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이라크에 파병해 유럽서도 '한국인 대상 테러' 우려돼"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이라크에 파병해 유럽서도 '한국인 대상 테러' 우려돼"

[파병반대선언 전문] 유럽동포 2백여명 '파병반대 선언'

자이툰 부대가 3일 오전 7시 민항기 편으로 이라크로 출국한 가운데 유럽 동포 1백55명과 20명의 프랑스, 독일인이 '유럽동포 파병반대 선언'을 발표하고 한국정부에 파병철회를 공개 요청했다.

이 선언에는 이영빈 목사와 이희세씨(전 재불 조국통일위원회 대표), 김성수 박사(독한문화원장) 같은 유럽동포운동 원로와 유학생을 비롯한 유럽동포와 독일, 프랑스인들이 참여했다.

***"유럽에서도 '한국인 대상 테러' 우려"**

장광열 민주노동당 유럽지구당 사무국장은 3일 "한국군이 미국, 영국에 이어 세번째로 큰 규모의 군대를 보냄에 따라 유럽동포들은 이라크 현지 뿐 아니라, 유럽에서도 한국인이 테러의 대상이 될 수도 있다고 우려한다"고 전했다.

장 사무국장은 "유럽에는 이라크 출신 망명자들과 이슬람교도들이 많아 이라크 상황과 아랍세계의 반응에 대해서 비교적 많은 정보를 받을 수 있다"며 "안 그래도 반전여론이 강한 데다 이로 인해 미국과 이라크 전에 대한 비판여론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장 사무국장은 "고 김선일씨의 피살사건 이후, 독일 베를린 한국대사관과 프랑크푸르트 총영사관 앞에서 파병반대 시위가 있었고, 파병에 대한 토론회도 지역마다 열리고 있다"며 "유럽의 한국인들은 오는 10월 중순 영국 런던에서 열리는 제 3차 유럽사회포럼에 참여, 반전여론 형성에 동참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음은 이날 발표한 '유럽동포 파병반대 선언' 전문이다.

***파병반대 유럽동포 선언문**

고 김선일씨 사망사건으로 우리 동포들은 커다란 충격을 받고, 슬픔을 느끼고 있습니다. 어쩌다가 우리 한국인이 이라크 저항세력의 표적이 되었습니까.

김선일씨가 피살된 것은 정부의 파병결정 때문입니다. 파병소식이 전세계의 뉴스를 타고 이라크 저항세력의 귀에 들어갔을 때 그들은 김선일씨의 생명을 담보로 파병 철회를 요구했습니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파병방침을 바꾸지 않을 것임을 단호하게 밝혔고, 저항세력은 그를 처형하였습니다.

이런 일이 일어난 근본 원인은 한국이 미국의 더러운 전쟁에 동참했기 때문입니다. 미국 부시정권은 국제테러를 뿌리뽑고, 대량살상무기의 확산을 막기 위해 후세인을 제거해야 한다는 명분을 내세워 이라크를 침략했습니다. 전세계에서 이라크 전쟁반대 시위가 불처럼 번지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회원국 다수가 전쟁에 반대하는 가운데서도, 미국은 유엔의 승인도 받지 않고 침략전쟁을 벌였습니다.

그 후 미국이 확실히 있다고 장담하던 대량살상무기는 하나도 발견되지 않았고, 이라크인들의 해방은 오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미국에 대한 이라크인들의 반감이 극에 달하자, 미국은 우방국들을 끌어들이고, 이라크 임시정부를 내세워 비난에서 벗어나려고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라크 정부는 허수아비일 뿐이고, 이라크를 실제로 지배하고, 파병국들을 지휘하는 것은 미국입니다. 미국이 전쟁을 일으킨 이유는 이제 분명해졌습니다. 그것은 세계 제 2의 매장량을 가진 이라크의 석유를 장악하는 것입니다.

파병은 정부가 내세우는 것처럼 이라크인들을 돕는 것이 아니라 미국의 점령을 돕는 것일 뿐입니다. 파병 결정에 따라서 무장조직 '유일신과 성전'은 김선일씨를 살해했습니다. 앞으로 한국은 스페인이나 터키처럼 테러공격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정부는 자국민의 안전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합니다. 국민들을 테러의 위협에 노출시키면서 허울뿐인 국익을 내세워 파병을 밀어붙여야 합니까?

이라크 사람들을 독재치하에서 해방시키겠다던 미군은 무고한 시민들을 감옥으로 끌고 가서 성고문과 전기고문을 하였고, 그 광경을 사진으로 찍는 엽기적인 짓을 저질렀습니다. 또 팔루자와 나자프등에서 일어난 이라크인들의 봉기에 대해서, 미국은 마치 1980년 광주에서 전두환 일당이 시민들을 총칼로 유린한 것처럼 민간인 학살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이 상황에서 한국군이 동맹국의 일원으로 참여하는 것을 이라크인들이 어떻게 보겠습니까?

37년 간 일제의 식민지배를 겪은 우리 민족은 과연 역사에서 무엇을 배웠습니까. 일제는 온갖 좋은 말을 동원해서 자신들의 지배를 정당화 했지만 그들의 원래 목적은 우리나라를 수탈하는 것이었습니다. 미국은 세계 유일의 강대국으로서, 점점 제국주의적인 면모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의정부 여중생 효순이 미선이를 치어 죽인 미군이 무죄로 석방되면서 한국에서는 반미의 촛불이 뒤덮었습니다. 미국은 전쟁시 한국군의 작전지휘권을 가지고 있고, 우리 땅을 맘대로 쓰고, 우리 국민들을 상대로 범죄를 저질러도 가벼운 처벌밖에 받지 않고 있습니다. 이라크처럼 우리도 미국의 오만이 판치고 있는 것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이런 불평등한 한미관계를 대등하게 만들겠다고 호언장담하면서 국민들의 열성적인 지지를 받아 당선되었습니다. 그러나 대통령은 자신의 약속을 뒤엎고 미국에 종속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또 개혁세력을 자처하는 열린우리당의 많은 의원들은 총선 때 파병반대 입장을 밝혔지만, 지금은 김선일씨가 희생되었는데도 파병은 불가피하다고 말합니다.

