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으로
"약품 냄새 지독한 공장에서 마스크도 없이…"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밴드 공유하기
  • 인쇄하기
  • 본문 글씨 크게
  • 본문 글씨 작게
정기후원

"약품 냄새 지독한 공장에서 마스크도 없이…"

[몽골 이주노동자, 한국을 말하다 <16>] 폐가 망가진 노동자

지난 6월 4일, 산업안전공단은 2007년부터 3년 동안 산업재해 피해를 입은 이주노동자가 2007년 3967명, 2008년 5221명, 2009년 5231명이라고 발표했다. 그 중 사망자는 2007년 87명, 2008년 117명, 2009년 101명이었다.

물론 이 숫자가 다는 아니다.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인데, 이주노동자들은 비자가 없거나 있더라도 모르거나 계속채용 혹은 재계약 약속 때문에 산재 피해를 입어도 산재로 처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숫자가 얼마나 되는지는 사실 아무도 모른다. 한국 상황에 서툴고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산업안전에 유독 취약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더욱이 이들은 '이 땅에서 떠나갈 사람들'이다. 떠나갈 사람들이기에 우리는 그들을 쉽게 잊게 된다. 떠나간 사람들이기에 치료가 부족하거나 법적으로 보장된 여러 혜택을 받지 못해도 우리는 알지 못한다. 치료해주고(!) 법적으로 규정된 모든 혜택을 받고 돌아가면 우리가 할 일은 다했다고 여기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런데 정말 그렇게 여기고 말아도 되는 것일까? 이런 의문을 가지고 산재피해 후 귀환한 그들의 삶을 잠깐 살펴보고자 공익변호사그룹 공감과 외노협,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에서 작은 조사를 기획했다.

이렇게 해서 지난 6월, 노동인권회관 박석운 소장,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소장인 필자, 외노협의 이경숙 간사 이렇게 세 사람이 몽골로 갔다. 그곳에서 23명의 산재피해자들을 만났다. 모두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취업하다가 산재피해를 입었던 사람들이다.

한국에서도 늘 하는 상담이었지만, 그들의 땅에서 그들을 만나보니, 그 감도가 달랐다. 그들은 거의 다 잔잔하게 자신의 사례를 설명해주었다. 나직한 목소리로 잔잔한 표정으로, 그 잔잔함이 듣는 한국인들에게 민망함과 미안함을 더해주었다.

그렇게 들었던 그들의 사연을 그들의 목소리로 공개한다. 이미 지나간 일들을 들춰 괜히 미안함을 더하기 위함이 아니고, 누군가를 비난하거나 비판하기 위함도 아니다. 다만, 지금도 또 앞으로도 생겨날 또 다른 그들이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게 뭔가 변화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사실관계에서는 그들이 이해했던 그대로 서술했다. 확인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 이해한 점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그들이 그렇게밖에 이해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고 이해하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오래전의 일이라거나 제도가 바뀌었다는 등의 이유로 애써 위안을 받으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다. 고용허가제 노동자, 산업연수생, 미등록체류자, 10대 소년, 형제 산재피해자 등 고루고루 사례를 취합하였으니 말이다.

인터뷰를 마치고 나서 오랫동안 기억에 남은 말이 있다. 어떤 피해자가 한 말이기도 하고, 한국으로 몽골인을 송출하는 업무를 맡은 몽골인이 한 말이기도 하다.

"한국에 갈 때, 몽골인들은 모두 건강검진을 받고 간다. 우리는 건강한 젊은이들을 보내준다. 그러니 돌려보낼 때도 건강하게 돌려보내줘야 하는 것 아니냐!"

다음은 한국에서 산재를 입은 몽골 노동자의 사연을 당사자가 구술한 것이다. <필자 주>

나는 2008년 3월에 고용허가제로 한국에 입국했다가 2009년 7월에 귀국했다. 내가 일하던 공장은 인천에 있었는데, 나무로 가구를 만드는 공장이었다. 내가 한 일은 여러 가지였는데 주로 톱으로 나무를 자르는 일과 칠을 했다. 나는 그 공장에서만 일을 하다가 폐질환을 안고 몽골로 귀국했다.

