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23일부터 25일까지 금강산에서 열린 제6차 적십자회담에서 끝내 전후(戰後) 납북자의 생사 및 주소확인을 두고 의견차를 좁히지 못해 합의문 도출에 실패했다.
남북은 그 대신 개최 사실을 담은 공동보도문을 채택했으나 다음 일정도 잡지 못한 채 회담을 종결했다. 따라서 이 문제는 다음달 13~17일 백두산에서 열릴 제16차 장관급회담에서 '정치적' 해법이 모색될 전망이다.
회담 결렬은 역시 '시기 문제' 때문이었다.
국군포로·납북자의 생사와 주소 확인 문제에 있어 남측은 전쟁 시기와 전쟁 이후 행불자 모두를 다루자는 입장인 반면 북측은 전쟁 시기에만 한정하자는 주장을 굽히지 않아 양측은 회담 내내 팽팽한 줄다리기를 계속했다.
회담 기간 동안 북측은 "전후 얘기는 꺼내지도 말라"는 강경한 입장을 고수했고, 남측 역시 "전쟁 이후도 포함돼야 한다는 게 확고한 입장"이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남측은 한때 양 시기를 분리해 우선 전쟁 기간의 행불자만 처리하는 방향으로 전술을 바꾸려 했지만 "두 문제를 따로 떼어서 접근할 계획은 없다"는 쪽으로 입장을 정리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북 적십자회담이 합의문을 채택하지 못한 것은 2001년 1월 제3차 회담 이후 4년 7개월 만의 일이다.
남측 회담관계자는 회담을 마친 뒤 "국군포로와 납북자 문제는 향후 장관급 회담에서 더 논의할 예정"이라며 "이산가족 대면상봉 및 화상상봉, 서신교환 등은 현재 의견 접근을 이룬 상태이기 때문에 판문점 접촉 등을 통해 세부 추진방안을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은 이에 앞서 이산가족 대면 상봉 행사를 올해 안에 한 차례, 화상상봉은 2~3 차례 더 개최하고 이미 상봉한 2만여 명의 남측 가족이 북측가족과 서신을 교한한다는 원칙에도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