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준금리가 연 3.0%로 동결됐다.
한국은행은 9일 김중수 총재 주재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를 열어 기준금리를 연 3.0%로 유지하기로 했다.
기준금리는 2011년 5월 3.0%에서 6월 3.25%로 오른 뒤 13개월 만인 올해 7월 시장의 예상과 달리 0.25%포인트 인하됐다.
지난달 금리 인하의 효과를 당분간 지켜봐야겠다는 판단이 이달 동결 요인으로 작용했다.
특히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와 유럽중앙은행(ECB)이 금리 동결을 유지하고 있어 `글로벌 공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두 달 연속으로 금리를 내리면 경기침체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됐다.
최근 들어 경기침체 조짐이 곳곳에서 보이지만 올해 상반기 국내총생산(GDP)은 전년 동기 대비 2.6% 올랐고, 올해 2분기는 전분기보다 0.4% 성장했다. 성장률 예상치 범위를 벗어나지 않아 그런대로 선방했다.
그런데 두 달 째 금리를 내리면 불안심리만 증폭돼 소비ㆍ투자가 위축되고 내수에도 부담을 줄 우려가 있다.
유럽중앙은행은 지난 2일(현지시각) 기준금리를 연 0.75%로 동결했고, 연방준비제도 역시 지난 1일 `3차 양적완화'(QE3) 조치를 내놓지 않았다.
따라서 8월 말로 예정된 연방준비제도의 컨퍼런스(잭슨 홀 미팅)와 9월13일부터 이틀간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ㆍ미국 금통위)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글로벌 동결 공조'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올해 7월 우리나라의 수출(통관 기준)이 전년 동기보다 8.8%나 감소한 446억달러에 머물렀다. 6월 중 생산(-0.3%), 소비(-0.5%), 설비투자(-6.3%) 모두 전월 대비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경기침체가 가속화해 추가 금리 인하 압박이 커졌다.
올해 7월 소비자물가지수가 물가안정 목표 하한선보다 낮은 전월 대비 1.5% 오르는데 그쳐 금리 인하에 따른 부담도 줄었다.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택시장이 부진해 부채 과다차입 가구들의 원금ㆍ이자 상환 부담이 커진 것도 추가 인하 요인이다.
LG경제연구소 신민영 거시경제담당 부문장은 "지난달 금리 인하 효과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 것 같다"면서 "국내외 경제 여건이 좋지 않아 하반기 한두 차례 금리를 내린다고 본다"고 말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