은 문제를 대중의 폭력적 정치참여에 의해 해결하려는 문혁과 같은 방식은 정당화될 수 없지만, 그렇다고 경제발전과 사적 이익에 대한 욕망을 해방시키는 것만으로는 해결책이 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제 "중국은 경제의 시대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이 이 교수의 주장이었다.

"이제 중국은 문혁 상황으로 되돌아가지 않으면서도 문혁이 제기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찾아야 하는 상황에 처해 있다. 개인의 권리를 경제적 차원만이 아닌 정치, 사회, 문화적 차원으로 확장시키고 개인적 이익과 조화될 수 있는 공공성 실현의 원리를 찾는 것으로부터 그 실마리를 찾아야 할 것이다."

과연 중국의 집권 공산당이 문혁의 정당한 문제제기를 계승하고 부정적 유산을 극복할 수 있을지, 문혁 40주년이 중국사회의 진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