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종교다원론자 변선환', 사후 10년만에 사실상 복권되다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종교다원론자 변선환', 사후 10년만에 사실상 복권되다

한국교회 근본주의에 맞서다 '출교'…5일 감신대에서 추모식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몰고온 생지옥에 절규하는 미국 뉴올리언즈 주민들의 모습을 지켜보며 문득 생각나는 사람이 있었다.

"수십만 명을 사망케 한 서남아시아의 쓰나미는 우연이 아니라 하나님의 심판"이라는 망언으로 새해 벽두부터 논란을 일으켰던 개신교 감리교단의 대형교회, 서울 금란교회의 김홍도 목사다.

타인의 고통을 두고 '종교가 다르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심판'으로 둔갑시켰던 그가 기독교 국가에서 일어난 이번 재앙을 어떻게 평가할지 자못 궁금했기 때문이다.

김 목사와 관련해 생각나는 일 또 한 가지. 그의 비상식적인 '쓰나미 심판론'은 즉각 인터넷을 타며 비난 여론의 표적이 됐지만, 그가 10여 년전 "기독교만이 인류를 구원할 수 있다는 교리를 부인했다"며 '출교(黜敎)'를 주도했던 한 양심적 신학자의 복권에는 훨씬 더 긴 세월이 걸렸다.

당시 김 목사 등의 여론몰이에 '출교' 당했던 고 변선환 감신대 학장은 "기독교만이 유일한 구원이라는 교리는 신학적인 천동설에 지나지 않는다"는 종교다원주의를 주장했던 것. 종교간 화해와 다원성에 대한 그의 주장은 성전(聖戰)의 이미지를 차용한 전쟁과 테러리즘으로 피범벅이 된 오늘날의 세계에도 충분히 유의미하게 읽힌다.

그리고 바야흐로 한 신학자가 온몸으로 뿌린 밀알은 현재 한국 기독교계의 강력한 근본주의적 토양을 뚫고 힘겹게 새싹을 밀어올리는 중이다.

***1992년, 유례없는 한국형 종교재판과 '출교'형**

13년전인 1992년 5월 7일, 감리교 서울연회 재판위원회(재판장 고재영 목사)는 "다른 종교에도 구원이 있다는 종교다원주의를 주장해 기독교 신앙의 본질을 부인했다"며 변선환 당시 감신대 학장에게 감리교회법상 최고형인 '출교' 형을 내렸다. 이는 중세의 '파문'에 해당하는 것으로 교인의 자격을 빼앗고 당사자를 감리교단 밖으로 내보내는 형벌이었다.

보수교회 목사들이 주도한, 감리교단의 이 '한국형 종교재판'은 한국개신교 200년 역사상 유례없는 것으로 세간의 큰 주목을 받았으며, 재판 결과에 반발하는 감신대 학생들과 상당수 목사들로 감신대는 장기간 분규에 휩싸이기도 했다.

당시 변 학장은 최후진술에서 "흑백논리만이 횡행하는 감리교의 현실이 안타깝다"며 "기독교는 더 이상 정복자의 종교가 아니며 전체 인류의 구원을 위해 종교간 장벽을 허물어야 한다. 종교적 다원주의는 감리교의 세계적 추세"라고 역설했다.

"타종교를 무조건적으로 악마의 소산이라고 생각하는 개종 중심의 선교 신학은 제국주의적인 발상이다. 지구촌에서 다양한 종교가 공존하는 현실과 그 진리성을 인정하되 종교간 대화를 통해 상대방의 종교를 배워 스스로의 정체성을 확고히 하는 새로운 신학이 정립돼야 한다"는 그의 신학적 양심에 한국 감리교계는 '사탄의 종'이라는 '주홍글씨'를 붙였다.

'다른 종교에도 진리는 있다'는 종교다원주의는 2000년간 배타적 선교 정책을 고수해 온 대다수 기독교인들에게 여전히 당혹스런 과제였으며, 더욱이 '교회 안에서만 들리는 하나님의 목소리'에 대한 독점중계권을 쥐고 있었던 목사들에게는 실질적인 '위협'이었던 것이다.

***"한국 교회의 근본주의는 '적'이 필요했다"**

'다름이 곧 틀림이 되는 차이'를 통해 자아 정체성을 확보하는 모든 근본주의와 마찬가지로 한국 교회의 근본주의 또한 '적'이 필요했다. 또한 '우리'와 '저들'간의 차이를 모호하게 만드는 자 역시 '사탄'이 되어야 했다. 변선환 학장은 그렇게 '사탄'이 되고 말았다.

당시 금란교회 김홍도 목사는 매주 발행하는 <불기둥>이라는 팸플릿에서 "한때 수천 명씩 모이던 구라파 교회들이 관광 장소로 전락한 것은 수십 년 전부터 횡행하던 다원주의니 포스트모더니즘이니 하는 자유주의 신학이라는 사탄 때문"이라며 합리주의, 사회복음 운동, 실존주의 철학, 행동주의 신학, 과학적 방법 등을 주장하는 자유주의 사상가들을 공산주의자와 비교하기도 했다.