우리 동포들은 이제라도 노무현 정부가 국민의 안전과 이라크의 평화를 위해서 파병을 철회하고, 미국과 동등한 관계를 이뤄줄 것을 강력히 요구합니다.

***유럽 동포 1백55명과 20명의 프랑스, 독일인 서명참가자 명단**

강윤영(학생 독일) 강정수(학생 독일) 고상현(독일) 곽수경(프랑스) 구순희(독일) 권정임(독일) 김경래(학생 독일) 김경태(유럽연대 독일) 김계환(프랑스) 김남호(학생 독일) 김대천(재독협중앙위원 독일) 김덕용(독일) 김미라(독일) 김미순(독일) 김봉순(프랑스) 김성옥(독일) 김수연(프랑스) 김수진(독일) 김수진(프랑스) 김순실(라인마인교회 통일위원장 독일) 김순환(재독협자문위원 독일) 김승수(독일) 김영옥(베를린세종학교 교감 독일) 김옥순(독일) 김용빈(독일) 김용진(독일) 김윤걸(독일) 김윤해(독일) 김장생(학생 독일) 김재완(프랑스) 김정권(독일) 김정란(프랑스) 김정섭(학생 독일) 김정연(독일) 김준형(프랑스) 김진향(여성네트워크 독일)김형래(학생 독일) 나남철(주부 독일) 남기호(독일) 남기홍(학생 독일) 노금희(독일) 류행수(프랑스) 류만현(독일) 류현영(학생 독일) 명은희(독일) 박경자(독일) 박사라(독일) 박상란(독일) 박성식(유럽지구당 독일) 박성예(독일) 박성호(독일) 박소은(615문화학술기획원장 독일) 박수미(학생 독일) 박수진(학생 독일) 박옥미(독일) 박장호(학생 독일) 박정심(간호사 독일) 백성혜(학생 프랑스) 서수현(독일) 서의실(독일) 석순자(독일) 선경석(재독협 상임위원 독일) 선영인(학생 독일) 송미자(프랑스) 송영란(독일) 송현숙(독일) 신기륜(프랑스) 신수정(학생 독일) 신옥자(재독협 부회장 독일) 신정남(독일) 심명수(독일) 안상원(프랑스) 안숙영(학생 독일) 양순우(프랑스) 양한주(독일) 어수갑(독일) 어재원(학생 독일) 오복자(민노당 유럽지구당위원장 독일) 오세민(독일) 우승명(학생 독일) 유진숙(독일) 윤새마을(프랑스) 윤성호(독일) 윤영탁(독일) 윤운섭(베를린노동교실 독일) 윤준(독일) 이경택(독일) 이노리(독일) 이명희(학생 독일) 이미경(학생 독일) 이민주(독일) 이민지(독일) 이성진(프랑스) 이순미(독일) 이승기(독일) 이승은(학생 프랑스) 이연우(학생 독일) 이연주(독일) 이영빈(재독협자문위원 독일) 이영실(학생 독일) 이영준(한민련 유럽본부) 이영우(독일) 이영태(독일) 이용(스웨덴) 이윤옥(독일) 이재민(독일) 이정훈(독일) 이주희(독일) 이준영(독일) 이한경(재독협자문위원 독일) 이한나(독일) 이해룡(독일) 이혜정(독일) 이홍자(독일) 이희세(통일운동원로 프랑스) 임성연(학생 독일) 임혜영(독일) 장광열(네덜란드) 장근영(독일) 장은준(독일) 전영준(독일) 전인영(독일) 전혜리(독일) 정관영(유럽지구당 부위원장 독일) 정동렬(독일) 정미숙(프랑스) 정민자(독일) 정예현(학생 독일) 정의헌(학생 프랑스) 정재원(학생 러시아) 정행호(독일) 조기상(유럽지구당 독일) 조선영(독일) 조은영(독일) 좌미라(독일) 천성수(프랑스) 채명수(독일) 최경석(독일) 최경일(프랑스) 최성란(학생 독일) 최영재(프랑스) 최용천(독일) 최윤석(프랑스) 최은정(독일) 최인상(독일) 최인수(학생 독일) 최정철(독일) 최재한(학생 독일) 최정규(유럽지구당 독일) 한주연(학생 독일) 함수옥(학생 독일) 허은숙(독일) 현경애(유럽연대 독일) 황상규(독일) 황순애(독일) Ahmet Ulku(독일) Andre Rotring(독일) Barbara Schmeinck(독일) Biolaz Nan(프랑스) Christian Hoenicke(독일) Georg Kaminski(독일) Hoppman Onotlos(독일) Iimien Koen(독일) Karin Kaminski(독일) Katrin Schmeinck(독일) Klaudia Uebbing(독일) Le Quinio(프랑스) Monika Van der Linde(독일) Renate Rotring(독일) Silke Rotring(독일) Stefan Rotring(독일) Szymanski Michel(프랑스) Thomas Schmeinck(독일) Tison Julie(프랑스) Vienne Vincent(프랑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