나는 한국 취업절차에 따라 한국에 가기 전에 건강검진을 받았고, 공장에서 일을 하기 시작한 지 3개월 후에 다시 건강검진을 받았다. 물론 두 번 다 이상없이 건강한 것으로 나왔다. 그런데 일을 한 지 1년이 채 되지 않은 2009년 2월쯤부터 몸이 안 좋아지기 시작했다. 무엇보다 가슴을 바늘로 찌르는 것처럼 아팠다. 병원에 가고 싶었지만 회사에서는 휴가를 주지 않았다. 병원에도 가지 못하고 아픈 채로 일을 했다. 5월이 되자 상태가 너무 심각해졌고, 6월 10일쯤에는 일어나지도 못하는 상태가 되어서 병원에 바로 입원했다.

나는 내가 아픈 건 공장 환경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공장에는 먼지가 많았다. 그러나 회사에서는 일할 때 마스크를 제공해 주지 않았다. 먼지가 많이 날 뿐만 아니라 본드, 신나 같은 약품도 다루었다. 칠을 한 후에는 가구를 건조해야 하는데 그 가구를 아주 더운 방에 둔다. 공장 안에 환풍기는 없고, 아주 더울 때 사용하는 큰 스탠드 선풍기가 있을 뿐이다. 그 선풍기를 가동하면 선풍기 바람 때문에 먼지가 많이 날렸다. 공장에는 창문이 없고, 출입문으로 지게차가 왔다갔다 하는 큰 문이 열려 있을 뿐이다. 그렇게 먼지도 많이 날리고 약품냄새도 나는 환경에서 아침 8시 30분~밤 10시 30분까지 일했다. 야근을 할 때면 10시30분~12시30분까지 했다. 토요일엔 아침 8시 30분~5시 30분까지 일했다. 일이 많으면 일요일에도 일을 했고 가끔씩 쉬었다.

그 공장에서는 태국사람, 베트남사람, 몽골사람(4명 중 3명이 공장변경해서 감) 등 30여 명 정도의 노동자들이 있었다. 크고 작은 사고들이 자주 발생해서 어떤 사람은 손을 다친 적이 있고, 손이나 발가락이 찢어지는 일은 나도 여러 차례 겪었다. 그 전에 일하던 몽골 사람도 폐가 아파서 그만 둔 적이 있었다.

나는 인하대병원에 입원했는데, 폐결핵이라고 진단받았다. 인하대병원에서 몸 안에 호스 같은 것을 꽂고 치료했었다. 일어나지도 못하는 상태가 되고 일을 할 수도 없는 상태가 되자 가족들도 고향으로 오라고 했고, 귀국에 필요한 돈을 가족들이 부쳐줘서 몽골로 돌아왔다. 내가 돌려받아야 하는 국민연금이나 귀국보증보험이 있는 것을 알고는 있었는데 어떻게 되돌려 받을 수 있는지 몰라서 그냥 와버렸다.

몽골에 돌아와서는 병원에 2달간 입원해서 약물치료를 했다. 지금은 의사한테 정기적으로 진찰받고 있다. 별로 나아진 것 같지는 않다. 장기에 서로 영향을 미쳐서, 다른 장기들도 다 안 좋아졌다. 병원에서 그렇게 진단했다. 지금 내가 일 할 수 있는 능력의 70%를 상실했다고 생각한다.

이 기사의 구독료를 내고 싶습니다.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1,000 원 추가
-10,000 원 추가
매번 결제가 번거롭다면 CMS 정기후원하기
10,000
결제하기
일부 인터넷 환경에서는 결제가 원활히 진행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kb국민은행343601-04-082252 [예금주 프레시안협동조합(후원금)]으로 계좌이체도 가능합니다.
프레시안에 제보하기제보하기
프레시안에 CMS 정기후원하기정기후원하기

전체댓글 0

등록
  • 최신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