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손가락 날아간 공장, 방송국에서 오니까…"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손가락 날아간 공장, 방송국에서 오니까…"

[몽골 이주노동자, 한국을 말하다 <20>] 위험한 일, 외국인에 떠넘기는 한국

지난 6월 4일, 산업안전공단은 2007년부터 3년 동안 산업재해 피해를 입은 이주노동자가 2007년 3967명, 2008년 5221명, 2009년 5231명이라고 발표했다. 그 중 사망자는 2007년 87명, 2008년 117명, 2009년 101명이었다.

물론 이 숫자가 다는 아니다.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인데, 이주노동자들은 비자가 없거나 있더라도 모르거나 계속채용 혹은 재계약 약속 때문에 산재 피해를 입어도 산재로 처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숫자가 얼마나 되는지는 사실 아무도 모른다. 한국 상황에 서툴고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산업안전에 유독 취약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더욱이 이들은 '이 땅에서 떠나갈 사람들'이다. 떠나갈 사람들이기에 우리는 그들을 쉽게 잊게 된다. 떠나간 사람들이기에 치료가 부족하거나 법적으로 보장된 여러 혜택을 받지 못해도 우리는 알지 못한다. 치료해주고(!) 법적으로 규정된 모든 혜택을 받고 돌아가면 우리가 할 일은 다했다고 여기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런데 정말 그렇게 여기고 말아도 되는 것일까? 이런 의문을 가지고 산재피해 후 귀환한 그들의 삶을 잠깐 살펴보고자 공익변호사그룹 공감과 외노협,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에서 작은 조사를 기획했다.

이렇게 해서 지난 6월, 노동인권회관 박석운 소장,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소장인 필자, 외노협의 이경숙 간사 이렇게 세 사람이 몽골로 갔다. 그곳에서 23명의 산재피해자들을 만났다. 모두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취업하다가 산재피해를 입었던 사람들이다.

한국에서도 늘 하는 상담이었지만, 그들의 땅에서 그들을 만나보니, 그 감도가 달랐다. 그들은 거의 다 잔잔하게 자신의 사례를 설명해주었다. 나직한 목소리로 잔잔한 표정으로, 그 잔잔함이 듣는 한국인들에게 민망함과 미안함을 더해주었다.

그렇게 들었던 그들의 사연을 그들의 목소리로 공개한다. 이미 지나간 일들을 들춰 괜히 미안함을 더하기 위함이 아니고, 누군가를 비난하거나 비판하기 위함도 아니다. 다만, 지금도 또 앞으로도 생겨날 또 다른 그들이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게 뭔가 변화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사실관계에서는 그들이 이해했던 그대로 서술했다. 확인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 이해한 점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그들이 그렇게밖에 이해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고 이해하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오래전의 일이라거나 제도가 바뀌었다는 등의 이유로 애써 위안을 받으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다. 고용허가제 노동자, 산업연수생, 미등록체류자, 10대 소년, 형제 산재피해자 등 고루고루 사례를 취합하였으니 말이다.

인터뷰를 마치고 나서 오랫동안 기억에 남은 말이 있다. 어떤 피해자가 한 말이기도 하고, 한국으로 몽골인을 송출하는 업무를 맡은 몽골인이 한 말이기도 하다.

"한국에 갈 때, 몽골인들은 모두 건강검진을 받고 간다. 우리는 건강한 젊은이들을 보내준다. 그러니 돌려보낼 때도 건강하게 돌려보내줘야 하는 것 아니냐!"

다음은 한국에서 산재를 입은 몽골 노동자의 사연을 당사자가 구술한 것이다. <필자 주>

내가 사고를 당한 때는 2002년 7월이었다. 나는 친구 소개로 안산 시화공단에 있는 공장에서 일을 했다. 그 공장은 노동자가 10명 정도인 작은 규모의 공장이었다. 터키인, 파키스탄인, 우즈베키스탄인이 일하고 있었다. 나는 그 공장에서 수전부 또는 밸브에 드릴로 구멍을 뚫는 일을 했다. 그 드릴을 사용하다 손을 다쳤다.

기계는 낡았고, 안전장치도 없었고 하도 낡아서 스위치도 없었다. 그래서 기계를 작동시키려면 전선을 서로 연결해서 작동시켰고, 전선을 빼면 스위치가 꺼졌다.

드릴을 사용하면 스프링 같은 잔여물이 나오는데 거기에 면장갑이 끼여서 딸려들어가면서 손도 빨려 들어갔다. 왼손 다섯 손가락 첫 번째 마디가 전부 절단되었다. 그때가 2002년 7월이었다.