그는 "공산주의자들이 북한으로 가면 좋으련만 가지 않고 국가를 혼란케 하는 것이나 기독교의 탈을 쓴 무신론자들이 교회 안에 존재하면서 파괴하려고 드는 것은 사탄의 간계"라며 "이들이 교회 밖으로 나간다면 학문의 자유를 가지고 무슨 소리를 하든 개의치 않는다"고 성토했다.

그의 논리 안에서 교인의 숫자는 사탄의 득세와 반비례하며, 교회 밖의 '적'은 오히려 교회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교회 안의 이질적 목소리는 용납 못한다는 폐쇄성과 극단적인 이분법이 가득했다.

그러나 변 학장의 후학들이 최근 펴낸 추모논문집 <변선환 신학 새로 보기>(대한기독교서회)에서 최대광 감신대 교수는 "복종보다 합리적 사고를, 개인구원보다 사회복음을, 내면적 초월성보다 사회참여를 중시한다면 보수교회들은 이를 여지없이 교회를 파괴시키고 공산주의를 지지하는 신학으로 딱지 붙이며 대중을 훈련시켰다"며 "변선환 학장은 정확히 이 대척점에서 자아와 타자의 차이를 해소하려고 했다"고 설명한다.

***"종교는 무섭지 않은데 한국 교회는 무섭다"**

이렇게 개신교의 배타성과 종교간 갈등에 새 지평을 연 것으로 평가받는 고 변선환 학장은 1927년 평남 진남포에서 태어나 평양에서 자랐다.

감신대와 한국신학대학 대학원을 거쳐 미국 드류대와 스위스 바젤 신학부에서 공부한 그는 칼 야스퍼스, 불트만등의 신학 사상과 선불교의 대화를 주제로 박사 논문을 썼으며 한국에 돌아온 1970년대 후반부터 국내의 대표적인 불교철학자 이기영 박사와의 폭넓은 대화를 통해 기독교와 불교 등 모든 종교의 공존 가능성을 역설했다.

또한 80년대 초 자신의 신학적 관점이 여전히 기독교를 불교, 유교와 같은 아시아 종교보다 우월한 위치에 두는 서구적 틀에 갇혀 있다는 것을 깨달은 후 '한국에서 신학 한다는 것은 무엇인가'를 성찰해 "기독교 혹은 서구에 감겨져 온 한국 종교가 거꾸로 한국의 다양한 종교에 되감겨져야 한다"는 '토착화 신학론'을 제기한 것으로 유명하다.

학국적 신학이 타파해야 할 우상으로서의 배타적인 교회 중심주의를 비판한 것은 물론이다. 그는 "교회 자체를 계시와 은총의 통로로 이해함으로써 세상과 교회의 단절을 초래하게 됐다"고 통렬히 비판했다.

티없이 파아란 가을하늘이 고운 5일, 변 학장을 기리는 사람들이 '서거 10주기'를 맞아 서울 서대문구 감리교신학대 웨슬리 채플에 모였다.

감신대의 총동문회(회장·최성봉 목사)와 기독교통합학문연구소(소장 이정배 교수) 주관 하에 열린 학술강연회에는 고인을 위해 후학들이 마련한 추모논문집 <변선환 신학 새로 보기>도 선보였다. 그의 뜻을 잇는 제자들이 '변선환 아키브'를 만들어 그의 정신을 잊지 않고 연구해 온 결실이었다.

이들의 정성에 감신대의 김외식 총장, 이종복 이사장이 이날 변 학장의 10주기 추모 및 추모논문집 출간 감사예배에서 설교와 축도를 기꺼이 맡았으며, 개신교회의 원로인 강원용 목사와 이현주 목사가 각각 축사를 했다. 김경재 전 한신대 교수도 추모논문집 서평으로 동참했다. 변 학장이 '출교' 10년 만에 사실상 '복권'되는 순간이었던 셈이다.

제자들이 집필한 추모논문집 서문 중의 한 구절이 매섭다.

"선생님의 신학을 이단으로 정죄해 출교시킨 후 과연 감리교회는 성장하고 풍성해졌나. 이제 사람들은 최고 심판관으로 변신한 교회가 무섭다고 한다. 종교는 무섭지 않은데 한국교회가 겁이 난다고 한다. 신학자들도 글 쓰거나 강연할 때 교회 눈치 살펴야 할 지경이다. 교회는 세상을 향해 회개하라고 외치면서 정작 자신은 가장 기본적인 세상의 합리성과 상식이나마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

변 학장의 '사실상 복권'과 함께 우리의 개신교회는 이제 비로소 세상을 향해 자신있게 '회개하라'고 외칠 수 있는 출발점에 선 것인가?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