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손목 잘린 나라, 한국. 원망하지는 않지만…"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손목 잘린 나라, 한국. 원망하지는 않지만…"

[몽골 이주노동자, 한국을 말하다 <21>] 부실한 안전장치

지난 6월 4일, 산업안전공단은 2007년부터 3년 동안 산업재해 피해를 입은 이주노동자가 2007년 3967명, 2008년 5221명, 2009년 5231명이라고 발표했다. 그 중 사망자는 2007년 87명, 2008년 117명, 2009년 101명이었다.

물론 이 숫자가 다는 아니다.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인데, 이주노동자들은 비자가 없거나 있더라도 모르거나 계속채용 혹은 재계약 약속 때문에 산재 피해를 입어도 산재로 처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숫자가 얼마나 되는지는 사실 아무도 모른다. 한국 상황에 서툴고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산업안전에 유독 취약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더욱이 이들은 '이 땅에서 떠나갈 사람들'이다. 떠나갈 사람들이기에 우리는 그들을 쉽게 잊게 된다. 떠나간 사람들이기에 치료가 부족하거나 법적으로 보장된 여러 혜택을 받지 못해도 우리는 알지 못한다. 치료해주고(!) 법적으로 규정된 모든 혜택을 받고 돌아가면 우리가 할 일은 다했다고 여기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런데 정말 그렇게 여기고 말아도 되는 것일까? 이런 의문을 가지고 산재피해 후 귀환한 그들의 삶을 잠깐 살펴보고자 공익변호사그룹 공감과 외노협,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에서 작은 조사를 기획했다.

이렇게 해서 지난 6월, 노동인권회관 박석운 소장,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소장인 필자, 외노협의 이경숙 간사 이렇게 세 사람이 몽골로 갔다. 그곳에서 23명의 산재피해자들을 만났다. 모두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취업하다가 산재피해를 입었던 사람들이다.

한국에서도 늘 하는 상담이었지만, 그들의 땅에서 그들을 만나보니, 그 감도가 달랐다. 그들은 거의 다 잔잔하게 자신의 사례를 설명해주었다. 나직한 목소리로 잔잔한 표정으로, 그 잔잔함이 듣는 한국인들에게 민망함과 미안함을 더해주었다.

그렇게 들었던 그들의 사연을 그들의 목소리로 공개한다. 이미 지나간 일들을 들춰 괜히 미안함을 더하기 위함이 아니고, 누군가를 비난하거나 비판하기 위함도 아니다. 다만, 지금도 또 앞으로도 생겨날 또 다른 그들이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게 뭔가 변화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사실관계에서는 그들이 이해했던 그대로 서술했다. 확인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 이해한 점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그들이 그렇게밖에 이해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고 이해하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오래전의 일이라거나 제도가 바뀌었다는 등의 이유로 애써 위안을 받으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다. 고용허가제 노동자, 산업연수생, 미등록체류자, 10대 소년, 형제 산재피해자 등 고루고루 사례를 취합하였으니 말이다.

인터뷰를 마치고 나서 오랫동안 기억에 남은 말이 있다. 어떤 피해자가 한 말이기도 하고, 한국으로 몽골인을 송출하는 업무를 맡은 몽골인이 한 말이기도 하다.

"한국에 갈 때, 몽골인들은 모두 건강검진을 받고 간다. 우리는 건강한 젊은이들을 보내준다. 그러니 돌려보낼 때도 건강하게 돌려보내줘야 하는 것 아니냐!"

다음은 한국에서 산재를 입은 몽골 노동자의 사연을 당사자가 구술한 것이다. <필자 주>

나는 2003년에 산업연수생으로 송출회사를 통해 한국에 입국했다가 2008년 9월에 몽골로 귀국했다. 한국에 갈 당시 내 나이는 38세였다.

처음에는 산업연수생으로 일하다가 계약기간이 끝난 2006년부터 미등록노동자로 일을 했다. 여러 회사를 다니다가 2008년에 벼룩시장에 난 광고를 보고 신발밑창을 만드는 공장이었는데 부산에 있었다. 회사와 직접 통화한 후 그 회사에 취직했다.

