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씨는 병약한 어머니와 단 둘이 살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다. 기초생활수급자란 가구 소득이 가구별 최저생계비 이하일 경우 국가가 일정액의 현금을 지급해주는 제도다.
그러나 김 씨는 졸업 1년여를 남겨두고 학업을 중단해야 할 위기에 처했다. 지난 8월 지역 구청에서 "3개월 정도 자활근로사업에 참여하지 않으면 기초수급자 자격에서 탈락시키겠다"는 통지가 왔기 때문이다.
대학원생은 자활사업 대상
복지부에 따르면 김 씨는 노동 가능 연령대이기 때문에, 수급 자격 유지를 위해선 주당 40시간 이상의 자활근로사업에 참여해야한다. 대학생이나 만성질환자는 이 사업에서 면제 대상이 되지만, 대학원생은 포함되지 않는다.
빡빡한 로스쿨의 일과를 감안하면, 현실적으로 이 사업에 참여하기란 불가능하다는 게 김 씨의 입장이다. 그는 "한 학기당 최고 21학점 정도를 수강하고, 방과 후에도 교수와의 맨투맨 실무수업 등이 많다"며 "가정형편상 장학금을 받아야만 학업을 이어갈 수 있는데, 이를 위해선 대충 공부할 수 없다"고 한숨을 쉬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김 씨는 이번 학기 장학금도 지급받지 못했다. 김 씨는 당장 이번 학기 장학금을 받기 위해 대출까지 받았다. 약 77만여 원인 수급액이 김 씨 가족 소득의 전부다. 자활사업에 참여하지 않는다면, 김 씨는 최소 생활을 유지할 소득마저 잃게 된다.
그는 "생계비를 받기 위해선 공부를 포기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정부 "대책 마련 중"…언제까지?
정부는 김 씨의 사정은 알겠지만, 당장은 좀 더 기다려야 한다는 입장이다.
기초생활수급 전담부서인 복지부 자립지원과 관계자는 "일반 대학원생과의 형평성을 고려할 때, 로스쿨에 다니는 기초생활수급자들만 자활사업에서 제외할 순 없다"며 "국가가 대학원생까지 책임지기 위해선 관련 지침을 다 개정해야 한다. 시간이 걸린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로서는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장학금 지급액을 늘려 생활비 마련이 가능하게 하거나, 수급 대상자가 민간 시장에서 주당 18시간 이상 일한 소득을 부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 ⓒ프레시안 |
김 씨는 "'돈스쿨'이라는 비판을 받지 않기 위해서라도, 경제적 약자가 로스쿨에 마음 놓고 다닐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하는 것 아니냐"며 "특별전형 제도를 믿고 법률인이 되고자 나선 사람들의 꿈을 꺾지 말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