옆에 사람이 있었지만, 눈깜짝할 순간에 일어난 사고였다. 옆에 있던 노동자들이 손가락을 가져와서 봉합할 수 있었다. 5번이나 수술을 받았고, 병원에 6~7개월 입원하고, 3~4개월 통원치료했다. 나는 처음부터 산재로 처리했다. 그런데 산재로 처리하기까지 우여곡절이 있었다.

손가락을 모두 절단하라던 병원

처음에는 작은 병원에 있었다. 그런데 그 병원에서 손가락을 다 절단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나 나는 큰 병원에 가면 봉합수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고, 큰 병원으로 옮기고 싶었다. 그래서 옆에 입원해 있던 한국사람에게 가까운 큰 병원이 어디냐고 물었다. 그리고 내가 직접 병원에 연락을 했다. 마침 우연히 그 병원에 MBC방송국 취재진이 와 있다가 내 사례를 듣고 그 병원의 119구급차와 취재진이 함께 작은 병원으로 왔다. 병원에서 이송되는 전 과정을 MBC에서 촬영했다. 큰 병원에 가서 봉합수술을 했고, 둘째 손가락만 절단했다. 다행이었다.

MBC 방송국은 공장에까지 취재를 하러 갔다. 그런데 취재진이 공장에 가보니 사고 난 기계는 사라져 없고, 공장에서 사람들에게 안전교육도 시키고 있었다. 그리고 사고 전에는 일할 때 공업용 장갑이 아닌 면장갑을 끼고 일을 했었는데, 사고 후에는 회사에서 전부 공업용 고무장갑을 제공했었다.

내 사고에 대해서도 일이 커지자 공장에서는 산재로 처리해 주었다. 사고 났을 때는 산재보험을 몰랐다. 보장 내용도 잘 몰랐다. 옆에 입원했던 한국사람들이 알려주어서 알게 되었다. 보상절차는 아직도 잘 이해가 안 간다. 어느 날 갑자기 통장에 돈이 들어와서 사인을 했다. 휴업급여와 보상금을 포함해 총 1500만 원을 받았다. 어떤 사람이 수령증을 가져왔는데 그 사람이 이야기해 줘서 그런가보다고 생각했다. 당시 받던 월급은 기본적으로 110만 원, 대체로 120만 원 정도 받았다. 그런데 중간에 휴업급여로 한달치 70만 원을 받았다.

그렇지만 그렇게 처리되기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왔다 갔다 해야 하는 일이 많아서 만족스럽지는 않았다. 휴업급여를 같이 입원한 한국사람이 말해 줘서 중간에 한 번 정도 받은 것 같기도 하다. 그렇지만 치료하는 동안에 돈이 없어서 사람들에게 돈을 꾸어서 써야했다. 그리고 다른 사람 도움도 받기 힘들어서 옆 사람들한테 물어가면서 내가 다 처리했다. 병원의 원무과에서도 자세히 안내해 주지 않았다. 한국에 있는 상담소에 한 번 간 적이 있긴 있었다.

이후 4년 동안 한국에서 더 일하고 귀국했다. 사고 이후에는 공장 일은 그만 두고 모텔 같은 곳에서 일했다. 사고 후유증인지 한국에 있는 동안에 사람이 소리를 지르거나 기계 소리를 들으면 자주, 아주 많이 놀라곤 했었다.

몽골로 귀국해서는 비즈니스를 하고 있다. 손 때문에 직업을 찾는데 심리적으로 위축되고 기능도 별로 좋지 않아서 어려움이 있다. 병원에서는 나이들 수록 기능이 안 좋아질 텐데 그때는 재수술해야 하고 몇 년 후에는 재수술할 수 있다고 했는데 할 수 있다면 재수술을 하고 싶다. 그때 정확히 몇 년이라고 특정한 것은 아니고 원하면 나중에 재수술할 수 있다고 했다. 개인적으로 할 수 있다고 했다.

한국에서 위험한 일은 외국사람에게 시킨다

한국에서는 보통 위험한 일은 외국사람에게 시킨다. 공장에서는 낡은 기계는 외국사람한테만 맡기고, 건축현장에서도 높은 곳에 올라가는 위험한 일은 외국사람한테 시킨다. 그리고 한국의 아주 작은 공장에서 사용하는 기계들은 다 낡은 기계들이다. 낡은 기계를 수리해서 쓰거나 여러 부품을 모아다가 조립해서 만든 기계를 사용한다. 그런 기계를 사용하고 있으니 산재가 계속 생긴다. 심지어 사장도 계속 산재당하고 있었다.

외국인을 채용하는 회사에서는 안전교육을 잘 시켜주었으면 좋겠다. 특히 비자가 없는 외국인을 채용하는 공장을 공장에서 공장장 같은 책임자가 사고를 당하기 전에 잘 알려줬으면 좋겠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