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4일, 산업안전공단은 2007년부터 3년 동안 산업재해 피해를 입은 이주노동자가 2007년 3967명, 2008년 5221명, 2009년 5231명이라고 발표했다. 그 중 사망자는 2007년 87명, 2008년 117명, 2009년 101명이었다.
물론 이 숫자가 다는 아니다.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인데, 이주노동자들은 비자가 없거나 있더라도 모르거나 계속채용 혹은 재계약 약속 때문에 산재 피해를 입어도 산재로 처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숫자가 얼마나 되는지는 사실 아무도 모른다. 한국 상황에 서툴고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산업안전에 유독 취약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더욱이 이들은 '이 땅에서 떠나갈 사람들'이다. 떠나갈 사람들이기에 우리는 그들을 쉽게 잊게 된다. 떠나간 사람들이기에 치료가 부족하거나 법적으로 보장된 여러 혜택을 받지 못해도 우리는 알지 못한다. 치료해주고(!) 법적으로 규정된 모든 혜택을 받고 돌아가면 우리가 할 일은 다했다고 여기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런데 정말 그렇게 여기고 말아도 되는 것일까? 이런 의문을 가지고 산재피해 후 귀환한 그들의 삶을 잠깐 살펴보고자 공익변호사그룹 공감과 외노협,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에서 작은 조사를 기획했다.
이렇게 해서 지난 6월, 노동인권회관 박석운 소장,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소장인 필자, 외노협의 이경숙 간사 이렇게 세 사람이 몽골로 갔다. 그곳에서 23명의 산재피해자들을 만났다. 모두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취업하다가 산재피해를 입었던 사람들이다.
한국에서도 늘 하는 상담이었지만, 그들의 땅에서 그들을 만나보니, 그 감도가 달랐다. 그들은 거의 다 잔잔하게 자신의 사례를 설명해주었다. 나직한 목소리로 잔잔한 표정으로, 그 잔잔함이 듣는 한국인들에게 민망함과 미안함을 더해주었다.
그렇게 들었던 그들의 사연을 그들의 목소리로 공개한다. 이미 지나간 일들을 들춰 괜히 미안함을 더하기 위함이 아니고, 누군가를 비난하거나 비판하기 위함도 아니다. 다만, 지금도 또 앞으로도 생겨날 또 다른 그들이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게 뭔가 변화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사실관계에서는 그들이 이해했던 그대로 서술했다. 확인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 이해한 점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그들이 그렇게밖에 이해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고 이해하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오래전의 일이라거나 제도가 바뀌었다는 등의 이유로 애써 위안을 받으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다. 고용허가제 노동자, 산업연수생, 미등록체류자, 10대 소년, 형제 산재피해자 등 고루고루 사례를 취합하였으니 말이다.
인터뷰를 마치고 나서 오랫동안 기억에 남은 말이 있다. 어떤 피해자가 한 말이기도 하고, 한국으로 몽골인을 송출하는 업무를 맡은 몽골인이 한 말이기도 하다.
"한국에 갈 때, 몽골인들은 모두 건강검진을 받고 간다. 우리는 건강한 젊은이들을 보내준다. 그러니 돌려보낼 때도 건강하게 돌려보내줘야 하는 것 아니냐!"
다음은 한국에서 산재를 입은 몽골 노동자의 사연을 당사자가 구술한 것이다. <필자 주>
나는 24세이던 2001년도에 한국에 입국해서 취업했다가 고용허가제로 시행되면서 2004년에는 고용허가제노동자로 일을 했다. 2004년 8월에 손을 다쳤고 치료가 끝난 후 2005년 10월에 몽골로 귀국했다. 내가 일하던 공장은 나무처럼 보이는 소재, 판넬이라고 하는 것을 자르는 공장이었다. 그곳에서 5~6개월 정도 일을 했었다.
공장에 취직한 지 2달 정도 되었을 때, 기계를 청소하려다가 사고를 당했다. 그 회사에서는 어떻게 청소해야 하는지 잘 가르쳐주지 않았다. 기계에는 칼날이 두 개 부착되어 있는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판넬을 잘라낸다. 그런데 작업을 하다보면 칼날에 본드나 비닐 같은 이물질들이 묻게 되고, 그럴 경우 바람같은 것(콤프레서라고 하는)으로 청소를 했었다. 원래는 칼날 청소할 때는, 칼날을 분리하고, 화학물질(액체)에 넣고, 문질러서 청소해야 한다고 했다.
그 기계가 한국에 2대만 있다고 한다. 원래 그 기계는 일본에서 들여온 기계로, 내가 다루던 기계는 한국인들이 모방해서 만든 기계라고 들었다. 그 기계는 판넬이 아닌 다른 물질이 들어가면 자동으로 멈춘다거나 하지 않았다.
처음에 일을 할 때, 저 기계로 사고가 날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한 적은 없었다. 그 공장에서 일을 하기 전에 20층짜리 사다리차도 타는 등 여러 가지 일을 한 경험이 있었기 때문에 별로 위험하다는 생각을 하지는 않았다.
내가 사고 당할 당시에는 1mm 두께의 판넬을 자른 후였는데, 콤프레서로 했지만 본드가 잘 떨어지지 않았다. 내 생각에 장갑으로 청소해도 될 것 같아서 장갑으로 본드를 떨어뜨리려고 하다가 장갑이 칼날 중간에 들어가면서 손이 같이 들어가면서 사고가 났다.
사고가 난 후 병원에서 손가락 봉합수술을 했다. 병원에는 1년쯤 입원했고, 이후 퇴원하고서 물리치료를 받았다. 통원치료(물리치료)는 3개월 동안 받았다.
사고 나고 나서 바로 산재보험 처리를 했는데, 휴업급여는 70%를 받았다. 나는 이런 경우 산재보험 처리를 할 수 있다는 것은 알고 있었다.
치료받는 중에 힘들었던 점은 손가락을 움직이지 못할지도 모른다는 점이었다. 양손을 다 다쳤었는데, 왼손 둘째, 세째 손가락이 움직이지 않을것 같았다. 실제로 왼손 둘째,세째 손가락은 현재 움직여지지 않는다. 지금도 오른손은 힘이 없고, 왼쪽 2, 3번 손가락은 구부러지지 않고, 오른손 엄지손가락 아래 손바닥 부분은 아직도 아프다.
사고가 났을 때 몽골에 연락해서 어머니가 한국에 와서 간병을 해 주셨다. 그 간병비로 어머니가 80만 원 정도 받았던 것 같다. 이런 요양비, 휴업급여, 간병비 등 산재관련 절차들을 밟을 때 노무법인의 도움을 받았다. 그리고 수수료로 10%를 지급했다. 그 노무법인에는 몽골어로 계약서가 준비되어 있었다. 나중에 치료가 다 끝나고 나서 보상금을 받았는데 3300만 원이었다.
귀국할 때 그 보상금을 달러로 환전했는데, 2만5000달러 정도 되었다. 그런데 어떤 사기꾼에게 사기를 당했다. 같이 사업하자고 해서 그렇게 했는데 사기를 당해서 1만5000달러를 잃었고, 나머지는 생활비 등으로 사용했다.
현재는 택시운전을 할 수 있어서 택시운전을 하고 있다. 귀국한 후 결혼했는데 택시운전으로는 생활이 어려워서 아내도 일을 하고 있다.
한국에 취업하러 가려는 사람들에게는 '한국에 꼭 가야겠다는 생각을 그만했으면 좋겠다'는 말을 해주고 싶다. 손가락을 다치고 나서 그렇게 생각했다.
전체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