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이 OECD 통계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자료를 보면, 지난해 2분기 10위이던 한국의 물가상승률 순위는 지속적으로 올라, 올해 2분기 현재 4.21%를 기록해 회원국 중 영국에 이어 6번째로 높았다. 지난 1분기에는 4위까지 치솟기도 했다.
2분기 물가상승률은 터키가 5.89%로 OECD 회원국 중 가장 높았고 뉴질랜드(5.28%), 에스토니아(5.24%), 폴란드(4.49%), 영국(4.37%)이 뒤를 이었다.
2분기 OECD 평균 상승률은 3.07%였다. 특히 OECD 평균과 한국의 물가상승률 격차가 점차 확대됐다. 지난해 2분기 OECD 평균(1.88%)과 한국(2.60%)의 격차는 0.72%포인트였으나, 올해는 1.14%포인트까지 벌어졌다.
특히 월별 통계로 비교했을 경우, 지난 2월과 3월에는 각각 4.54%, 4.70%를 기록해 에스토니아에 이어 2번째 상승률을 보였다.
경실련은 정부가 물가대책을 제대로 마련하지 않아, 이처럼 한국의 물가가 강한 상승세를 보이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경실련은 그 근거로 식료품과 에너지를 제외한 근원물가상승률 강세를 들었다.
경실련은 "지난해 2분기 11위이던 근원물가상승률이 올해 2분기에는 7위까지 올랐다"며 "정부는 기후변화로 인한 식료품 가격 변동과 국제유가 급등락 때문에 물가상승세가 불가항력적이라는 입장이지만, 사실과 다르다"고 지적했다.
또 "근원물가상승률도 OECD 평균과의 격차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며 지난해 2분기 OECD 평균(1.28%)과 한국(1.80%)의 격차가 0.52%포인트였으나, 올해 2분기에는 1.12%포인트(OECD 1.67%, 한국 2.79%)로 두 배 이상 확대됐다는 점을 들었다.
경실련은 "물가상승 추세가 세계적 현상이지만, 한국은 지나칠 정도로 급등세가 높다"며 "지난 상반기 정부 대책이 책임 면피용이었음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고 꼬집었다.
정부는 그간 물가 안정을 위해 정유사를 압박하고 음식점 가격 담합 조사에 나섰으나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했다. 오히려 유류 가격은 할인정책이 끝난 후 종전보다 더 크게 올랐고, 음식점 가격은 조사조차 실시하지 못했다.
특히 최근 정부는 물가관리대책을 위한 국민 공모에 나선다는 입장까지 밝혀, 안일한 대응책이 도마에 오르기도 했다.
▲단위: %, 전년동기대비 증감률. 경실련 제공자료 재정리. ⓒ프레시안 |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