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6일 노웅래 민주통합당 의원이 한국언론진흥재단에 받은 자료를 보면,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8월까지 종편이 수주한 정부광고 판매액은 총 36억 원이었으며, 이에 대한 종편의 보너스율 평균은 518퍼센트로 나타났다.
보너스율이란 광고주가 발주한 금액에 더해 매체가 보너스로 편성해주는 광고를 뜻한다. 간단히 말해 100만 원 어치 광고를 판매하고도 광고주에게 나머지 광고를 공짜로 더 실어주는 행태다.
광고가 팔리지 않는 매체에서 주로 나타나는 영업방식이다.
보너스율이 가장 높은 매체는 채널A로 나타났다. 이 매체는 조사 기간 동안 광고 9억 원의 광고를 팔았는데, 총광고비는 무려 90억 원으로 잡혔다. 보너스율이 905%에 달한다. 광고 1개를 팔면 9개의 광고를 돈을 받지 않고 공짜로 내보내줬다는 뜻이다.
TV조선은 8억9000만 원 어치의 광고를 팔았으며 총광고비는 53억 원으로 나타나 보너스율이 502%에 달했다. MBN(보너스율 345%), JTBC(보너스율 326%)의 보너스율도 300% 이상에 달했다.
ⓒ프레시안 |
종편의 보너스율이 이처럼 높게 나타난 큰 이유는 결국 저조한 시청률과 그로 인한 광고판매 부진이 시간이 지나면서도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종편 4사의 월별 정부광고 판매 보너스율을 보면, 개국 후 두 달째인 올해 1월만 하더라도 평균 보너스율은 200%대 후반에 그쳤다. 그러나 올해 2월부터는 곧바로 500%대로 뛰어 줄곧 이 수준을 유지했다.
광고가 팔리지 않으니, 끼워 파는 광고의 비율을 대거 높이는 데 영업을 의존한 것이다. 이와 관련, AGB닐슨의 조사에 따르면 종편 4사의 지난해 12월부터 올해 9월 사이 수도권 가구 시청률은 0.5%에도 못 미치는 상태다.
종편의 광고 영업 실적이 사실상 덤핑 수준에 머무른 게 어느 정도로 비정상적이었느냐는 타 매체 광고 영업 실적을 보면 확연히 드러난다.
노 의원실에 따르면 지상파계열 드라마, 스포츠 채널의 보너스율은 10~200%, CJ 계열 채널의 보너스율은 20~300% 수준이었다. 지상파의 보너스율은 30~40%대에 불과했다.
실제 조사 기간 MBC의 광고판매액은 4902억 원대였으며 총광고비는 6555억 원이었다. 보너스율이 33.7%다. KBS2의 경우 4379억 원 어치의 광고를 판매했고 총광고비는 6130억 원으로 보너스율이 40%였다.
노 의원은 "종편 정책의 실패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며 "방송광고 시장상황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이명박 정부의 무리한 종편 허가가 이 사태를 몰고 왔다"고 지적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