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는 25일 임채정 당 정책위의장을 인수위원장에 임명한 데 이어, 26일 실무·정책형 인수위 구성원칙에 따라 인수위 부위원장에 김진표 국무총리실 국무조정실장을 임명했다.
재경부 세제실장과 청와대 정책기획수석 등을 역임하고 그동안 국무조정실장 자격으로 각 부처 차관회의를 주관해온 김진표 실장을 인수위 부위원장에 임명한 것은 인수위 간사들이 지나치게 학자 위주로 짜여 있다는 지적이 있어, 실무경험을 보완하기 위한 포석으로 해석되고 있다.
***인수위 핵심 9명 확정 발표**
노 당선자는 또 26일 인수위 총괄조정을 담당할 기획조정분과위 간사에 이병완 민주당 정책위 상임부의장을 임명하는 등 7개 분과위 간사 인선도 완료했다.
정무분과위 간사에는 김병준 국민대 행정학과 교수, 통일외교안보 분과위 간사에는 윤영관 서울대 외교학과 교수가 임명됐다.
경제 1분과위 간사에는 이정우 경북대 경제학과 교수, 경제 2분과위 간사에는 김대환 인하대 경상대학장이 각각 임명됐다.
사회·문화·여성 분과위 간사에는 권기홍 영남대 교수, 광범위한 국민여론 청취와 정책 건의를 받는 국민참여센터 본부장에 이종오 계명대 교수가 임명됐다.
노 당선자는 이들 위원장, 부위원장 및 7개 분과 간사외에 2,3일후 15~16명의 인수위 위원들을 추가로 임명, 25명 안팎의 인수위를 구성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위원장은 정치권에서 맡되, 나머지 현역의원은 NO**
이번에 큰 골격을 드러낸 인수위 멤버는 위원장은 정치권 출신, 부위원장은 관료 출신, 7개 분과 간사는 대다수 40대후반~50대초반의 학자 출신들을 기용한 점이 큰 특징이다.
전남 나주, 고려대 법대 출신의 임채정 위원장(61)은 박정희 정권시절인 1975년 동아투위사건때 동아일보에서 강제해직된 뒤 동아투위 상임위원으로 활동하다가 87년 친DJ성향의 재야인사들 모임인 평화민주통일연구회(평민련) 소속으로 정치권에 입문, 그후 DJ와 정치적 행보를 함께 해왔다. 14대 총선 이래 내리 3선에 성공했고 두차례 민주당 정책위의장을 맡았으며, 이번 대선 과정에는 민주당 선거대책위원회 정책본부장으로서 노무현 당선자의 승리에 일조했다.
정치권 출신의 정책 전문인 임채정 의원을 위원장에 기용한 것은 민주당을 배려하는 모양새를 취하면서도 인수위를 정책 실무형 중심으로 꾸려가겠다는 노 당선자의 의중이 드러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임채정 위원장은 내정후 기자회견에서 "현역 의원들은 인수위에서 일을 하지 않는 것으로 노 당선자가 원칙을 정했다"고 말해 이같은 노 당선자의 의지를 확인했다.
***40대~50대초반 학자가 인수위의 실무핵심**
상당히 이례적으로 26일 김진표 부위원장 임명 사실에 앞서 언론에 알려진 것이 7개 분과위원회의 간사 명단이다. 이들 7인의 간사의 공통점은 학자들이 대다수를 차지하며 연령도 40대 후반~50대 초반으로 상대적으로 젊다는 대목이다. 또한 개혁진보성이 강하는 이념적 동질성도 갖고 있다.
우선 인수위 총괄조정을 담당할 기획조정분과위 간사에 임명된 이병완 민주당 정책위 상임부의장(48)은 KBS, 서울경제신문, 한국일보에서 주로 경제부에서 활동해온 언론인 출신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DJ정부 출범후 예금보험공사, 청와대 비서실 등에 근무하며 정치와 연을 맺었고, 2000년후에는 민주당의 정책 관련 파트에서 주로 일해왔다. 특히 지난 7월이후 민주당 정책위원회 상임부의장으로 임채정 위원장을 보좌해온 연으로, 이번에 인수위 조정업무를 맡을 기획조정분과위 간사에 임명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따라서 이병완 간사는 주로 임 위원장과 학자 출신의 분과 위원장간의 연결통로 역할을 맡아 활동할 것으로 전망된다.
나머지 실무 6개 분과위에서 주목되는 것은 예외없이 학자들로 채워졌다는 대목이다.
정무분과위 간사에 임명된 김병준 국민대 행정학과 교수(48), 통일외교안보분과위 간사에 임명된 윤영관 서울대 외교학과 교수((51), 경제1분과위 간사에 임명된 이정우 경북대 경제학과 교수(52), 경제2분과위 간사에 임명된 김대환 인하대 경상대학장(53), 사회·문화·여성 분과위 간사에 임명된 권기홍 영남대 교수(53),국민참여센터 본부장에 임명된 이종오 계명대 교수(54)가 모두 그러하다.
한결같이 40대 후반~50대 초반의 개혁적 성향의 인사들로 채워진 점은 앞으로 노무현 새 정부가 어떤 개혁 드라이브를 걸 것인가를 예견케 한다는 점에서 재계 등을 바짝 긴장케 하고 있다.
***관료들, 간사 보좌역으로 기용 가능성**
25일 이같은 간사 명단이 알려지자 민주당과 관료들 사이에서는 상당한 불만과 불안의 소리가 나왔다. 과도한 학자 중심의 인수위는 자칫 정권 인수 및 새 정권 출범작업에 리스크(위험)를 증대시킬 위험성이 크다는 지적이다.
이런 면에서 26일 김진표 국무조정실장을 인수위 부위원장에 임명한 대목은 주목할 만하다.
김진표 부위원장은 재무부에서 잔뼈가 굵은 정통 관료출신이다. 재경원 공보국장 시절에는 특유의 친화력을 앞세워 언론계 등과 두터운 인맥을 쌓기도 했다. DJ정부 말기에는 장관급으로 격상된 국무조정실장으로서 각 부처 차관회의를 주관하면서 대선을 무난하게 치렀다는 평가도 받았다.
노무현 당선자가 이같은 김진표 실장을 인수위 부위원장에 임명한 것은 금명간 추가 임명될 인수위 위원에 각 부처의 관료들이 학자 출신 간사들을 보좌하기 위해 대거 기용되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낳고 있기도 하다.
큰 틀을 드러낼 인수위가 과연 얼마나 조화롭게 정권을 인수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낼지 예의주시할 일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