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11곳이 자기자본을 모두 날렸다. 10곳은 건전성이 심각하게 훼손됐다.
지난해 2차 구조조정과 부동산 경기침체 탓에 적자가 급격히 악화해 조만간 부실 저축은행에 대한 구조조정이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2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국내 92개 저축은행은 2011 회계연도(2011년 7월~2012년 6월)에 1조1천622억원의 순손실을 냈다.
2010 회계연도에 영업한 93개 저축은행의 순손실은 2조2천37억원이었다. 이를 기준으로 저축은행 업계 전체의 적자는 큰 폭으로 줄었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영업정지로 올해 신설된 법인을 제외한 86개 저축은행의 2010 회계연도 적자(4천14억원)와 비교하면 적자 규모는 1년 만에 약 2.9배로 커졌다.
모회사 영업정지로 예금보험공사가 관리하는 진흥·경기·영남(이상 한국저축은행 자회사)과 토마토2(토마토저축은행 자회사) 등의 적자가 비교적 많이 늘었다.
서울, 더블유, 현대스위스2, 유니온, 인성, 세종, 아주 등 26곳은 2년 연속 적자에 허덕였다.
대형 계열사 중에는 현대스위스 계열이 1·2·3저축은행에서 621억원, 273억원, 103억원씩 적자를 기록해 큰 손실을 냈다.
현대스위스는 내년 5월까지 자본을 확충하면 영업정지를 면할 수 있다. 현재 일본 금융회사 SBI(Strategic Business Investment)와 인수 또는 증자를 협의 중이다.
더블유, 우리, 대원, 삼일[032280], 유니온, 신라, 골든브릿지, 세종 등 11곳은 자기자본을 모두 까먹고도 모자라 자본이 완전히 잠식됐다.
이 가운데 더블유, 신라, 세종저축은행은 대주주가 긴급히 자금을 수혈했거나 자산매각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13곳은 BIS 비율이 마이너스 상태로 추락했거나 당국의 감독기준인 5%에 못 미쳤다. 또 22곳은 BIS 비율이 5%를 간신히 넘겨 부실화 가능성이 남았다.
금감원 관계자는 "저축은행 업계의 건전성은 여전히 우려되는 상황"이라며 "부동산 경기침체가 큰 영향을 줬다"고 설명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이 발목을 잡은 탓에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전반적으로 상승했다.
각 저축은행의 고정이하 여신비율을 단순 평균하면 2010 회계연도 17.4%에서 2011 회계연도 20.0%로 올랐다.
11곳의 고정이하 여신비율이 30~40%, 다른 10곳은 이 비율이 40%를 넘었다. 고정이하 여신비율이 30%를 넘는 저축은행은 지난해보다 11곳 늘었다.
고정이하 여신이란 채권을 회수할 수 없거나 손실이 불가피한 대출을 말한다. 이 비율이 상승한 것은 그만큼 대출 부실이 늘었다는 뜻이다.
내수경기 부진 등으로 영업이 위축돼 저축은행의 평균 자산 규모는 5천648억원에서 5천533억원으로 작아졌다.
금감원은 이번에 집계된 저축은행의 연간 실적을 바탕으로 후속 조치에 착수할 계획이다.
BIS 비율이 위험수위로 내려앉은 저축은행에는 자본 확충을 주문하고, 건전성과 수익성이 나빠진 곳에도 자구계획을 마련토록 요구할 방침이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