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4일, 산업안전공단은 2007년부터 3년 동안 산업재해 피해를 입은 이주노동자가 2007년 3967명, 2008년 5221명, 2009년 5231명이라고 발표했다. 그 중 사망자는 2007년 87명, 2008년 117명, 2009년 101명이었다.
물론 이 숫자가 다는 아니다.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사실인데, 이주노동자들은 비자가 없거나 있더라도 모르거나 계속채용 혹은 재계약 약속 때문에 산재 피해를 입어도 산재로 처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 그 숫자가 얼마나 되는지는 사실 아무도 모른다. 한국 상황에 서툴고 열악한 환경에서 일하는 이주노동자들이 산업안전에 유독 취약하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다. 더욱이 이들은 '이 땅에서 떠나갈 사람들'이다. 떠나갈 사람들이기에 우리는 그들을 쉽게 잊게 된다. 떠나간 사람들이기에 치료가 부족하거나 법적으로 보장된 여러 혜택을 받지 못해도 우리는 알지 못한다. 치료해주고(!) 법적으로 규정된 모든 혜택을 받고 돌아가면 우리가 할 일은 다했다고 여기는 것이 일반적인 생각이다.
그런데 정말 그렇게 여기고 말아도 되는 것일까? 이런 의문을 가지고 산재피해 후 귀환한 그들의 삶을 잠깐 살펴보고자 공익변호사그룹 공감과 외노협,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에서 작은 조사를 기획했다.
이렇게 해서 지난 6월, 노동인권회관 박석운 소장, 외국인이주노동자인권을위한모임 소장인 필자, 외노협의 이경숙 간사 이렇게 세 사람이 몽골로 갔다. 그곳에서 23명의 산재피해자들을 만났다. 모두 2000년 이후 한국에서 취업하다가 산재피해를 입었던 사람들이다.
한국에서도 늘 하는 상담이었지만, 그들의 땅에서 그들을 만나보니, 그 감도가 달랐다. 그들은 거의 다 잔잔하게 자신의 사례를 설명해주었다. 나직한 목소리로 잔잔한 표정으로, 그 잔잔함이 듣는 한국인들에게 민망함과 미안함을 더해주었다.
그렇게 들었던 그들의 사연을 그들의 목소리로 공개한다. 이미 지나간 일들을 들춰 괜히 미안함을 더하기 위함이 아니고, 누군가를 비난하거나 비판하기 위함도 아니다. 다만, 지금도 또 앞으로도 생겨날 또 다른 그들이 안전하게 귀환할 수 있게 뭔가 변화가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다.
사실관계에서는 그들이 이해했던 그대로 서술했다. 확인을 거치지 않았기 때문에 잘못 이해한 점이 있을 수도 있다. 그러나 이 역시, 그들이 그렇게밖에 이해할 수 없었던 상황이었다고 이해하면 무리가 없을 것이다. 그리고 오래전의 일이라거나 제도가 바뀌었다는 등의 이유로 애써 위안을 받으려고 노력할 필요도 없다. 고용허가제 노동자, 산업연수생, 미등록체류자, 10대 소년, 형제 산재피해자 등 고루고루 사례를 취합하였으니 말이다.
인터뷰를 마치고 나서 오랫동안 기억에 남은 말이 있다. 어떤 피해자가 한 말이기도 하고, 한국으로 몽골인을 송출하는 업무를 맡은 몽골인이 한 말이기도 하다.
"한국에 갈 때, 몽골인들은 모두 건강검진을 받고 간다. 우리는 건강한 젊은이들을 보내준다. 그러니 돌려보낼 때도 건강하게 돌려보내줘야 하는 것 아니냐!"
다음은 한국에서 산재를 입은 몽골 노동자의 사연을 당사자가 구술한 것이다. <필자 주>
나는 산업연수생으로 송출회사를 통해 2005년 7월에 한국에 입국했다가 어깨탈구 증세가 생겨서 일을 할 수가 없어서 2007년 7월에 귀국했다. 한국에서는 선박공장에서 1년 일하고, 섬유공장에서 5~6개월 정도 일했다. 그 이후에는 비자없이 일을 했다.
울산에 있는 선박공장에서는 무거운 물건을 드는 일을 했었다. 무거운 것을 들고 계단을 오르내렸다. 그 공장에서는 한국인 100여 명, 몽골인 11명이 일했었다. 2005년 10월경에 처음 어깨가 빠졌는데 근처에 있던 병원에서 제대로 치료를 못 받아서 큰 병원으로 갔다. 마취를 하고서 어깨를 제자리를 잡을 수 있었는데 힘들었다. 그 이후 2006년에 3월, 8월에 어깨가 또 빠졌다. 다른 사람들도 같은 일을 했지만 어깨가 빠지는 사람은 없었다. 그 다음부터는 조금만 움직여도 어깨가 자주 빠졌다. 그 때문에 병원에 가곤 했는데, 병원비는 회사에서 냈다. 어깨가 다 낫지 않은 상황에서 일하게 되고 또 어깨가 빠지고 하니까 공장에서 옮기라고 했다. 공장을 바꿀 수밖에 없었다. 이런 경우에 어떻게 해야 할지 몰라서 송출회사에 어깨 빠진 이야기를 하지 않았고 아무런 보상도 받지 못했다.
다음에 섬유공장에서 일했는데 힘들어서 회사를 다시 변경하려고 송출회사 한국사무실을 찾아갔는데 거기서 나더러 알아서 하라고 했다. 그래서 섬유회사를 나와서 3~4개월 비자 없이 일하다가 단속되어 돌아왔다. 당시 송출회사에 보증금으로 1150달러를 냈는데 나중에 비자없이 일을 했기 때문에 그 돈을 돌려받지 못했다.
그 때 당시 한국 말고는 갈 수 있는 나라가 없어서 한국을 선택했다. 한국에 대해 사전에 알고 있는 정보는 없었다. 특히 일과 관계있는 정보는 받지 못했다. 한국 가기 전에 2주일 동안 교육을 받았는데 어머니, 아버지, 젓가락 같은 말만 배웠고 일과 관련된 것은 전혀 배우지 못했다. 근로계약을 맺을 당시 어떤 공장인지, 지역인지 이런 정보를 전혀 얻지 못한 상태에서 계약을 맺었다. 다만 한국말을 조금 배운 게 도움이 되었다.
한국 산재보상제도에 대해서는 몰랐다. 언어 소통이 안 되기 때문이었다. 취업 전에 산재에 관한 교육은 전혀 없었고, 공장에서도 산업안전교육을 받은 것이 없다. 힘든 일이라 야근은 없었는데, 건강검진은 입국 전, 교육받을 때 받고 일을 시작하고 나서부터는 건강검진을 받은 적이 없다. 혈압이 올라가고, 지금도 자주 어깨가 빠지고, 취직을 할 수도 없다. 귀국하고 나서 장애인으로 등록을 할까 생각해봤지만 해당 안 될 것 같아서 장애등록은 하지 않았다.
한국에 갈 때 공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주었으면 좋겠다. 업종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자신이 해야 하는 일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주었으면 좋겠다. 모두 다 모르는 상태에서 한국에 가고, 몽골과는 환경도 다르기 때문에 정보가 필요하다.
전체댓글 0