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양한 사람들을 무대에 올린 <탁현민의 시사콘서트>와 MBC '소셜테이너 출연 금지' 조항에 항의하는 '삼보일퍽' 등으로 유명세를 탄 공연기획자 탁현민 성공회대 겸임교수는 '스타'와 '대자본'으로 상징되는 오늘날 대중문화도 여전히 "저항성을 갖고 있다"고 그래서 단언한다.
24일 저녁 7시 30분, 인권연대 주최로 서울 중구 우리함께빌딩 2층에서 열린 '상상력에 권력을' 강연에서 탁 기획자는 애초 하위문화의 유흥에서 출발했던 재즈와 로큰롤이 저항의 상징이 된 실례를 들며 "많은 사람이 당장은 '말도 안 되는 듯한 미래'를 꿈꾸게 하는 게 바로 대중문화의 힘"이라며 "그 힘이 우리의 내일을 보다 근사한 다음 세계로 이끌어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탁현민 공연기획자의 강연을 듣는 청중들. 보통의 강연보다 활발한 질문과 답이 오갔다. ⓒ인권연대 제공 |
선정성이 저항을 낳는다
탁 기획자는 대중문화의 중요한 속성으로 선정성을 들었다. 그 예로 그는 제임스 캐머런 감독의 블록버스터 영화 <타이타닉>의 한 장면을 들었다. 잭 도슨(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이 일등석의 실내악 공연을 지루하게 보는 로즈(케이트 윈슬렛)를 데리고 빈민들이 있던 3등칸으로 내려와 천박(?)하게 춤을 추는 장면에서 로즈의 표정이 살아나는 순간, 두 캐릭터의 표정이 밝아졌던 게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는 지적이다.
결국, 대중에 강한 전염성을 가진 하위문화(subculture), 곧 대중문화는 대중친화적일 수밖에 없는 속성을 지닌다는 얘기다.
이런 대중문화의 선정성은 대중참여성,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특성과 맞물려, 시대에 따라 대중의 저항을 낳게 된다고 탁 기획자는 강조했다. 대중문화의 선정성이 결국 저항을 낳는다는 얘기다.
대표적인 사례가 재즈와 로큰롤의 태동이다. 흑인들의 음악이었던 재즈는, 시간이 지나며 민감하게 새 흐름을 수용한 '하얀 흑인' 사이에서 '힙(hip)'한 음악으로 떠오르며 순식간에 20세기 초반 대중음악의 흐름을 바꿨다. 로큰롤 역시 마찬가지다. 역시 흑인 음악에 뿌리를 뒀던 로큰롤은 특유의 선정성과 솔직한 가사로 전후 시대 십대들을 사로잡았다. 흑인과 십대라는 사회적 약자들을 선동하며 저항의 아이콘으로 떠올랐다.
탁 기획자는 "재즈와 초기 로큰롤에 저항성은 전혀 없었다"면서도 "이들 문화 자체가 가장 취약한 계층과 맞물리며 비주류가 주류를 정복하는 저항성을 가졌다"고 강조했다.
탁 기획자는 존 레넌의 <이매진(Imagine)>을 예로 들며 "'전쟁이 없는 세상'은 말도 안 되는 소리지만, 이 노래를 통해 세계의 여러 사람이 같은 꿈을 꾸게 한다"며 "이것이 바로 대중문화의 힘"이라고 주장했다.
스타 탄생과 대중문화의 독립
탁 기획자는 대중문화가 이토록 강력한 힘을 발휘하게 된 중요한 계기로 스타 탄생을 꼽았다. "슈퍼스타의 출현으로 대중문화가 대자본으로부터 독립할 수 있는 계기를 낳았다"는 얘기다. 스타가 자본의 홍보 도구로 기능한다는 일반적 생각과 다른 의견을 피력한 셈.
그는 최초의 슈퍼스타로 엘비스 프레슬리를 꼽으며 "이전에는 대형음반사가 주인이던 음악계에서 스타가 음반의 주인공이 된 계기"를 만들었다며 "스타가 비록 자본의 일부이지만, 한편으로는 자본과 대척점에 설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존재"라고 강조했다.
탁 기획자는 서태지 역시 비슷한 사례로 꼽았다.
"강산에 씨의 <라구요>가 나왔을 때, 음반사에서 제목이 마음에 안 든다고 '갈 수 없는 고향'으로 바꾸라고 했어요. 정태춘 씨가 지구레코드에서 음반을 100만 장 너메 팔았지만 받은 건 승용차 한 대가 전부였죠. 당시까지도 이 정도로 음반사의 힘이 강했어요.
그런데 서태지가 스타의 힘으로 미디어를 장악하고 음반사와의 관계를 끊은 후 '요요기획'이라는 스타 중심의 기획사를 차렸어요. 어떤 의미에서는 자본에 종속됐던 대중문화를 다음 시대로 이끈 계기가 됐죠."
저항은 과연 유효한가
그러나 이 의견에는 강한 의문 부호가 붙는다. 스타는 스스로 권력이 된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스타가 자본의 일부가 되면, 저항 역시 자본에 포섭된다.
YB는 방송권력, 정치권력과 때로 파열음을 일으키지만, 그 이미지를 통해 대기업 제품 광고를 찍는다. 두리반에서 목소리를 높인 음악인의 대다수는 단독공연을 가질 기회조차 잡기 힘들 정도로 얇은 팬층에 의존하고 있다.
대개의 저항 예술인은 대자본을 끼지 않는 한, 자신의 목소리를 대중에게 알릴 기회조차 제대로 얻지 못한다. <사운드 라이크 레볼루션>은 어떤 의미에서 이 불편한 현실을 애써 미화하는데 그쳤다.
탁 기획자도 "지금은 기획사와 스타가 스스로 자본이 돼, 또 다른 권력이 됐다"며 이 의견에 동조했다. 그러나 그는 스타로 대표되는 아이콘에 함몰되지 말고, 능동적 유흥에서 해법을 찾는 게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내가 즐기는 문화가 세상을 바꿀 것이라는 믿음"을 갖고 세상을 보는 게 중요하다고 말이다. 강연회 주제이자 탁 기획자가 낸 책의 제목이기도 한 '상상력에 권력을' 주는 게 필요한 이유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