작업공정은, 거푸집 안에 녹인 고무를 넣으면 동그란 판이 돌면서 형태를 만든다. 그때 뚜껑을 열어야 한다. 고무 반죽은 적절한 점도로 되어야 하는데 그 날은 고무가 굳어진 상황이라 녹이는 구멍이 많이 막혔다. 그 청소를 내가 했다. 평소에 구멍청소를 할 때에 항상 전원을 켜 놓은 상태로 청소를 한다.

주문량이 많기 때문에 하루에 2000개를 만들어야 해서 시간이 늘 부족했으므로 전원을 켜놓은 상태로 청소를 하곤 했다. 그날도 그랬다. 그런데 내가 녹이는 구멍을 청소하고 돌아서려고 하는데 미끄러지면서 천으로 된 옷깃이 걸리면서 프레스에 말려들어갔다. 손목이 잘렸는데, 만약 내가 손을 빼지 않았으면 팔이 다 들어갈 뻔했다.

내가 미끄러진 이유는 딱딱한 신발을 신어서였다. 공장 바닥은 늘 미끄러웠는데 그 이유는 바닥이 탁자 높이의 철판이기 때문이다. 바닥이 철판이라서 딱딱한 신발을 신으면 미끄러질 수 있고 다른 사람들도 가끔 바닥에 미끄러진다. 왜 바닥을 그렇게 해두는지 잘 모르지만 사람들이 미끄러지지만 미끄럼을 예방하기 위해서 회사가 조처를 취한 적은 없었다. 그렇다고 다른 사람들이 산재를 당한 경우는 없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그 기계에 자동으로 멈춰지는 안전장치는 없었다. 옛날 기계라서 원래 안전장치가 없었다.

사고 후 병원에 갔더니 의사가 엑스레이 촬영해보고 상태가 심해서 절단해야겠다고 해서 절단했다. 사고 직후 가족들에게 사고 사실을 알렸지만 가족이 오기는 힘들어서 혼자 병원에서 지냈다. 입원했던 병원은 산재 환자가 많은 병원으로 7층 규모의 큰 병원이었다. 산재를 당하거나 사고를 당한 사람들이 아주 많았다. 병원에 입원해 있는 한국 사람들에게서 산재보험에 대한 이야기도 들었다.

병원에 있으면서 우연히 공인노무사 명함을 주웠고, 그 사람을 통해서 산재를 신청했다. 보상금으로 4000만 원 받았고, 휴업급여도 계좌로 들어왔다.

사장님이 달라고 했던 의수비용

4개월간 병원에서의 치료가 끝나고 사장님이 고무로 의수를 만들어왔는데 사장님은 의수 만드는데 450만 원이 들었다면서 돈을 달라고 요구해서 돈을 주었다. 나중에 알아보니까 '어디 가면 의수를 그냥 해준다'고 했던 것 같다. 그렇지만 그 당시 나는 병원 생활을 오래 하니까 빨리 고향에 가고 싶어서 그냥 사장님이 해주는 대로 하고 달라는 대로 주었다. 노무사에게는 나는 돈을 주지 않았는데 얼마를 주었는지 모르겠다. 아마도 사장님이 지불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치료가 끝나고 귀국했다. 몽골로 귀국하고 나서 산재장애자로 등록해서 월 5만4000투그릭씩 지원금을 받는다. 나는 한국 가기 전부터 몽골 사회보험에 가입하였기 때문에 별도의 증명서류가 필요하지 않았다. 그때 받은 보상금으로 집을 샀다.


몸이 이 상태라서 직업을 구하지는 못했고 아내가 일하고 있다. 아이는 그 사이 자라서 대학 졸업하고 일하고 있다. 힘들지만 우리 가족들은 한국을 원망하지는 않는다. 다만 고무로 만든 의수라서 차갑고 겨울에는 엄청나게 춥다. 또 칼이나 불을 다 조심해야 해서 신경이 많이 쓰인다. 그나마 다른 손이 있어서 운전은 할 수 있다. 원래 오른손잡이인데 지금은 왼손을 사용해서 운전을 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